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 { "question": "$2.\\dot{5}\\dot{1}+1.\\dot{3}+2.\\dot{1}\\dot{4}$를 계산한 값을 순환소수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? ① $\\dot{5}.9\\dot{8}$ $ $ ② $\\dot{5}.\\dot{9}8$ $ $ ③ $5.\\dot{9}\\dot{8}$ ④ $5.0\\dot{9}\\dot{8}$ $ $ ⑤ $5.9\\dot{8}$", "answer": "$2.\\dot{5}\\dot{1}$$=\\frac{251-2}{99}$$=\\frac{249}{99}$$=\\frac{83}{33}$ $1.\\dot{3}$$=\\frac{13-1}{9}$$=\\frac{12}{9}$$=\\frac{4}{3}$ $2.\\dot{1}\\dot{4}$$=\\frac{214-2}{99}$$=\\frac{212}{99}$ ∴ $2.\\dot{5}\\dot{1}+1.\\dot{3}+2.\\dot{1}\\dot{4}=\\frac{83}{33}+\\frac{4}{3}+\\frac{212}{99}$ $=$$\\frac{593}{99}$$=$$5.9898\\cdots$$=$$5.\\dot{9}\\dot{8}$" }, { "question": "다음은 어느 과자의 영양 성분을 나타낸 표이다. $1$ 회 제공량 $70$ g에 대한 탄수화물, 당류, 지방, 단백질의 함량을 분수로 나타냈을 때,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영양 성분을 모두 구하여라.
영양 성분 $\\quad$ $1$회 제공량 $70 g$
$1$회 제공량당 함량
열량 $219 kcal$
탄수화물 $30 g$
당류 $14 g$
지방 $7 g$
단백질 $2 g$
", "answer": "분모의 소인수가 $2$ 또는 $5$뿐인 기약분수는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. 탄수화물 : $\\frac{30}{70}$$=\\frac{3}{7}$ 당류 : $\\frac{14}{70}$$=\\frac{1}{5}$ 지방 : $\\frac{7}{70}$$=\\frac{1}{10}$$=\\frac{1}{2\\times5}$ 단백질 : $\\frac{2}{70}$$=\\frac{1}{35}$$=\\frac{1}{5\\times7}$ 따라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영양 성분은 당류, 지방이다." }, { "question": "$(a^xb^yc^z)^w=a^{60}b^{20}c^{30}$을 만족시키는 가장 큰 자연수 $w$에 대하여 $x+y+z+w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$x$, $y$, $z$는 자연수)", "answer": "가장 큰 자연수 $w$는 세 지수 $60$, $20$, $30$의 최대공약수이므로 $w=10$ $(a^xb^yc^z)^{10}$$=(a^x)^{10}\\times(b^y)^{10}\\times(c^z)^{10}$$=a^{10x}b^{10y}c^{10z}$$=a^{60}b^{20}c^{30}$ $10x=60$, $10y=20$, $10z=30$ $∴ x=6$, $y=2$, $z=3$ $∴ x+y+z+w$$=6+2+3+10$$=21$" }, { "question": "다음은 어느 아이스크림의 영양 성분을 나타낸 표이다. $1회$ 제공량 $60g$에 대한 탄수화물, 당류, 단백질, 지방의 함량을 분수로 나타냈을 때,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영양 성분을 모두 구하여라.
영양성분 1회 제공량 60g
1회 제공량당 함량
열량 $295kcal$
탄수화물 $2g$
당류 $12g$
단백질 $8g$
지방 $15g$
", "answer": "분모의 소인수가 $2$ 또는 $5$뿐인 기약분수는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. 탄수화물 : $\\frac{20}{60}$$=\\frac{1}{3}$ 당류 : $\\frac{12}{60}$$=\\frac{1}{5}$ 단백질 : $\\frac{8}{60}$$=\\frac{2}{15}$$=\\frac{2}{3\\times5}$ 지방 : $\\frac{15}{60}$$=\\frac{1}{4}$$=\\frac{1}{2^2}$ 따라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영양 성분은 당류, 지방이다." }, { "question": "$x=1$, $y=-2$일 때, $(-x^2y)^2\\times2x^3y^2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-x^2y)^2\\times2x^3y^2=x^4y^2\\times2x^3y^2$ $=$$2x^7y^4$ $=$$2\\times1^7\\times(-2)^4$ $=$$32$" }, { "question": "분수 $\\frac{10}{21}$을 소수로 나타낼 때, 소수점 아래 $45$ 번째 자리의 숫자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frac{10}{21}$$=0.476190476190\\cdots$$=0.\\dot{4}7619\\dot{0}$ 순환마디를 이루는 숫자는 $6$ 개이고 $45=6\\times7+3$이므로 소수점 아래 $45$ 번째 자리의 숫자는 순환마디의 세 번째 숫자인 $6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을 만족시키는 유리수 $a$, $b$에 대하여 $ab$의 값을 순환소수로 나타내었을 때, 소수점 아래 $80$ 번째 자리의 숫자를 구하여라. $0.\\dot{2}2\\dot{7}=a\\times227$, $0.\\dot{8}\\dot{5}=b\\times0.\\dot{0}\\dot{5}$", "answer": "$0.\\dot{2}2\\dot{7}$$=\\frac{227}{999}$이므로 $\\frac{227}{999}=a\\times227$ $∴$ $a=\\frac{1}{999}$ $0.\\dot{8}\\dot{5}$$=\\frac{85}{99}$, $0.\\dot{0}\\dot{5}$$=\\frac{5}{99}$이므로 $\\frac{85}{99}=b\\times\\frac{5}{99}$ $∴$ $b=17$ $ab$의 값을 순환소수로 나타내면 $ab$$=\\frac{1}{999}\\times17$$=\\frac{17}{999}$$=0.\\dot{0}1\\dot{7}$ $0.\\dot{0}1\\dot{7}$의 순환마디를 이루는 숫자는 $3$ 개이고 $80=3\\times26+2$이므로 소수점 아래 $80$ 번째 자리의 숫자는 순환마디의 두 번째 숫자인 $1$이다." }, { "question": "$\\frac{1}{6}<0.\\dot{x}-0.0\\dot{x}<\\frac{2}{3}$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$x$의 값을 모두 구하여라.", "answer": "$0.\\dot{x}-0.0\\dot{x}=\\frac{x}{9}-\\frac{x}{90}=(\\frac{1}{9}-\\frac{1}{90})x=\\frac{1}{10}x $이므로 $\\frac{1}{6}<\\frac{1}{10}x<\\frac{2}{3}$ $\\frac{5}{30}<\\frac{3x}{30}<\\frac{20}{30}$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$x$는 $2$, $3$, $4$, $5$, $6$이다." }, { "question": "$x$에 대한 일차방정식 $510x-36=n$의 해가 유한소수로 나타내어질 때, $n$의 값이 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세 자리 자연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일차방정식 $510x-36=n$을 풀면 $510x=n+36$ $\\therefