[ { "question": "다음이 나타내는 수보다 $179$만큼 더 작은 수를 구해 보세요. $100$이 $4$ 개, $10$이 $8$ 개, $1$이 $5$ 개인 수", "answer": "$100$이 $4$ 개, $10$이 $8$ 개, $1$이 $5$ 개이면 $485$입니다. $(485보다 179만큼 더 작은 수)$$=485-179$$=306$" }, { "question": "다음이 나타내는 수보다 $574$만큼 더 큰 수를 구해 보세요. $100$이 $2$ 개, $10$이 $2$ 개, $1$이 $8$ 개인 수", "answer": "$100$이 $2$ 개, $10$이 $2$ 개, $1$이 $8$ 개이면 $228$입니다. $(228보다 574만큼 더 큰 수) = 228 + 574$ $= 802$" }, { "question": "부산으로 가는 기차에 어른 $345$ 명, 어린이 $222$ 명이 탔습니다. 어른은 어린이보다 몇 명 더 탔는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기차에 탄 어른 수)-(기차에 탄 어린이 수) =345-222 =123$ (명)" }, { "question": "가 색 테이프는 나 색 테이프보다 몇 $cm$ 더 긴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더 긴 길이) =(가 색 테이프의 길이)-(나 색 테이프의 길이) =652-285=367$ $(cm)$" }, { "question": "$387-174$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해 보세요. $300$과 $100$의 차, $80$과 $70$의 차, $7$과 $4$의 차를 각각 구한 다음 세 수를 더하는 방법", "answer": "$387 - 174 = 300 + 80 + 7 - 100 - 70 - 4$ $= (300 - 100) + (80 - 70) + (7 - 4)$ $= 200 + 10 + 3$ $= 200 + 13$ $= 213$" }, { "question": "수직선 전체의 길이가 $557 cm$일 때, ㉠과 ㉡의 길이를 각각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㉡의 길이)=557-243=314 (cm) (㉠의 길이)=429-(㉡의 길이)=429-314=115 (cm)$" }, { "question": "어떤 수에서 $245$를 빼야 할 것을 잘못하여 더하였더니 $683$이 되었습니다. 계산을 바르게 하였다면 계산한 값은 얼마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어떤 수를 $\\square$라고 하면 [잘못 계산한 식] $\\square+245=683$ $\\square$$=683-245$$=438$ 그러므로 어떤 수는 $438$입니다. [바른 계산] $438-245$$=193$" }, { "question": "다음 계산에서 ㉠이 실제로 나타내는 수를 구해 보세요. $ \\begin{array}{r}\\\\ \\boxed㉠1~~\\\\ 685\\\\ +338\\\\ \\hline 1023 \\end{array} $", "answer": "십의 자리 계산 : $1+8+3=12$이므로 이 중 $10$은 백의 자리에 받아올림 표시 $1$로 나타내고 십의 자리에는 $2$를 씁니다. 따라서 ㉠에 알맞은 숫자는 $1$이고 십의 자리에서 백의 자리로 받아올림한 수이므로 실제로 나타내는 수는 $100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387$과 $112$를 각각 가장 가까운 몇백 몇십으로 어림하여 $387-112$를 계산해 보세요.", "answer": "$387$과 $112$를 각각 가장 가까운 몇백 몇십으로 어림하면 $387$은 $390$이고, $112$는 $110$입니다. $387-112$를 어림하여 계산하면 $390-110$$=280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어떤 수에서 $312$를 빼야 할 것을 잘못하여 더하였더니 $927$이 되었습니다. 계산을 바르게 하였다면 계산한 값은 얼마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어떤 수를 $□$라고 하면 [잘못 계산한 식] $□+312=927$ $□$$=927-312$$=615$ 그러므로 어떤 수는 $615$입니다. [바른 계산] $615-312$$=303$" }, { "question": "보기는 이집트 상형 문자의 수 표기법을 나타낸 것입니다. 이집트 상형 문자로 나타낸 식을 계산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상형문자1)=324$, $(상형문자2)=134$이므로 $(상형문자1)+(상형문자2)$$=324+134$$=458$" }, { "question": "$511+312$에서 $511$과 $312$를 각각 가장 가까운 몇백으로 어림하여 계산해 보세요.", "answer": "$511$과 $312$를 각각 가장 가까운 몇백으로 어림하면 $511$은 $500$이고, $312$는 $300$입니다. 따라서 $511+312$에서 두 수를 어림하여 계산하면 $500+300=800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태인이는 ㉮, ㉯, ㉰ 세 나무의 높이를 조사했습니다. 높이의 차가 $200 cm$에 가장 가까운 두 나무는 어느 것인가요?
㉮ 나무 ㉯ 나무 ㉰ 나무
$823 cm$ $674 cm$ $486 cm$
", "answer": "$(㉮ 나무와 ㉯ 나무의 높이의 차)=823-674=149 (cm)$ $(㉮ 나무와 ㉰ 나무의 높이의 차)=823-486=337 (cm)$ $(㉯ 나무와 ㉰ 나무의 높이의 차)=674-486=188 (cm)$ 따라서 두 나무의 높이의 차가 $200 cm$에 가장 가까운 두 나무는 ㉯ 나무와 ㉰ 나무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387$과 $171$을 각각 가장 가까운 몇백으로 어림하여 $387-171$을 계산해 보세요.", "answer": "$387$과 $171$을 각각 가장 가까운 몇백으로 어림하면 $387$은 $400$이고, $171$은 $200$입니다. $387-171$을 어림하여 계산하면 $400-200=200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을 읽고 하민이네 학교 학생과 은수네 학교 학생은 각각 몇 명인지 구해 보세요. 은지 : 우리 학교 학생은 모두 $428$명이야. 하민 : 우리 학교 학생은 은지네 학교 학생보다 $139$명이 더 적어. 은수 : 우리 학교 학생은 하민이네 학교 학생보다 $135$명이 더 많아.", "answer": "$(하민이네 학교 학생 수)$$=428-139$$=289 (명)$ $(은수네 학교 학생 수)$$=289+135$$=424 (명)$" }, { "question": "$ㄱ$과 $ㄴ$이 나타내는 수의 합을 구해 보세요. $ㄱ$. $100$이 $1$개, $1$이 $3$개인 수 $ㄴ$. $232$보다 $213$만큼 더 큰 수", "answer": "ㄱ. $100$이 $1$ 개, $1$이 $3$ 개인 수 $⇨$ $103$ ㄴ. $232$보다 $213$만큼 더 큰 수 $⇨$ $232+213=445$ 따라서 $ㄱ$과 $ㄴ$이 나타내는 수의 합은 $103+445$=$548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4$ 장의 수 카드 중에서 $3$ 장을 골라 한 번씩만 사용하여 세 자리 수를 만들려고 합니다.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와 가장 작은 수의 합을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가장 큰 수는 $965$이고, 가장 작은 수는 $156$입니다. 따라서 두 수의 합은 $965+156=1121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철민이와 승원이는 주머니에서 구슬 $2$ 개를 꺼내 구슬에 적힌 수의 차가 $200$에 가장 가까운 뺄셈식을 만들려고 합니다. 어떤 구슬들을 꺼내야 할지 구슬에 적힌 수로 뺄셈식을 만들어 보세요.", "answer": "$398$과 $611$을 각각 가장 가까운 몇백으로 어림한 수는 $400$과 $600$이므로 두 수의 차가 $200$에 가장 가깝습니다. 따라서 두 수의 차가 $200$에 가장 가까운 뺄셈식은 $611-398=213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ㄱ$과 $ㄴ$이 나타내는 수의 합을 구해 보세요.$\\\\$ $ㄱ$. $213$보다 $231$만큼 더 큰 수$\\\\$ $ㄴ$. $100$이 $2$ 개, $1$이 $3$ 개인 수", "answer": "ㄱ. $213$보다 $231$만큼 더 큰 수 ⇨ $213+231=444$ ㄴ. $100$이 $2$ 개, $1$이 $3$ 개인 수 $⇨$ $203$ 따라서 ㄱ과 ㄴ이 나타내는 수의 합은 $444+203$$=647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ㄱ$과 $ㄴ$이 나타내는 수의 합을 구해 보세요. $ㄱ$. $122$보다 $231$만큼 더 큰 수 $ㄴ$. $100$이 $1$개, $1$이 $3$개인 수", "answer": "ㄱ. $122$보다 $231$만큼 더 큰 수 $⇨$ $122+231=353$ ㄴ. $100$이 $1$ 개, $1$이 $3$ 개인 수$ ⇨$ $103$ 따라서 ㄱ과 ㄴ이 나타내는 수의 합은 $353+103$$=456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진성이네 학교의 학년별 학생 수를 나타낸 표입니다. 학생 수가 가장 많은 학년은 가장 적은 학년보다 몇 명 더 많은지 구해 보세요. $\\\\$ 학년별 학생 수 $\\\\$
학년 $1$ $2$ $3$ $4$ $5$ $6$
학생 수 (명) $169$ $345$ $385$ $196$ $245$ $178$
", "answer": "학생 수가 가장 많은 학년은 $3$ 학년으로 $385$ 명이고, 학생 수가 가장 적은 학년은 $1$ 학년으로 $169$ 명입니다. $(더 많은 학생 수)=(학생 수가 가장 많은 학년의 학생 수)-(학생 수가 가장 적은 학년의 학생 수 )=385-169= 216$ (명)" }, { "question": "기차에 어른이 $263$ 명, 어린이가 $102$ 명 탔습니다. 이 기차에는 모두 몇 명이 탔는지 구하는 식을 써 보세요.", "answer": "$(기차에 탄 사람 수) =(기차에 탄 어른 수)+(기차에 탄 어린이 수) =263+102$" }, { "question": "도형에 있는 선분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과 가장 적은 것의 차는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도형에 있는 선분의 개수를 각각 구해 보면 ㄱ : $6$ 개, ㄴ : $4$ 개, ㄷ : $8$ 개이므로 선분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은 ㄷ, 가장 적은 것은 ㄴ입니다. 따라서 선분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과 가장 적은 것의 차는 $8-4=4 $(개)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478$과 $223$을 각각 가장 가까운 몇백 몇십으로 어림하여 $478-223$을 계산해 보세요.", "answer": "$478$과 $223$을 각각 가장 가까운 몇백 몇십으로 어림하면 $478$은 $480$이고, $223$은 $220$입니다. $478-223$을 어림하여 계산하면 $480-220$$=260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세 학생이 각각 하루 동안 윗몸 말아 올리기를 한 횟수입니다. 윗몸 말아 올리기를 가장 많이 한 학생과 가장 적게 한 학생의 횟수의 차는 몇 회인지 구해 보세요.$\\\\$
정수 병호 호연
$118$회 $239$회 $189$회
", "answer": "세 학생이 윗몸 말아 올리기를 한 횟수를 비교하면 $239>189>118$이므로 가장 많이 한 학생은 병호, 가장 적게 한 학생은 정수입니다. $(윗몸 말아 올리기를 한 횟수의 차)$$=239-118$$=121$ (회)" }, { "question": "서울역에서 출발하는 기차에 $415$ 명이 타고 있습니다. 다음 역에서 $226$ 명이 내리고 새로 탄 사람은 없습니다. 기차에는 몇 명이 타고 있는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기차에 타고 있는 사람 수)$$=415-226$$=189 $(명)" }, { "question": "가, 나, 다 세 개의 기둥이 있습니다. 가 기둥의 높이는 나 기둥보다 $129cm$ 더 높고, 다 기둥의 높이는 가 기둥보다 $287 cm$ 더 높습니다. 나 기둥의 높이가 $104cm$일 때 다 기둥의 높이는 몇 $cm$인지 구해보세요.$\\\\$ (1) 가 기둥의 높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$\\\\$ (2) 다 기둥의 높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$\\\\$", "answer": "(1) $(가 기둥의 높이)$$=104+129$$=233 (cm)$ (2) $(다 기둥의 높이)$$=233+287$$=520 (cm)$" }, { "question": "어떤 수에서 $232$를 빼야 할 것을 잘못하여 더하였더니 $574$가 되었습니다. 어떤 수를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어떤 수를 $□$라고 하면 $□+232=574$, $□$$=574-232$$=342$이므로 어떤 수는 $342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도서관에서 학교까지의 거리는 몇 $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도서관에서 학교까지의 거리)$ $=(집에서 학교까지의 거리)$$-$$(집에서 도서관까지의 거리) $$=$$$396-175$$$=$$221 (m)$" }, { "question": "어떤 두 자리 수 $★▲$의 왼쪽에 $1$을 붙여서 세 자리 수 ㉮를 만들고, 이 두 자리 수 $★▲$의 오른쪽에 $1$을 붙여서 세 자리 수 ㉯를 만들었습니다. 이 두 수 ㉮와 ㉯의 합이 $1168$일 때, 어떤 두 자리 수 $★▲$를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㉮$는 $1★▲$고, $㉯$는 $★▲1$입니다. $㉮$와 $㉯$의 합이 $1168$이므로 덧셈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습니다. $\\\\\\begin{array}{r} 1★▲\\\\ +★▲1\\\\ \\hline 1168 \\end{array}\\\\$ 일의 자리 계산에서 $▲+1=8$ $▲$$=8-1$$=7$ 십의 자리 계산에서 $▲=7$이므로 $★+▲=16$입니다. $★+7=16$ $★$$=16-7$$=9$ 따라서 어떤 두 자리 수 $★▲$는 $97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직각은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삼각자의 직각 부분을 대었을 때 꼭 맞게 겹쳐지는 각을 찾습니다. 직각은 각 $ㄱㅅㄷ$ 또는 각 $ㄷㅅㄱ$, 각 $ㄹㅅㅂ$ 또는 각 $ㅂㅅㄹ$, 각 $ㅁㅅㄱ$ 또는 각 $ㄱㅅㅁ$, 각 $ㅂㅅㄴ$ 또는 각 $ㄴㅅㅂ$입니다. 따라서 직각은 모두 $4$ 개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사과가 $7$ 개씩 $4$ 줄로 놓여 있습니다. $㉠$과 $㉡$의 합을 구해 보세요. $7$ 상자에 똑같이 나누어 담으려면 한 상자에 사과를 $㉠$ 개씩 담아야 합니다. 한 상자에 $4$ 개씩 담으려면 $㉡$상자가 필요합니다.", "answer": "사과는 모두 $7\\times4=28$ (개)입니다. 사과 $28$ 개를 $7$ 상자에 똑같이 나누어 담으려면 $28\\div7=4$이므로 한 상자에 $4$ 개씩 담아야 합니다. $⇨$ $㉠$$=4$ 사과 $28$ 개를 한 상자에 $4$ 개씩 담으려면 $28\\div4=7$이므로 $7$ 상자가 필요합니다. $⇨$ $㉡$$=7$ 따라서 $㉠$과 $㉡$의 합은 $4+7=11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도형에서 찾을 수 있는 크고 작은 직각삼각형은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작은 직각삼각형 $1$ 개짜리 : $8$ 개 작은 직각삼각형 $2$ 개짜리 : $4$ 개 $(크고 작은 직각삼각형의 개수)=8+4=12$(개)" }, { "question": "다음 수 중에서 가장 큰 수와 가장 작은 수의 차를 구해 보세요. $498\\quad592\\quad495 \\quad873\\quad891$", "answer": "가장 큰 수는 $891$, 가장 작은 수는 $495$입니다. $(가장 큰 수)-(가장 작은 수)=891-495=396$" }, { "question": "수 모형이 나타내는 수보다 $144$만큼 더 작은 수를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수 모형이 나타내는 수는 $267$입니다. $267$보다 $144$만큼 더 작은 수는 $267-144$$=123$" }, { "question": "$21$, $3$, $7$을 이용하여 곱셈식과 나눗셈식으로 나타내어 보세요.", "answer": "주어진 수로 곱셈식을 만들면 $3\\times7=21$ 또는 $7\\times3=21$입니다. 이를 나눗셈식으로 나타내면 $21\\div3=7$ 또는 $21\\div7=3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강남역에서 출발하는 지하철에 남자가 $269$ 명, 여자가 $204$ 명 타고 있었습니다. 다음 역에서 $162$ 명이 내리고 새로 탄 사람은 없습니다. 지하철에 몇 명이 타고 있는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출발하는 지하철에 타고 있던 사람은 모두 $269+204=473 (명)$입니다. 다음 역에서 $162$ 명이 내렸으므로 지하철에 타고 있는 사람은 $473-162=311 (명)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수 모형이 나타내는 수보다 $723$만큼 더 큰 수는 얼마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수 모형이 나타내는 수는 $154$입니다. $154$보다 $723$만큼 더 큰 수는 $154+723$$=877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학용품 공장에서 만든 연필, 볼펜, 샤프에 대한 설명입니다. 학용품 공장에서 만든 샤프는 몇 자루인지 구해 보세요. $ \\bullet$ 연필은 $848$ 자루 만들었습니다. $\\bullet$ 볼펜은 연필보다 $129$자루 많습니다. $\\bullet$ 샤프는 볼펜보다 $233$자루 적습니다. (1) 학용품 공장에서 만든 볼펜은 몇 자루인지 구해 보세요. (2) 학용품 공장에서 만든 샤프는 몇 자루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(1)$(볼펜의 수)$$=848+129$$=977 (자루)$ (2)$(샤프의 수)$$=977-233$$=744 (자루)$" }, { "question": "두 수를 골라 더하려고 합니다. 합이 가장 클 때의 계산 결과를 구해 보세요. $331$ $~142$ $~263$ $~512$", "answer": "합이 가장 크려면 가장 큰 수와 둘째로 큰 수를 더해야 합니다. 네 수의 크기를 비교하면 $512>331>263>142$입니다. 따라서 합이 가장 크게 나오는 식을 만들어 계산하면 $512+331=843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을 읽고 진아네 마을 주민과 동환이네 마을 주민은 각각 몇 명인지 구해 보세요. 나리 : 우리 마을 주민은 모두 $845$ 명이야. 진아 : 우리 마을 주민은 나리네 마을 주민보다 $159$ 명이 더 적어. 동환 : 우리 마을 주민은 진아네 마을 주민보다 $137$ 명이 더 많아.", "answer": "$(진아네 마을 주민 수)$$=845-159$$=686$ (명) $(동환이네 마을 주민 수)$$=686+137$$=823$ (명)" }, { "question": "가, 나, 다 세 개의 기둥이 있습니다. 가 기둥의 높이는 다 기둥보다 $254 cm$ 더 높고, 나 기둥의 높이는 가 기둥 보다 $177 cm$ 더 높습니다. 다 기둥의 높이가 $363 cm$일 때 나 기둥의 높이는 몇 $cm$인지 구해보세요. (1) 가 기둥의 높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 (2) 나 기둥의 높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(1) $(가 기둥의 높이)$$=363+254$$=617 (cm)$ (2) $(나 기둥의 높이)$$=617+177$$=794 (cm)$" }, { "question": "길이가 각각 $378cm$, $456cm$인 색 테이프 $2$장을 그림과 같이 $246cm$가 겹치도록 이어 붙였습니다. 이어 붙인 색 테이프의 전체 길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두 색 테이프의 길이의 합) = 378+456$ $=$$834$ ($cm$) $(이어 붙인 색 테이프의 전체 길이) = 834-246$ $=$$588$ ($cm$)" }, { "question": "길이가 각각 $417$$ cm$, $398$$ cm$인 색 테이프 $2$ 장을 그림과 같이 $179$ $cm$가 겹치도록 이어 붙였습니다. 이어 붙인 색 테이프의 전체 길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=815$ ($cm$) $=636$ ($cm$)" }, { "question": "수 모형이 나타내는 수보다 $215$만큼 더 작은 수를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수 모형이 나타내는 수는 $538$입니다. $538$보다 $215$만큼 더 작은 수는 $538-215$$=323$" }, { "question": "공연장에 입장한 관객 수를 조사했습니다. 토요일과 일요일 중 입장한 관객이 더 많은 요일은 언제인가요?
토요일 일요일
남자 $134$명 $324$명
여자 $458$명 $359$명
", "answer": "$(토요일에 입장한 관객 수)=134+458=592 (명)$ $(일요일에 입장한 관객 수)=324+359=683 (명)$ $592<683$이므로 입장한 관객이 더 많은 요일은 일요일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ㄱ과 ㄴ이 나타내는 수의 합을 구해 보세요. ㄱ. $100$이 $2$ 개, $1$이 $3$ 개인 수 ㄴ. $343$보다 $213$만큼 더 큰 수", "answer": "ㄱ. $100$이 $2$ 개, $1$이 $3$ 개인 수 $\\rightarrow$ $203$ ㄴ. $343$보다 $213$만큼 더 큰 수 $\\rightarrow$ $343+213=556$ 따라서 ㄱ과 ㄴ이 나타내는 수의 합은 $203+556$$=759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한 원 안에 있는 수들의 합이 모두 $946$으로 같을 때, $★$, $■$, $◆$에 알맞은 수를 각각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왼쪽 원에서 $632+★=946$ $★$$=946-632$$=314$ 가운데 원에서 $★+209$$=314+209$$=523$ $523+■=946$ $■$$=946-523$$=423$ 오른쪽 원에서 $■+◆=946$ $423+◆=946$ $◆$$=946-423$$=523$" }, { "question": "(2) 오전에 딴 귤은 오후에 딴 귤보다 몇 개 더 많은지 구해 보세요. 민찬이네 과수원에서 오늘 딴 귤은 모두 $857$ 개이고, 그중 오전에 딴 귤은 $475$ 개입니다. 오전에 딴 귤은 오후에 딴 귤보다 몇 개 더 많은지 구해 보세요. (1) 오후에 딴 귤은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(1) $(오후에 딴 귤 수)=857-475=382$ (개) (2) 오전에 딴 귤은 오후에 딴 귤보다 $475-382=93$ (개) 더 많습니다." }, { "question": "수영이네 과수원에서 오늘 딴 수박은 모두 $647$ 통이고, 그중 오전에 딴 수박은 $481$ 통입니다. 오전에 딴 수박은 오후에 딴 수박보다 몇 통 더 많은지 구해 보세요. (1) 오후에 딴 수박은 몇 통인지 구해 보세요 (2) 오전에 딴 수박은 오후에 딴 수박보다 몇 통 더 많은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(1)$(오후에 딴 수박 수)$$=647-481$$=166$ (통) (2)오전에 딴 수박은 오후에 딴 수박보다 $481-166=315$ (통) 더 많습니다." }, { "question": "색 테이프를 유진이는 $736 cm$ 가지고 있고, 서현이는 $656 cm$ 가지고 있습니다. 두 사람이 가지고 있는 색 테이프의 길이를 같게 하려면 유진이는 서현이에게 색 테이프를 몇 $cm$ 주어야 하는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유진이는 서현이보다 색 테이프를 $736-656$$=80(cm)$ 더 가지고 있습니다. 두 사람이 가지고 있는 색 테이프의 길이를 같게 하려면 유진이가 서현이보다 더 가지고 있는 색 테이프의 반을 서현이에게 주어야 합니다. $40+40$$=80$이므로 유진이는 서현이에게 색 테이프를 $40 cm$ 주어야 합니다." }, { "question": "두 도형에서 찾을 수 있는 각은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따라서 두 도형에서 찾을 수 있는 각은 모두 $5+3$$=8 $(개)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세 자리 수끼리의 덧셈식에서 같은 모양은 같은 수를 나타냅니다. $▲$와 $●$에 알맞은 수를 각각 구해 보세요. \t $ \\begin{array}{r}▲▲▲ \\\\ +~~●~~●~~● \\\\ \\hline 1~~●~~●~~3\\end{array} $", "answer": "일의 자리 계산에서 받아올림이 없으면 $\\blacktriangle+●=3$이고 받아올림이 있으면 $\\blacktriangle+●=13$입니다. 백의 자리 계산에서 $\\blacktriangle$와 $●$를 더한 수가 천의 자리로 받아올림이 있으므로 $\\blacktriangle+●=13$입니다. 일의 자리에서 받아올림한 수가 있으므로 십의 자리 계산에서 $1+\\blacktriangle+●$의 일의 자리 숫자가 $●$와 같습니다. $1+\\blacktriangle+●$$=1+13$$=14$이므로 $●=4$ $\\blacktriangle+●=13$에서 $●=4$이므로 $\\blacktriangle+4=13$ $\\blacktriangle=13-4=9$" }, { "question": "우표 $56$ 장을 봉투 한 장에 몇 장씩 똑같이 나누어 붙이려고 합니다. 봉투가 $8$ 장 있다면 봉투 한 장에 우표를 몇 장씩 붙일 수 있는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봉투 한 장에 붙일 수 있는 우표를 $□$ 장이라고 하면 $56\\div□=8$ $⇨$ $□\\times8=56$, $7\\times8=56$이므로 $□=7$ 따라서 봉투 한 장에 붙일 수 있는 우표는 $7$ 장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도형에서 점 $ㄹ$을 꼭짓점으로 하는 각은 점 $ㄱ$을 꼭짓점으로 하는 각보다 몇 개 더 많은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
점 $ㄹ$을 꼭짓점으로 하는 각 점 $ㄴ$을 꼭짓점으로 하는 각
각 $ㄱㄹㄴ$ 또는 각 $ㄴㄹㄱ$$\\\\$ 각 $ㄱㄹㄷ$ 또는 각 $ㄷㄹㄱ$$\\\\$ 각 $ㄱㄹㅁ$ 또는 각 $ㅁㄹㄱ$$\\\\$ 각 $ㄱㄹㄷ$ 또는 각 $ㄷㄹㄱ$$\\\\$ 각 $ㄴㄹㅁ$ 또는 각 $ㅁㄹㄴ$$\\\\$ 각 $ㄷㄹㅁ$ 또는 각 $ㅁㄹㄷ$ 각 $ㄴㄱㄷ$ 또는 각 $ㄷㄱㄴ$$\\\\$ 각 $ㄴㄱㄹ$ 또는 각 $ㄹㄱㄴ$$\\\\$ 각 $ㄷㄱㄹ$ 또는 각 $ㄹㄱㄷ$
$6$개 $3$개
따라서 점 ㄹ을 꼭짓점으로 하는 각은 점 $ㄱ$을 꼭짓점으로 하는 각보다 $6-3=3$ (개) 더 많습니다." }, { "question": "준영이네 고구마밭에서 작년에는 고구마를 $312$ 개, 올해에는 작년보다 $134$ 개 더 많이 수확했습니다. 준영이네 고구마밭에서 작년과 올해에 수확한 고구마는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 올해에 수확한 고구마는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 작년과 올해에 수확한 고구마는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,", "answer": "(1) $(올해에 수확한 고구마 수) =312+134=446 (개)$ (2)$(작년과 올해에 수확한 고구마 수) =312+446=758 (개)$" }, { "question": "종이 $2$ 장에 세 자리 수를 한 개씩 써 놓았는데 한 장이 찢어져서 백의 자리 숫자만 보입니다. 두 수의 합이 $□55$일 때, 두 수의 차는 얼마인지 구해 보세요. $278$ $6$", "answer": "찢어진 부분의 십의 자리 숫자를 $㉠$, 일의 자리 숫자를 $㉡$이라 하고 덧셈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습니다. $\\begin{array}{r} 2~7~8\\\\ +6㉠㉡\\\\ \\hline \\square~5~5 \\end{array}$ 일의 자리 계산에서 $8+㉡$$=15$, $㉡=15-8$, $㉡=7$ 십의 자리 계산에서 $1+7+㉠$$=15$, $㉠=15-1-7$, $㉠=7$ 따라서 찢어진 종이에 적힌 세 자리 수는 $677$입니다. $278<677$이므로 두 수의 차는 $677-278$$=399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시계가 나타내는 시각에서 $4\\text{시간}15\\text{분}\\text{ }20\\text{초}$ 전의 시각은 몇 시 몇 분 몇 초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시계가 나타내는 시각은 $11 시 43 분 25 초$입니다. $(4 시간 15 분 20 초 전의 시각)$ $=$$11 시 43 분 25 초-4 시간 15 분 20 초$ $=$$7 시 28 분 5 초$" }, { "question": "노트 $18$ 권을 한 명에게 $6$ 권씩 주려고 합니다. 몇 명에게 나누어 줄 수 있는지 두 가지 방법으로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[뺄셈으로 구하기] $18-6-6-6=0$ $\\Rightarrow$ $18$에서 $6$씩 $3$ 번 빼면 $0$이 되므로 $3$ 명에게 나누어 줄 수 있습니다. [나눗셈으로 구하기] $18\\div6=3$이므로 $3$ 명에게 나누어 줄 수 있습니다." }, { "question": "홍주는 선착장에서 출발하여 등대까지 가려고 합니다. ㉮, ㉯, ㉰ 세 길 중 가장 가까운 길은 어느 길인가요?", "answer": "$(㉯ 길로 가는 거리)$$=$$443+513$$=956 (m)$ $(㉰ 길로 가는 거리)$$=$$353+611$$=964 (m)$ 세 길의 거리를 비교하면 $928$$<$$956$$<$$964$이므로 가장 가까운 길은 $㉮$ 길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진영이와 재희가 칠교판으로 모양을 만들었습니다. 진영이와 재희 중 직각삼각형 모양을 더 많이 이용한 사람은 누구인가요?", "answer": "진영이가 만든 모양에서 직각삼각형 모양은 ㉠, ㉡, ㉢, ㉣이므로 모두 $4$ 개입니다. 재희가 만든 모양에서 직각삼각형 모양은 ①, ④, ⑤이므로 모두 $3$ 개입니다. 따라서 직각삼각형 모양을 더 많이 이용한 사람은 진영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□$에 알맞은 수를 구해 보세요. $12\\times2=8\\times□$", "answer": "$12\\times2=24$이므로 $24=8\\times□$ $24=8\\times□$에서 $8\\times3=24$이므로 $□$에 알맞은 수는 $3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친구들이 설명하고 있는 시각을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직각이 되는 경우는 긴바늘이 $12$를 가리키고 짧은바늘이 $3$ 또는 $9$를 가리키는 경우입니다. $12$ 시와 $4$ 시 사이의 시각이므로 친구들이 설명하고 있는 시각은 $3$ 시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직각의 개수가 가장 많은 도형과 가장 적은 도형의 직각의 개수의 차는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직각의 개수를 각각 세어 보면 ㉮는 $2$ 개, ㉯는 $3$ 개, ㉰는 $5$ 개입니다. 직각의 개수가 가장 많은 도형은 ㉰ 도형, 가장 적은 도형은 ㉮ 도형이므로 $(직각의 개수의 차)$$=5-2$$=3 (개)$" }, { "question": "크기가 다른 두 정사각형을 겹치지 않게 붙여서 만든 도형입니다. 선분 $ㄱㄴ$의 길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선분 $ㄱㄴ$의 길이는 두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의 합과 같습니다. $(선분 ㄱㄴ)$$=7+9$$=16 (cm)$" }, { "question": "가구 공장에서 만든 책상, 의자, 식탁에 대한 설명입니다. 가구 공장에서 만든 식탁은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 $\\bullet$ 책상은 $419$ 개 만들었습니다. $\\bullet$ 의자는 책상보다 $157$ 개 많습니다. $\\bullet$ 식탁은 의자보다 $142$개 적습니다. (1) 가구 공장에서 만든 의자는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 (2) 가구 공장에서 만든 식탁은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(1) $(의자의 수)$$=419+157$$=576 (개)$ (2) $(식탁의 수)$$=576-142$$=434 (개)$" }, { "question": "직사각형 $ㄱㄴㄷㄹ$에서 색칠한 사각형은 모두 정사각형입니다. 선분 $ㄴㅅ$의 길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정사각형의 네 변의 길이는 모두 같습니다. $(선분 ㅁㅋ)$$=(선분 ㄹㅁ)$$=(선분 ㄷㄹ)$$=12 cm$ $(선분 ㅁㅋ)$$=(선분 ㅁㅌ)$$+(선분 ㅋㅌ)$이고 $(선분 ㅁㅌ)$$=(선분 ㅋㅌ)$이므로 $(선분 ㅁㅌ)$$=6 cm$ $(선분 ㅁㅂ)$$=(선분 ㅁㅌ)$$=6 cm$ $(선분 ㄱㅂ)$$=(선분 ㄱㄹ)$$-(선분 ㅁㅂ)$$-(선분 ㄹㅁ)$ $=$$21-6-12$$=$$3 (cm)$ $(선분 ㄱㅅ)$$=(선분 ㄱㅂ)$$=3 cm$ 직사각형에서 마주 보는 변의 길이는 같으므로 $(선분 ㄱㄴ)$$=12 cm$ $(선분 ㄴㅅ)$$=(선분 ㄱㄴ)$$-(선분 ㄱㅅ)$ $=$$12-3$$=$$9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네 수의 $□$에 $0$부터 $9$까지의 수를 한 번씩만 써넣어 세 자리 수를 만들려고 합니다. 만들 수 있는 수 중에서 가장 큰 수와 가장 작은 수의 차를 구해 보세요. $5□□$ $5□9$ $51□$ $58□$", "answer": "가장 큰 세 자리 수가 될 수 있는 수는 십의 자리에 $9$를 넣을 수 있는 $5□□$ 또는 $5□9$입니다. $□$에 $0$부터 $9$까지의 수를 한 번씩만 써넣을 수 있으므로 가장 큰 세 자리 수는 일의 자리 숫자가 $9$인 $599$입니다. 가장 작은 세 자리 수가 될 수 있는 수는 십의 자리에 $0$을 넣을 수 있는 $5□□$ 또는 $5□9$입니다. $□$에 $0$부터 $9$까지의 수를 한 번씩만 써넣을 수 있으므로 가장 작은 세 자리 수는 일의 자리에 $1$을 넣을 수 있는 $501$입니다. → $599-501$$=98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선분은 반직선보다 몇 개 더 많은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선분에 △, 반직선에 ○표를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 선분은 $2$ 개이고, 반직선은 $1$ 개입니다. 따라서 선분은 반직선보다 $2-1$$=1$ (개) 더 많습니다." }, { "question": "서연이와 승현이는 각자 그린 도형을 읽었습니다. 도형을 잘못 읽은 사람은 누구인가요? ", "answer": "[서연이가 그린 도형] 점 $ㄱ$과 점 $ㄴ$을 곧게 이은 선이므로 선분 $ㄱㄴ$ 또는 선분 $ㄴㄱ$입니다. [승현이가 그린 도형] 점 $ㄷ$에서 시작하여 점 $ㄹ$을 지나 한쪽으로 끝없이 늘인 곧은 선이므로 반직선 $ㄷㄹ$입니다. 따라서 도형을 잘못 읽은 사람은 승현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과 같은 모양의 종이를 잘라 가장 큰 직사각형과 직각삼각형을 만들었습니다. 만든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의 합은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가장 큰 직사각형과 직각삼각형이 나오도록 종이를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. 직각삼각형의 세 변은 $8 cm$, $6 cm$, $10 cm$이므로 $(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의 합)$$=8+6+10$$=24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은 크기가 다른 정사각형 $3$ 개를 겹치지 않게 이어 붙여서 만든 도형입니다. 선분 $ㅅㅇ$의 길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선분 ㄴㄷ)$$=(선분 ㄱㄴ)$$=11 cm$ $(선분 ㄹㅁ)$$=(선분 ㅁㅂ)$$=19 cm$ $(선분 ㄷㄹ)$$=(선분 ㄴㅁ)$$-(선분 ㄴㄷ)$$-(선분 ㄹㅁ)$ $=$$45-11-19$$=$$15 (cm)$ $(선분 ㄹㅇ)$$=(선분 ㄷㄹ)$$=15 cm$ $(선분 ㅅㅇ)$$=$$(선분 ㄹㅅ)$$-$$(선분 ㄹㅇ)$$=19-15$$=4 (cm)$" }, { "question": "직각은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 ", "answer": "삼각자의 직각 부분을 대었을 때 꼭 맞게 겹쳐지는 각을 찾습니다. 직각은 각 $ㄴㅅㄹ$ 또는 각 $ㄹㅅㄴ$, 각 $ㄷㅅㅁ$ 또는 각$ ㅁㅅㄷ$, 각 $ㄹㅅㅂ$ 또는 각 $ㅂㅅㄹ$, 각 $ㅁㅅㄱ$ 또는 각 $ㄱㅅㅁ$입니다. 따라서 직각은 모두 $4$ 개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직각은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삼각자의 직각 부분을 대었을 때 꼭 맞게 겹쳐지는 각을 찾습니다. 직각은 $각 ㄱㅅㄷ$ 또는 $각 ㄷㅅㄱ$, $각 ㄴㅅㄹ$ 또는 $각 ㄹㅅㄴ$, $각 ㄷㅅㅁ$ 또는 $각 ㅁㅅㄷ$, $각 ㄹㅅㅂ$ 또는 $각 ㅂㅅㄹ$입니다. 따라서 직각은 모두 $4$ 개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$2$ 개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직사각형의 네 변의 길이의 합은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직각삼각형 $2$ 개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을 만들어 봅니다. $(만들 수 있는 직사각형의 네 변의 길이의 합)$ $=$$8+6+8+6$$=$$28$ $(cm)$" }, { "question": "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$2$ 개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직사각형의 네 변의 길이의 합은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직각삼각형 $2$ 개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을 만들어 봅니다. $(만들 수 있는 직사각형의 네 변의 길이의 합) =9+12+9+12=42(cm)$" }, { "question": "보기는 이집트 상형 문자의 수 표기법을 나타낸 것입니다. 이집트 상형 문자로 나타낸 식을 계산해 보세요. $\\\\$ 보기", "answer": "(이집트 상형문자)$=252$, (이집트상형문자)$=334$이므로 (이집트 상형문자)$+$(이집트 상형문자)$=252+334$$=586$" }, { "question": "가와 나에서 찾을 수 있는 크고 작은 직각삼각형의 개수의 차는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가 도형에서 직각삼각형을 찾아보면 작은 직각삼각형 $1$ 개짜리 : $4$ 개 작은 직각삼각형 $2$ 개짜리 : $4$ 개 (크고 작은 직각삼각형의 개수)$=4+4$$=8$ (개) 나 도형에서 직각삼각형을 찾아보면 작은 직각삼각형 $1$ 개짜리 : $8$ 개 작은 직각삼각형 $2$ 개짜리 : $4$ 개 작은 직각삼각형 $4$ 개짜리 : $4$ 개 (크고 작은 직각삼각형의 개수)$=8+4+4$$=16$ (개) $⇨$ (직각삼각형의 개수의 차)$=16-8$$=8$ (개)" }, { "question": "두 도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찾아 기호를 선택해 보세요. ㄱ. 가는 직각삼각형이고, 나는 직각삼각형이 아닙니다. ㄴ. 가는 두 변의 길이가 같습니다. ㄷ. 나는 세 변의 길이가 모두 다릅니다.", "answer": "ㄱ. 직각삼각형은 한 각이 직각인 삼각형이므로 두 삼각형 모두 직각삼각형입니다. ㄴ. 가는 두 변의 길이가 같습니다. ㄷ. 나는 두 변의 길이가 같습니다. 따라서 옳은 것은 ㄴ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가로가 $9 cm$, 세로가 $17 cm$인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를 잘라서 가장 큰 정사각형을 만들었습니다. 남은 직사각형 모양 종이의 네 변의 길이의 합은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남은 직사각형 모양은 가로가 $9 cm$, 세로가 $8 cm$입니다. $(네 변의 길이의 합)$$=9+8+9+8$$=34 (cm)$" }, { "question": "도형에 있는 선분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과 가장 적은 것의 차는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도형에 있는 선분의 개수를 각각 구해 보면 ㄱ : $6$ 개, ㄴ : $5$ 개, ㄷ : $4$ 개이므로 선분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은 ㄱ, 가장 적은 것은 ㄷ입니다. 따라서 선분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과 가장 적은 것의 차는 $6-4=2$ (개)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과 같은 모양의 종이를 잘라 가장 큰 직사각형과 직각삼각형을 만들었습니다. 만든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의 합은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가장 큰 직사각형과 직각삼각형이 나오도록 종이를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. 직각삼각형의 세 변은 $3$ cm, $4$ cm, $5$ cm이므로 $(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의 합)$$=3+4+5$$=12 $(cm)" }, { "question": "흰 바둑돌 수와 검은 바둑돌 수의 차를 구해 보세요. •흰 바둑돌 : $40$개씩 $5$ 묶음 •검은 바둑돌 : $30$개씩 $4$ 묶음", "answer": "$(흰 바둑돌 수)$$=40\\times5$$=200 $(개) $(검은 바둑돌 수)$$=30\\times4$$=120$ (개) $(흰 바둑돌 수와 검은 바둑돌 수의 차)$$=200-120$$=80$ (개)" }, { "question": "두 도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찾아 기호를 선택해 보세요. ㄱ. 가는 직각삼각형이고, 나는 직각삼각형이 아닙니다 ㄴ. 가는 세 변의 길이가 모두 같습니다. ㄷ. 나는 세 변의 길이가 모두 다릅니다. ", "answer": "ㄱ. 직각삼각형은 한 각이 직각인 삼각형이므로 두 삼각형 모두 직각삼각형입니다. ㄴ. 가는 두 변의 길이가 같습니다. ㄷ. 나는 세 변의 길이가 모두 다릅니다. 따라서 옳은 것은 ㄷ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지우개 $28$ 개는 한 상자에 $7$ 개씩 담고, 연필 $36$ 자루는 한 상자에 $4$ 자루씩 담아 포장하려고 합니다. 상자는 모두 몇 개 필요한지 구해 보세요. (단, 지우개와 연필은 각각 포장합니다.)", "answer": "$(지우개를 포장하는 데 필요한 상자 수)$$=28\\div7$ $7\\times4=28$이므로 지우개를 포장하려면 상자 $4$ 개가 필요합니다. $(연필을 포장하는 데 필요한 상자 수)$$=36\\div4$ $4\\times9=36$이므로 연필을 포장하려면 상자 $9$ 개가 필요합니다. 따라서 상자는 모두 $4+9=13$ (개) 필요합니다." }, { "question": "어느 중화 요리점은 붙임 딱지 $31$ 장을 모으면 서비스로 탕수육을 한 그릇 줍니다. 붙임 딱지를 모아 민아네 가족은 $3$ 그릇, 유미네 가족은 $4$ 그릇의 탕수육을 먹었다면 민아네 가족과 유미네 가족이 탕수육과 바꾼 붙임 딱지는 각각 몇 장인가요?", "answer": "$(민아네 가족이 바꾼 붙임 딱지 수)$$=31\\times3$$=93$ (장) $(유미네 가족이 바꾼 붙임 딱지 수)$$=31\\times4$$=124$ (장)" }, { "question": "$4$ 개의 점 중에서 $2$ 개의 점을 이어 직선과 반직선을 그으려고 합니다. 점 $ㄴ$을 지나는 직선과 점 $ㄹ$에서 시작하는 반직선은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점 $ㄴ$을 지나는 직선은 직선 $ㄴㄱ$ 또는 직선 $ㄱㄴ$, 직선 $ㄴㄷ$ 또는 직선 $ㄷㄴ$, 직선 $ㄴㄹ$ 또는 직선 $ㄹㄴ$으로 $3$ 개입니다. 점 $ㄹ$에서 시작하는 반직선은 반직선 $ㄹㄱ$, 반직선 $ㄹㄴ$, 반직선 $ㄹㄷ$으로 $3$ 개입니다. 따라서 점 $ㄴ$을 지나는 직선과 점 $ㄹ$에서 시작하는 반직선은 모두 $3+3=6 (개)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은 크기가 다른 정사각형 $3$ 개를 겹치지 않게 이어 붙여서 만든 도형입니다. 선분 ㅈㅊ의 길이는 몇 cm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선분 ㄴㄷ)$$=(선분 ㄱㄴ)$$=15 cm$ $(선분 ㄹㅁ)$$=(선분 ㅁㅂ)$$=7 cm$ $(선분 ㄷㄹ)=(선분 ㄴㅁ)-(선분 ㄴㄷ)-(선분 ㄹㅁ)=35-15-7=$$13 (cm)$ $(선분 ㄷㅈ)$$=(선분 ㄷㄹ)$$=13 cm$ $(선분 ㅈㅊ)$$=$$(선분 ㄷㅊ)-(선분 ㄷㅈ)=15-13=2 (cm)$" }, { "question": "지아는 매일 영어 단어를 $52$ 개씩 외웁니다. $6$ 월 한 달 동안 영어 단어를 모두 몇 개 외우게 되는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6$ 월은 $30$ 일이므로 $(한 달 동안 외우는 영어 단어 개수)$ $=$$52\\times30$$=$$1560$ (개)" }, { "question": "$1$부터 $9$까지의 수 중에서 $□$에 공통으로 들어갈 수 있는 수를 모두 구해 보세요.$\\\\$ $\\bullet$ $1.2<1.□<0.1$이 $18$ 개인 수 $\\\\$ $\\bullet$ $5.1<5.□<5$와 $0.5$만큼의 수 $\\\\$", "answer": "$0.1$이 $18$ 개인 수는 $1.8$이므로 $1.2<1.□<1.8$ $□$에 들어갈 수 있는 수는 $3$, $4$, $5$, $6$, $7$입니다. $5$와 $0.5$만큼의 수는 $5.5$이므로 $5.1<5.□<5.5$ $□$에 들어갈 수 있는 수는 $2$, $3$, $4$입니다. 따라서 $□$에 공통으로 들어갈 수 있는 수는 $3$, $4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어떤 수를 $3$으로 나누었더니 몫이 $4$가 되었습니다. 어떤 수를 $6$으로 나눈 몫을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어떤 수를 $□$라고 하면 $□\\div3=4$ $\\rightarrow$ $3\\times4=□$, $□=12$ 따라서 어떤 수를 $6$으로 나눈 몫은 $12\\div6=2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어느 슈퍼마켓에서는 빈 사이다병 $4$개를 가져오면 새 사이다 $1$병으로 바꾸어 준다고 합니다. 이 슈퍼마켓에서 사이다 $16$병을 사서 마시면 사이다를 모두 몇 병까지 마실 수 있는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사이다 $16$ 병을 마시고 빈 사이다병 $16$ 개를 가져갔을 때 새 사이다 몇 병으로 바꿀 수 있는지 구하는 식은 $16\\div4$ $4\\times4=16$이므로 새 사이다 $4$ 병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. 새로 바꾼 사이다 $4$ 병을 다 마시면 다시 새 사이다로 바꿀 수 있으므로 빈 사이다병 $4$ 개를 가져갔을 때 새 사이다 $1$ 병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사이다를 모두 $16+4+1$$=21$ (병)까지 마실 수 있습니다." }, { "question": "과수원에서 복숭아를 $70$ 개 수확했습니다. 이 복숭아를 한 상자에 $13$ 개씩 담아 $3$ 상자를 판매했다면 남은 복숭아는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판매한 복숭아 수)$$=13\\times3$$=39 $(개) $(남은 복숭아 수)$$=70-39$$=31 $(개)" }, { "question": "어느 중화 요리점은 붙임 딱지 $42$ 장을 모으면 서비스로 탕수육을 한 그릇 줍니다. 붙임 딱지를 모아 현우네 가족은 $2$ 그릇, 유미네 가족은 $4$ 그릇의 탕수육을 먹었다면 현우네 가족과 유미네 가족이 탕수육과 바꾼 붙임 딱지는 각각 몇 장인가요?", "answer": "$(현우네 가족이 바꾼 붙임 딱지 수)$$=42\\times2$$=84 (장)$ $(유미네 가족이 바꾼 붙임 딱지 수)$$=42\\times4$$=168 (장)$" }, { "question": "두 장의 수 카드를 골라 $\\square$에 놓아 나눗셈식을 만들었을 때, $★$에 알맞은 수를 모두 구해 보세요. $4$ $5$ $9$ $35$ $54$", "answer": "$□$에 각각 $54$, $9$를 놓으면 $54\\div★=9$ $\\rightarrow$ $★\\times9=54$, $6\\times9=54$이므로 $★=6$ $□$에 각각 $35$, $5$를 놓으면 $35\\div★=5$ $\\rightarrow$ $★\\times5=35$, $7\\times5=35$이므로 $★=7$" }, { "question": "길이가 $64cm$인 철사를 모두 사용하여 크기가 같은 정사각형을 $8$개 만들었습니다. 만든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몇$cm$인지 구해 보세요. (1) 정사각형 한 개를 만드는 데 사용한 철사의 길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 (2) 만든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(1) $(정사각형 한 개를 만드는 데 사용한 철사의 길이)$$=64\\div8$ $8\\times8=64$이므로 $64\\div8$의 몫은 $8$입니다. 따라서 정사각형 한 개를 만드는 데 사용한 철사의 길이는 $8 cm$입니다. (2) $(만든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)$$=8\\div4$ $4\\times2=8$이므로 $8\\div4$의 몫은 $2$입니다. 따라서 만든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$2 cm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㉠-㉡$은 얼마인지 구해 보세요. $㉠\\div2=6$ $ $ $45\\div㉡=9$", "answer": "$㉠\\div2=6$ $\\rightarrow$ $2\\times6=㉠$, $2\\times6=12$이므로 $㉠=12$ $45\\div㉡=9$ $\\rightarrow$ $㉡\\times9=45$, $5\\times9=45$이므로 $㉡=5$ $㉠-㉡$$=12-5$$=7$" }, { "question": "$45\\div9=5$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습니다. $㉠-㉡$의 값을 구해 보세요. $\\bullet$ $㉠$을 $9$로 나누면 $5$가 됩니다. $\\bullet$ 곱셈식으로 나타내면 $9\\times㉡=45$입니다.", "answer": "$45\\div9=5$ $\\rightarrow$ $45$를 $9$로 나누면 $5$가 되므로 $㉠$$=45$입니다. $\\rightarrow$ 곱셈식으로 나타내면 $9\\times5=45$이므로 $㉡$$=5$입니다. $㉠-㉡=45-5=40$" }, { "question": "빨간색 사과가 $28$ 개, 초록색 사과가 $15$ 개 있습니다. 빨간색 사과는 한 사람이 $4$ 개씩 모두 나누어 가졌고, 초록색 사과는 한 사람이 $3$ 개씩 모두 나누어 가졌습니다. 어떤 색 사과를 가진 사람이 몇 명 더 많은지 구해 보세요. (단, 한 사람은 한 가지 색 사과만 가집니다.)", "answer": "빨간색 사과 $28$ 개를 한 사람이 $4$ 개씩 나누어 가졌다면 빨간색 사과를 가진 사람은 $7$ 명입니다. 초록색 사과 $15$ 개를 한 사람이 $3$ 개씩 나누어 가졌다면 초록색 사과를 가진 사람은 $5$ 명입니다. $7>5$이므로 빨간색 사과를 가진 사람이 $7-5$$=2$ (명) 더 많습니다." }, { "question": "민준이가 가진 사탕 모두를 $6$ 명에게 똑같이 나누어 주었더니 한 명에게 $2$ 개씩 줄 수 있었습니다. 민준이가 가지고 있던 사탕 수를 $\\square$로 하여 나눗셈식으로 나타내어 보세요.", "answer": "$(민준이가 가지고 있던 사탕 수)\\div(나누어 준 사람 수) =(한 명이 가지는 사탕 수)$ $ ⇨ □\\div6=2$" }, { "question": "어떤 수를 $3$으로 나누었더니 몫이 $4$가 되었습니다. 어떤 수를 $2$로 나눈 몫을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어떤 수를 $□$라고 하면 $□\\div3=4$ $⇨$ $3\\times4=□$, $□=12$ 따라서 어떤 수를 $2$로 나눈 몫은 $12\\div2=6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길이가 $20 cm$인 철사를 사용하여 가장 큰 정사각형 하나를 만들었습니다. 만든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몇 $c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정사각형의 네 변의 길이는 모두 같습니다. 정사각형의 네 변의 길이의 합이 $20 cm$이므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하는 식은 $20\\div4$ $4\\times5=20$이므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$5 cm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수 카드 $4$ 장 중 $3$ 장을 골라 한 번씩만 사용하여 나눗셈식을 만들려고 합니다. 만들 수 있는 나눗셈식을 모두 구해 보세요. $42~6~35~7$", "answer": "수 카드 $3$ 장을 골라 만들 수 있는 곱셈식은 $6\\times7=42$, $7\\times6=42$입니다. 곱셈식을 나눗셈식으로 나타내면 $42\\div6=7$, $42\\div7=6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경민이가 가진 클립 모두를 $7$ 명에게 똑같이 나누어 주었더니 한 명에게 $4$ 개씩 줄 수 있었습니다. 경민이가 가지고 있던 클립 수를 $□$로 하여 나눗셈식으로 나타내어 보세요.", "answer": "$(경민이가 가지고 있던 클립 수)\\div(나누어 준 사람 수) =(한 명이 가지는 클립 수) ⇨ \\square \\div 7=4$" }, { "question": "열량은 몸 속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입니다. 우리는 활동을 통해 열량을 소모할 수 있습니다. 현민이는 $30$ 분 동안 자전거를 타고 $20$ 분 동안 설거지하였습니다. 두 가지 활동을 통해 소모한 열량은 모두 몇 킬로칼로리인지 구해 보세요. $10$ 분 동안 소모하는 열량
활동 열량(킬로칼로리)
자전거 타기 $18$
등산하기 $23$
설거지하기 $12$
수영하기 $37$
", "answer": "$(30 분 동안 자전거를 탈 때 소모한 열량) =18\\times3=54$ (킬로칼로리) $(20 분 동안 설거지할 때 소모한 열량) =12\\times2$$=$$24$ (킬로칼로리) $(두 가지 활동을 통해 소모한 열량) =54+24$$=$$78$ (킬로칼로리)" }, { "question": "수 카드 $1$,$8$,$6$을 모두 한 번씩만 사용하여 다음 식의 $\\square$에 놓아 나눗셈식을 만들려고 합니다. 나눗셈식을 완성해 보세요. $\\square\\square\\div\\square=3$", "answer": "$□□$$\\div$$㉠$$=$$3$ $⇨$ $㉠$$\\times$$3$$=$$□□$ $㉠$에 $1$을 놓으면 $1\\times3=3$ $㉠$에 $8$을 놓으면 $8\\times3=24$ $㉠$에 $6$을 놓으면 $6\\times3=18$ 주어진 수 카드로 만들 수 있는 곱셈식은 $6\\times3=18$이므로 만들 수 있는 나눗셈식은 $18\\div6=3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12$, $3$, $4$를 이용하여 곱셈식과 나눗셈식으로 나타내어 보세요.", "answer": "주어진 수로 곱셈식을 만들면 $3\\times4=12$ 또는 $4\\times3=12$입니다. 이를 나눗셈식으로 나타내면 $12\\div3=4$ 또는 $12\\div4=3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어떤 수에 $2$를 곱해야 할 것을 잘못하여 나누었더니 몫이 $8$이 되었습니다. 바르게 계산한 값을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어떤 수를 $□$라고 하면 [잘못 계산한 식] $□\\div2=8$ $⇨$ $2\\times8=□$, $2\\times8=16$이므로 $□=16$ 그러므로 어떤 수는 $16$입니다. [바른 계산] $16\\times2$$=32$" }, { "question": "어떤 수를 $6$으로 나눈 몫을 다시 $4$로 나누었더니 몫이 $2$가 되었습니다. 어떤 수를 $8$로 나눈 몫을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어떤 수를 $★$이라 하고 어떤 수를 $6$으로 나눈 몫을 $▲$라 하면 $★\\div6=▲$, $▲\\div4=2$입니다. $▲\\div4=2$ $⇨$ $4\\times2=▲$, $4\\times2=8$이므로 $▲=8$ $★\\div6=8$ $⇨$ $6\\times8=★$, $6\\times8=48$이므로 $★=48$ 따라서 어떤 수는 $48$이고 어떤 수를 $8$로 나누는 나눗셈은 $48\\div8$입니다. $8\\times6=48$ $⇨$ $48\\div8=6$이므로 어떤 수를 $8$로 나눈 몫은 $6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학생들이 탁자 $5$ 개에 똑같이 나누어 앉으려고 합니다. 탁자 한 개에 $6$ 명씩 앉았다면 학생은 모두 몇 명인지 $\\square$를 사용하여 나눗셈식으로 나타내고 전체 학생 수를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전체 학생 수를 $□$ 명이라고 하면 $□\\div5=6$ $→$ $5\\times6=□$, $5\\times6=30$이므로 $□=30$ 따라서 학생은 모두 $30$ 명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곱셈표를 이용하여 $㉠$+$㉡$의 값을 구해 보세요.
$\\times$ $6$ $7$ $8$ $9$
$6$ $36$ $42$ $48$ $54$
$7$ $42$ $49$ $56$ $63$
$8$ $48$ $56$ $64$ $72$
$9$ $54$ $63$ $72$ $81$
$48\\div8$=$㉠$ $63\\div7$=$㉡$", "answer": "$8\\times6=48$이므로 $48\\div8=6$입니다. $→ ㉠$$=6$ $7\\times9=63$이므로 $63\\div7=9$입니다. $→ ㉡$$=9$ $㉠+㉡=6+9=15$" }, { "question": "어떤 수를 $9$로 나눈 몫을 다시 $2$로 나누었더니 몫이 $3$이 되었습니다. 어떤 수를 $6$으로 나눈 몫을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어떤 수를 $■$라 하고 어떤 수를 $9$로 나눈 몫을 $★$이라 하면 $■\\div9=★, $$★\\div2=3$입니다. $★\\div2=3 \\rightarrow 2\\times3=★$, $2\\times3=6$이므로 $★=6$ $■\\div9=6 \\rightarrow 9\\times6=■$, $9\\times6=54$이므로 $■=54$ 따라서 어떤 수는 $54$이고 어떤 수를 $6$으로 나누는 나눗셈은 $54\\div6$입니다. $6\\times9=54 \\rightarrow 54\\div6=9$이므로 어떤 수를 $6$으로 나눈 몫은 $9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10\\times5$와 $32\\times3$ 사이에 있는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와 $2$의 곱은 얼마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10\\times5=50$, $32\\times3=96$이므로 $50$과 $96$ 사이에 있는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는 $51$입니다. $⇨51\\times2=102$" }, { "question": "지혜는 수 모형을 사용하여 구슬의 수를 나타내었습니다. 모두 몇 개인지 곱셈식으로 나타내어 보세요.", "answer": "수 모형은 $16$씩 $3$ 묶음입니다. 십 모형은 $1\\times3$$=3$ (개)이므로 $30$이고, 일 모형은 $6\\times3$$=18$ (개)이므로 $16\\times3$$=30+18$$=48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세 학생의 대화를 읽고 물음에 답하세요. 영훈 : 나는 구슬을 $10$개 가지고 있어 지운 : 나는 영훈이가 가지고 있는 구슬 수의 $4$ 배만큼 가지고 있어 로희 : 나는 지운이가 가지고 있는 구슬 수의 $3$ 배만큼 가지고 있어. (1) 지운이가 가지고 있는 구슬은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 (2) 로희가 가지고 있는 구슬은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(1) $(지운이가 가지고 있는 구슬 수)=10\\times4=40(개)$ (2) $(로희가 가지고 있는 구슬 수)=40\\times3=120(개)$" }, { "question": "두 장의 수 카드를 골라 $\\square$에 놓아 나눗셈식을 만들었을 때, $\\bigstar$에 알맞은 수를 모두 구해 보세요. $7\\quad 4\\quad6\\quad21\\quad32\\quad \\square\\div\\bigstar=\\square\\quad$", "answer": "$□$에 각각 $32$, $4$를 놓으면 $32\\div★=4$ →$★\\times4=32$, $8\\times4=32$이므로 $★=8$ $□$에 각각 $21$, $7$을 놓으면 $21\\div★=7$ → $★\\times7=21$, $3\\times7=21$이므로 $★=3$" }, { "question": "장난감 자동차가 $8$ 개씩 $4$ 줄로 놓여 있습니다. ㉠과 ㉡의 합을 구해 보세요. $\\bullet$ $8$ 상자에 똑같이 나누어 담으려면 한 상자에 장난감 자동차를 ㉠개씩 담아야 합니다. $\\bullet$ 한 상자에 $4$ 개씩 담으려면 ㉡상자가 필요합니다.", "answer": "장난감 자동차는 모두 $8\\times4=32$ (개)입니다. 장난감 자동차 $32$ 개를 $8$ 상자에 똑같이 나누어 담으려면 $32\\div8=4$이므로 한 상자에 $4$ 개씩 담아야 합니다. $⇨$ $㉠$$=4$ 장난감 자동차 $32$ 개를 한 상자에 $4$ 개씩 담으려면 $32\\div4=8$이므로 $8$ 상자가 필요합니다. $⇨$ $㉡$$=8$ 따라서 ㉠과 ㉡의 합은 $4+8=12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어떤 수에 $3$을 곱해야 할 것을 잘못하여 나누었더니 몫이 $6$이 되었습니다. 바르게 계산한 값을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어떤 수를 $□$라고 하면 [잘못 계산한 식] $□\\div3=6$ $\\rightarrow$ $3\\times6=□$, $3\\times6=18$이므로 $□=18$ 그러므로 어떤 수는 $18$입니다. [바른 계산] $18\\times3$$=54$" }, { "question": "어떤 두 자리 수를 십의 자리 숫자와 일의 자리 숫자를 바꾼 뒤 $4$를 곱하였더니 $96$이 되었습니다. 어떤 두 자리 수를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어떤 수를 $□△$라고 하면 바뀐 수는 $△□$이므로 $△□\\times4=96$입니다. $□\\times4$의 일의 자리 숫자가 $6$이 되는 $□$는 $4$ 또는 $9$입니다. $□=4$일 때, $△$$4$$\\times$$4$$=96$에서 $△=2$이므로 $△□$$=24$ 따라서 $□△$는 $42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32$ 개씩 포장된 자두 $4$ 바구니와 $43$ 개씩 포장된 복숭아 $3$ 바구니가 있습니다. 자두와 복숭아 중 더 많은 것은 어느 것인가요?", "answer": "$(포장된 자두 수)= 32\\times4=128$ (개) $(포장된 복숭아 수)= 43\\times3=129$ (개) $128<129$이므로 더 많은 것은 복숭아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나눗셈식을 곱셈식으로, 곱셈식을 나눗셈식으로 나타낸 것입니다. $\\square$에 들어갈 수가 다른 것을 찾아 기호를 선택해 보세요. ㄱ. $42\\div6=7$ $⇨$ $6\\times\\square=42$ ㄴ. $7\\times4=28$ $⇨$ $28\\div7=\\square$ ㄷ. $5\\times7=35$ $⇨$ $35\\div\\square=5$", "answer": "ㄱ. $42\\div6=7$을 곱셈식으로 나타내면 $6\\times7=42$이므로 $□$$=7$입니다. ㄴ. $7\\times4=28$을 나눗셈식으로 나타내면 $28\\div7=4$이므로 $□$$=4$입니다. ㄷ. $5\\times7=35$를 나눗셈식으로 나타내면 $35\\div7=5$이므로 $□$$=7$입니다. 따라서 $□$에 들어갈 수가 다른 것은 ㄴ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준수는 화요일마다 훌라후프를 $41$ 번씩 돌렸습니다. $9$ 월 $6$일이 화요일이었다면 $9$ 월 $6$ 일부터 $10$ 월 $5$ 일까지 준수는 훌라후프를 모두 몇 번 돌렸는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9$ 월 $6$일이 화요일이었므로 $10$ 월 $5$일까지 화요일은 $9$ 월 $6$일, $9$ 월 $13$일, $9$ 월 $20$일, $9$ 월 $27$일, $10$ 월 $4$일로 모두 $5$ 번 있었습니다. 따라서 이 기간 동안 준수는 훌라후프를 모두 $41\\times5=205 (번)$ 돌렸습니다." }, { "question": "하루 동안 동화책을 현성이는 $36$ 쪽씩, 성주는 $29$ 쪽씩 읽는다면 이 두 사람이 $2$ 일 동안 읽는 동화책 쪽수는 모두 몇 쪽인가요?", "answer": "$(현성이가 읽는 동화책 쪽수)=36\\times2$$=72$(쪽) $(성주가 읽는 동화책 쪽수)=29\\times2$$=58$(쪽) $(두 사람이 2 일 동안 읽는 동화책 쪽수)=72+58$$=130$(쪽)" }, { "question": "색종이를 수아는 $30$ 장씩 $3$ 묶음, 연화는 $20$ 장씩 $3$ 묶음 가지고 있습니다. 수아와 연화 중 색종이를 더 적게 가지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요?", "answer": "$(수아가 가지고 있는 색종이 수)$$=30\\times3$$=90$ (장) $(연화가 가지고 있는 색종이 수)$$=20\\times3$$=60 $(장) $90>60$이므로 색종이를 더 적게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연화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\\square$와 $\\bigstar$의 값의 합을 구해 보세요. $\\begin{array}{r} \\bigstar4\\\\ \\times \\quad2\\\\ \\hline 18\\square \\end{array}$", "answer": "$4\\times2=8$이므로 $□=8$ $☆\\times2=18$이므로 $☆=9$ 따라서 $□$와 $☆$의 값의 합은 $8+9=17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하루 동안 동화책을 현성이는 $48$ 쪽씩, 성주는 $46$ 쪽씩 읽는다면 이 두 사람이 $2$ 일 동안 읽는 동화책 쪽수는 모두 몇 쪽인가요?", "answer": "$(현성이가 읽는 동화책 쪽수)$$=48\\times2$$=96 (쪽)$ $(성주가 읽는 동화책 쪽수)$$=46\\times2$$=92 (쪽)$ $(두 사람이 2 일 동안 읽는 동화책 쪽수)$$=96+92$$=188 (쪽)$" }, { "question": "$1$부터 $9$까지의 수 중에서 $\\square$에 들어갈 수 있는 수들의 합을 구해 보세요. $45\\times5$$>$$\\square6$$\\times$$6$", "answer": "$45\\times5$$=225$ $16\\times6=96 \\rightarrow 225>96$ ($○$) $26\\times6=156 \\rightarrow 225>156$ ($○$) $36\\times6=216 \\rightarrow 225>216$ ($○$) $46\\times6=276 \\rightarrow 225>276$ ($×$) $\\square$에 들어갈 수 있는 수는 $1$, $2$, $3$이므로 $(\\square에 들어갈 수 있는 수들의 합)$$=1+2+3$$=6$" }, { "question": "민채는 공책을 한 상자에 $32$ 권씩 $3$ 상자 가지고 있었습니다. 그중에서 $27$ 권을 잃어버렸다면 민채에게 남은 공책은 몇 권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처음 가지고 있던 공책 수)$$=32\\times3$$=96 (권)$$\\\\$ $(남은 공책 수)$$=96-27$$=69 (권)$" }, { "question": "하루 동안 동화책을 장미는 $29$ 쪽씩, 윤수는 $25$ 쪽씩 읽는다면 이 두 사람이 $3$ 일 동안 읽는 동화책 쪽수는 모두 몇 쪽인가요?", "answer": "$(장미가 읽는 동화책 쪽수)$$=29\\times3$$=87$ (쪽) $(윤수가 읽는 동화책 쪽수)$$=25\\times3$$=75$ (쪽) $(두 사람이 3 일 동안 읽는 동화책 쪽수)$$=87+75$$=162 $(쪽)" }, { "question": "$\\square$에 알맞은 수를 구해 보세요. $12\\times3=4\\times\\square$", "answer": "$12\\times3=36$이므로 $36=4\\times□$ $36=4\\times□$에서 $4\\times9=36$이므로 $□$에 알맞은 수는 $9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승우는 $13km$ 떨어져 있는 도서관에 갔습니다. $12km670m$는 버스를 타고, 나머지는 걸어서 갔습니다. 승우는 몇 $m$를 걸었는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13 km$ 중 $12 km 670 m$는 버스를 탔으므로 $13 km$에서 $12 km$를 빼고, 그 나머지 $1 km$에서 $670 m$를 빼면 됩니다. $1 km=1000 m$이므로 $(승우가 걸어간 거리)=1000-670=330(m)$" }, { "question": "어느 중화 요리점은 붙임 딱지 $21$ 장을 모으면 서비스로 탕수육을 한 그릇 줍니다. 붙임 딱지를 모아 수지네 가족은 $4$ 그릇, 민지네 가족은 $6$ 그릇의 탕수육을 먹었다면 수지네 가족과 민지네 가족이 탕수육과 바꾼 붙임 딱지는 각각 몇 장인가요?", "answer": "$(수지네 가족이 바꾼 붙임 딱지 수)=21\\times4=84 (장)$ $(민지네 가족이 바꾼 붙임 딱지 수)=21\\times6=126 (장)$" }, { "question": "빵집에서 쿠키를 매일 $138$ 개씩 만들려고 합니다. 이 빵집에서 $3$ 주 동안 만들 수 있는 쿠키는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 (1) 빵집에서 $1$ 주 동안 만들 수 있는 쿠키는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 (2) 빵집에서 $3$ 주 동안 만들 수 있는 쿠키는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(1) $1$ 주는 $7$ 일이므로 $(1 주 동안 만들 수 있는 쿠키의 수)$$=138\\times7$$=966 $(개) (2) $(3 주 동안 만들 수 있는 쿠키의 수)$$=966\\times3$$=2898$ (개)" }, { "question": "$1$부터 $9$까지의 수 중에서 $□$에 들어갈 수 있는 수들의 합을 구해 보세요. $12\\times9$ > $□8\\times3$", "answer": "$12\\times9$$=108$ $18\\times3=54$ $\\rightarrow$ $108>54$ (O) $28\\times3=84$ $\\rightarrow$ $108>84$ (O) $38\\times3=114$ $\\rightarrow$ $108>114$ (X) $□$에 들어갈 수 있는 수는 $1$, $2$이므로 $(□에 들어갈 수 있는 수들의 합)$$=1+2$$=3$" }, { "question": "민식이와 경식이의 $1000{m}$ 달리기 기록입니다. 민식이와 경식이의 기록의 차는 몇 분 몇 초인가요?$\\\\$ 민식 : $5$분$52$초 경식 : $430$초", "answer": "$430 초$$=420 초+10 초$$=7 분 10 초$ $5 분 52 초<7 분 10 초$이므로 기록이 더 긴 사람은 경식입니다. $(민식이와 경식이의 기록의 차) = 7 분 10 초-5 분 52 초=1 분 18 초$" }, { "question": "오리 한 마리의 다리는 $2$ 개이고 양 한 마리의 다리는 $4$ 개입니다. 오리 $21$ 마리와 양 $12$ 마리의 다리는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오리 21 마리의 다리 수)$$=21\\times2$$=42 (개)$ $(양 12 마리의 다리 수)$$=12\\times4$$=48 (개)$ $(오리 21 마리와 양 12 마리의 다리 수)$$=42+48$$=90 (개)$" }, { "question": "홍경이는 구슬을 한 봉지에 $24$ 개씩 $2$ 봉지 가지고 있었습니다. 그중에서 $33$ 개를 잃어버렸다면 홍경이에게 남은 구슬은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처음 가지고 있던 구슬 수)$$=24\\times2$$=48$ (개) $(남은 구슬 수)$$=48-33$$=15$ (개)" }, { "question": "열량은 몸 속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입니다. 우리는 활동을 통해 열량을 소모할 수 있습니다. 지유는 $40$ 분 동안 수영하고 $30$ 분 동안 줄넘기했습니다. 두 가지 활동을 통해 소모한 열량은 모두 몇 킬로칼로리인지 구해 보세요. $10$ 분 동안 소모하는 열량
활동 열량 (킬로칼로리)
수다떨기 $13$
수영하기 $37$
줄넘기하기 $49$
명상하기 $7$
", "answer": "$(40 분 동안 수영할 때 소모한 열량)$ $=$$37\\times4$$=$$148$ (킬로칼로리) $(30 분 동안 줄넘기할 때 소모한 열량)$ $=$$49\\times3$$=$$147$ (킬로칼로리) $(두 가지 활동을 통해 소모한 열량)$ $=$$148+147$$=$$295$ (킬로칼로리)" }, { "question": "주혁이는 $63m$를 걷는 데 $3$ 분이 걸리고, 민제는 $52m$를 걷는 데 $2$ 분이 걸린다고 합니다. 그림과 같이 두 사람이 직선 도로 위의 같은 지점에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출발하여 $5$ 분 동안 걸었을 때 주혁이와 민제 사이의 거리는 몇 $m$인지 구해 보세요. (단, 두 사람이 걷는 빠르기는 각각 일정합니다.)", "answer": "주혁이와 민제는 같은 지점에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출발하였으므로 출발한 지 $5$ 분 후 주혁이와 민제 사이의 거리는 $5$ 분 동안 주혁이가 걸은 거리와 민제가 걸은 거리의 합입니다. $21+21+21$$=63$이므로 주혁이가 $1$ 분 동안 걷는 거리는 $21 m$입니다. $(주혁이가 5 분 동안 걸은 거리)$$=21\\times5$$=105 (m)$ $26+26$$=52$이므로 민제가 $1$ 분 동안 걷는 거리는 $26 m$입니다. $(민제가 5 분 동안 걸은 거리)$$=26\\times5$$=130 (m)$ $(5 분 후 주혁이와 민제 사이의 거리)$ $=$$105+130$$=$$235 (m)$" }, { "question": "계산 결과가 다른 하나를 찾아 기호를 선택해 보세요. ㄱ. $12\\times8 $ ㄴ. $23\\times4$ ㄷ. $32\\times3$", "answer": "ㄱ. $12\\times8=96$ ㄴ. $23\\times4=92$ ㄷ. $32\\times3=96$ 따라서 계산 결과가 다른 하나는 ㄴ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곱이 $200$에 가장 가까운 수가 되도록 $㉠$에 알맞은 한 자리 수를 구해 보세요. $38\\times㉠$", "answer": "$38\\times5=190$, $38\\times6=228$이고 $190$과 $228$ 중 $200$에 더 가까운 수는 $200$과의 차가 더 작은 수입니다. $190<200$이므로 $200-190=10$ $200<228$이므로 $228-200=28$ $10<28$이므로 $200$에 더 가까운 수는 $190$입니다. 따라서 $38\\times㉠=190$에서 $㉠$에 알맞은 한 자리 수는 $5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색칠한 부분에 대한 설명입니다. $㉠$과 $㉡$의 합을 구해 보세요. $\\bullet$ 전체를 똑같이 $8$로 나눈 것 중의 $㉠$입니다. $\\\\$ $\\bullet$ 전체를 똑같이 $㉡$으로 나눈 것 중의 $1$입니다.", "answer": "색칠한 부분은 전체를 똑같이 $8$로 나눈 것 중의 $4$입니다. $→$ $㉠=4$ 색칠한 부분은 전체를 똑같이 $2$로 나눈 것 중의 $1$입니다. $→$ $㉡=2$ $㉠+㉡=4+2=6$" }, { "question": "직사각형 모양의 땅이 있습니다. 이 땅의 짧은 변을 길이가 $5m$인 막대로 재었더니 막대의 길이의 $6$ 배였고, 땅의 긴 변의 길이는 짧은 변의 길이의 $7$ 배였습니다. 이 땅의 네 변의 길이의 합은 몇 $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땅의\\; 짧은\\; 변의\\; 길이)$$=5\\times6$$=30$ $(m)$ $(땅의\\; 긴\\; 변의\\; 길이)$$=30\\times7$$=210$ $(m)$ $(땅의\\; 네\\; 변의\\; 길이의\\; 합)$$=210+30+210+30$$=480$ $(m)$" }, { "question": "계산 결과가 다른 하나를 찾아 기호를 선택해 보세요. ㄱ. $23\\times4$ ㄴ. $18\\times4$ ㄷ. $46\\times2$", "answer": "ㄱ. $23\\times4=92$ ㄴ. $18\\times4=72$ ㄷ. $46\\times2=92$ 따라서 계산 결과가 다른 하나는 ㄴ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5$ 장의 수 카드 중에서 $3$ 장을 골라 한 번씩만 사용하여 $(두 자리 수)\\times(한 자리 수)$의 곱셈식을 만들려고 합니다. 만들 수 있는 곱셈식의 가장 큰 곱과 가장 작은 곱의 합을 구해 보세요. $2$ $4$ $6$ $7$ $9$", "answer": "$9$$>$$7$$>$$6$$>$$4$$>$$2$이므로 가장 큰 수 $9$를 곱하는 수에 놓고 나머지 수로 만든 가장 큰 두 자리 수 $76$을 곱해지는 수에 놓으면 곱이 가장 큽니다. $\\rightarrow$ $76\\times9$$=684$ 가장 작은 수 $2$를 곱하는 수에 놓고 나머지 수로 만든 가장 작은 두 자리 수 $46$을 곱해지는 수에 놓으면 곱이 가장 작습니다. $\\rightarrow$ $46\\times2$$=92$ 따라서 가장 큰 곱과 가장 작은 곱의 합은 $684+92$$=776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세 사람 중 다른 시간을 말한 사람은 누구인가요?", "answer": "현우가 말한 시간을 초로 나타내면 $1 분=60 초$이므로 $4 분 13 초$$=240 초+13 초$$=253 초$ 따라서 다른 시간을 말한 사람은 지우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계산 결과가 다른 하나를 찾아 기호를 선택해 보세요. ㄱ. $14\\times3$ ㄴ. $24\\times3$ ㄷ. $12\\times6$", "answer": "ㄱ. $14\\times3=42$ ㄴ. $24\\times3=72$ ㄷ. $12\\times6=72$ 따라서 계산 결과가 다른 하나는 ㄱ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색칠한 부분에 대한 설명입니다. $㉠$과 $㉡$의 합을 구해 보세요. ·전체를 똑같이 $12$로 나눈 것 중의 $㉠$입니다. ·전체를 똑같이 $㉡$으로 나눈 것 중의 $1$입니다.", "answer": "색칠한 부분은 전체를 똑같이 $12$로 나눈 것 중의 $3$입니다. ⇨ $㉠=3$ 색칠한 부분은 전체를 똑같이 $4$로 나눈 것 중의 $1$입니다. ⇨ $㉡=4$ $㉠+㉡$$=$$3+4$$=7$" }, { "question": "$□$에 알맞은 수를 구해 보세요. $21\\times2=7\\times□$", "answer": "$21\\times2=42$이므로 $42=7\\times□$ $42=7\\times□$에서 $7\\times6=42$이므로 $□$에 알맞은 수는 $6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을 보고 민수가 농구를 시작한 시각은 몇 시 몇 분 몇 초인지 구해 보세요. $\\\\$민수 : 지금 시각은 $6$시 $52$분 $56$초이고, $1$시간 $7$분 $45$초 전부터 농구를 했어.", "answer": "$(농구를 시작한 시각) =$$6 시 52 분 56 초-1 시간 7 분 45 초$ $=$$5 시 45 분 11 초$" }, { "question": "세 학생의 대화를 읽고 물음에 답하세요. 장훈 : 나는 붙임딱지를 $10$장 가지고 있어. 재원 : 니는 장훈이가 가지고 있는 붙임딱지 수의 $5$배만큼 가지고 있어. 승재 : 나는 재원이가 가지고 있는 붙임딱지 수의 $3$ 배만큼 가지고 있어. (1) 재원이가 가지고 있는 붙임딱지는 몇 장인지 구해 보세요. (2) 승재가 가지고 있는 붙임딱지는 몇 장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(1) $(재원이가 가지고 있는 붙임딱지 수)=$$10\\times5=50$ (장) (2) $(승재가 가지고 있는 붙임딱지 수)=$$50\\times3=150$ (장)" }, { "question": "두께가 $1 mm$인 엽서를 여러 장 쌓았더니 높이가 $9 cm 5 mm$가 되었습니다. 쌓은 엽서는 모두 몇 장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1 cm=10 mm$이므로 $9 cm 5 mm$$=90 mm+5 mm$$=95 mm$ 두께가 $1 mm$인 엽서를 쌓은 높이가 $95 mm$이므로 쌓은 엽서는 모두 $95$ 장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수직선에서 ㉠이 가리키는 분수보다 큰 수는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. $\\frac{2}{10}$ $\\frac{1}{8}$ $\\frac{3}{10}$ $\\frac{1}{12}$ $\\frac{5}{10}$", "answer": "작은 눈금 한 칸의 크기는 $1$을 똑같이 $10$으로 나눈 것 중의 $1$이므로 $\\frac{1}{10}$입니다. 따라서 $㉠$이 가리키는 분수는 $\\frac{1}{10}$입니다. $\\frac{1}{10}$과 분모가 같은 경우 : $\\frac{1}{10}<\\frac{2}{10}<\\frac{3}{10}<\\frac{5}{10}$ $\\frac{1}{10}$과 분자가 같은 경우 : $\\frac{1}{12}<\\frac{1}{10}<\\frac{1}{8}$ 따라서 $㉠$이 가리키는 분수보다 큰 수는 $\\frac{2}{10}$, $\\frac{3}{10}$, $\\frac{5}{10}$, $\\frac{1}{8}$이므로 $4$ 개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(두 자리 수)\\times(한 자리 수)$의 곱셈식입니다. $㉠$과 $㉡$에 알맞은 수를 각각 구해 보세요. $\\begin{array}{r} ㉠ ㉡\\\\ \\times ~~~~~~9\\\\ \\hline 2~7~9 \\end{array}$", "answer": "$㉡\\times9$의 일의 자리 숫자가 $9$이므로 $1\\times9=9$에서 $㉡=1$입니다. 일의 자리 계산에서 올림한 수가 없으므로 $㉠\\times9=27$입니다. $3\\times9=27$이므로 $㉠=3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성은이와 온유는 $7$시에 만나기로 약속했습니다. 성은이는 약속 시간보다 $10$분$14$초 전에 도착했고, 온유는 성은이보다 $3$분$8$초늦게 도착했습니다. 온유가 도착한 시각은 몇 시 몇 분 몇 초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성은이가 도착한 시각)$ $=$$7 시- 10 분 14 초$ $=$$6 시 49 분 46 초$ $(온유가 도착한 시각)$ $=$$6 시 49 분 46 초+3분 8초$ $=$$6 시 52 분 54 초$" }, { "question": "민석이는 친구들과 어제는 $47$ 분 $30$ 초, 오늘은 $42$ 분 $15$ 초 동안 축구를 하였습니다. 민석이는 오늘보다 어제 몇 분 몇 초 동안 축구를 더 오래 했는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어제 축구를 한 시간)-(오늘 축구를 한 시간) =47 분 30 초-42 분 15 초 =5 분 15 초$" }, { "question": "$\\square$에 들어갈 수 있는 세 자리 수는 모두 $11$ 개입니다. ㉠에 알맞은 수를 구해 보세요. (단, ㉠은 $1$부터 $9$까지의 수입니다.) $74\\times2<□<80\\times㉠$", "answer": "$74\\times2=148$이고 $□$에 들어갈 수 있는 세 자리 수는 $11$ 개이므로 $149$, $150$, $151$ $······$ $159$입니다. 따라서 $80\\times㉠=160$이므로 $80\\times2=160$에서 $㉠=2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초등부 스케이트 대회에 참가한 세 학생의 기록입니다. 기록이 가장 느린 학생은 누구인가요?
채연 유림 서우
$5$분$14$초 $308$초 $5$분$19$초
", "answer": "유림이의 기록을 분과 초로 나타내면 $60 초=1 분$이므로 $308 초$$=300 초+8 초$$=5 분 8 초$ $5 분 19 초$$>$$5 분 14 초$$>$$5 분 8 초$이므로 기록이 가장 느린 학생은 서우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혜성이와 승지는 각각 가지고 있는 $4$ 장의 수 카드 중에서 두 장을 골라 가장 큰 단위분수를 만들었습니다. 더 큰 분수를 만든 사람의 이름을 선택하고 그 분수를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단위분수를 만들어야 하므로 분자에는 $1$을 놓아야 합니다. 혜성이가 가지고 있는 수 카드의 수의 크기를 비교하면 $4<7<9$이므로 혜성이가 만든 가장 큰 단위분수는 $\\frac{1}{4}$입니다. 승지가 가지고 있는 수 카드의 수의 크기를 비교하면 $5<6<8$이므로 승지가 만든 가장 큰 단위분수는 $\\frac{1}{5}$입니다. $\\frac{1}{4}>\\frac{1}{5}$이므로 더 큰 분수를 만든 사람은 혜성이고 분수는 $\\frac{1}{4}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□$에 들어갈 수 있는 세 자리 수는 모두 $13$ 개입니다. $㉠$에 알맞은 수를 구해 보세요. (단, $㉠$은 $1$부터 $9$까지의 수입니다.) $\\\\$ $42\\times3<□<20\\times㉠$", "answer": "$42\\times3=126$이고 $□$에 들어갈 수 있는 세 자리 수는 $13$ 개이므로 $127, 128, 129 ······139$입니다. 따라서 $20\\times㉠=140$이므로 $20\\times7=140$에서 $㉠=7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리본 $1m$를 똑같이 $10$ 조각으로 나누어 그중 하연이가 $9$ 조각, 가람이가 $1$ 조각을 사용했습니다. 하연이와 가람이가 사용한 리본의 길이가 각각 몇 $m$인지 소수로 나타내어 보세요.", "answer": "$1$ $m$를 똑같이 $10$ 조각으로 나눈 것 중의 $1$ 조각은 $0.1$ $m$입니다. 하연이가 사용한 리본의 길이는 $0.1$ $m$가 $9$ 조각이므로 $0.9$ $m$, 가람이가 사용한 리본의 길이는 $0.1$ $m$가 $1$ 조각이므로 $0.1$ $m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지현이는 집에서 출발하여 $1$ 분에 $42m$씩 가는 빠르기로 $3$ 분 동안 걷다가 $1$ 분에 $51m$씩 가는 빠르기로 $4$ 분 동안 걸어서 지하철역에 도착하였습니다. 지현이가 집에서 지하철역까지 걸어간 거리는 몇 $m$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1 분에 42 m씩 3 분 동안 간 거리)$$=42\\times3$$=126 (m)$ $(1 분에 51 m씩 4 분 동안 간 거리)$$=51\\times4$$=204 (m)$ $(집에서 지하철역까지 걸어간 거리)$$=126+204$$=330 (m)$" }, { "question": "승해와 성진이는 $4$ 시에 만나기로 약속했습니다. 승해는 약속 시간보다 $11$ 분 $25$ 초 전에 도착했고, 성진이는 승해보다 $7$ 분 $19$ 초 늦게 도착했습니다. 성진이가 도착한 시각은 몇 시 몇 분 몇 초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$(승해가 도착한 시각)=4시-11분25초 =3 시 48 분 35 초$ $(성진이가 도착한 시각)= 3시 48분 35초 +7분 19초 =3 시 55 분 54 초$" }, { "question": "선주가 일요일에 등산했습니다. $6시38분$에 출발하여 $2시간15분$ 동안 올라갔다가 쉬지 않고 $2시간23분$ 동안 내려왔습니다. 선주가 내려왔을 때의 시각은 몇 시 몇 분인지 구해 보세요. $\\\\$ (1)선주가 등산하는 데 걸린 시간은 몇 시간 몇 분인지 구해 보세요. $\\\\$ (2)선주가 내려왔을 때의 시각은 몇 시 몇 분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(1) $(등산하는 데 걸린 시간) =$$2 시간 15 분+2 시간 23 분$ $=$$4 시간 38 분$ (2) $(내려왔을 때의 시각) =$$6 시 38 분+4 시간 38 분$ $=$$10 시 76 분$ $=$$11 시 16 분$" }, { "question": "준희는 종이에 빨간색 테이프 $24 mm$와 노란색 테이프 $38 mm$를 붙였습니다. 준희가 종이에 붙인 색 테이프의 길이는 모두 몇 $cm$인지 소수로 나타내어 보세요.", "answer": "$(종이에 붙인 색 테이프의 길이) =$ $24$ $mm$ $+$ $38$ $mm$ $=$ $62$ $mm$ $=$$6$ $cm$ $2$ $mm$ $=$$6.2 cm$" }, { "question": "정희, 민지, 선영이가 각각 똑같은 퍼즐을 가지고 있습니다. 정희는 전체의 $\\frac{3}{9}$, 민지는 전체의 $\\frac{7}{9}$, 선영이는 전체의 $\\frac{2}{9}$만큼 퍼즐을 완성했습니다. 퍼즐을 가장 적게 완성한 사람은 누구인가요?", "answer": "세 분수의 분모가 같으므로 분자의 크기를 비교합니다. $2$$<$$3$$<$$7$이므로 $\\frac{2}{9}$$<$$\\frac{3}{9}$$<$$\\frac{7}{9}$입니다. 따라서 퍼즐을 가장 적게 완성한 사람은 선영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전체를 똑같이 $8$로 나누어 일부분을 색칠했습니다. 색칠한 부분은 전체의 얼마인지 분수로 나타내어 보세요.", "answer": "전체를 똑같이 $8$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 색칠한 부분은 전체를 똑같이 $8$로 나눈 것 중의 $3$이므로 전체의 $\\frac{3}{8}$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$\\square$안에 알맞은 수를 써넣으세요.", "answer": "구하는 시간을 $□ 시간 △ 분 ○ 초$라고 하면 $4 시간 31 분 29 초+□ 시간 △ 분 ○ 초=8 시간 12 분 30 초$ $⇨$ $□ 시간 △ 분 ○ 초$ $=$$8 시간 12 분 30 초-4 시간 31 분 29 초$ $=$$3 시간 41 분 1 초$" }, { "question": "색칠한 부분에 대한 설명입니다. ㉠과 ㉡의 합을 구해 보세요. 전체를 똑같이 $10$으로 나눈 것 중의 ㉠입니다. 전체를 똑같이 ㉡으로 나눈 것 중의 $1$입니다.", "answer": "색칠한 부분은 전체를 똑같이 $10$으로 나눈 것 중의 $2$입니다. $⇨㉠=2$ 색칠한 부분은 전체를 똑같이 $5$로 나눈 것 중의 $1$입니다. $⇨㉡=5$ $㉠+㉡$$=$$2+5$$=7$" }, { "question": "버스 터미널에서 버스가 $2$시 $20$분에 출발한다고 합니다. 유미네 학교에서 버스 터미널까지 $20$분이 걸리고, 거울에 비친 지금 시각을 보니 다음과 같았습니다. 유미가 버스를 타기 위해 지금 학교에서 출발한다면 버스 터미널에 도착해서 버스가 출발하기까지 몇 분 몇 초를 기다려야 하는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거울에 비친 지금 시각은 $1 시 45 분 25 초$이므로 $(버스 터미널에 도착하는 시각)$ $=$$1 시 45 분 25 초+20 분$ $=$$2 시 5 분 25 초$ $(버스가 출발하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간)$ $=$$2 시 20 분-2 시 5 분 25 초$ $=$$14 분 35 초$" }, { "question": "재균이와 현수는 각각 음료수를 한 병씩 샀습니다. 재균이는 음료수 전체의 $\\frac{5}{9}$를 마셨고, 현수는 전체의 $\\frac{1}{9}$을 마셨습니다. 재균이가 마신 양은 현수가 마신 양의 몇 배인지 구해 보세요.", "answer": "재균이가 마신 양 : 전체의 $\\frac{5}{9}$ 현수가 마신 양 : 전체의 $\\frac{1}{9}$ $\\frac{5}{9}$는 $\\frac{1}{9}$이 $5$ 개이므로 재균이가 마신 양은 현수가 마신 양의 $5$ 배입니다." }, { "question": "케이크를 똑같이 $10$ 조각으로 나누어 영재가 그중 $2$ 조각을 먹었습니다. 영재가 먹은 케이크를 소수로 나타내어 보세요.", "answer": "전체를 똑같이 $10$으로 나눈 것 중 $1$은 $0.1$입니다. 영재는 케이크 $10$ 조각 중 $2$ 조각을 먹었으므로 $0.1$이 $2$ 개인 수 $\\Rightarrow$ $0.2$" }, { "question": "세연이가 두 가지 일을 하는 데 걸린 시간을 적었습니다. 시간이 더 오래 걸린 일은 무엇인가요? $\\cdot$ 그림 그리기 : 5분 22초 $\\cdot$ 과일 먹기 : 315초 답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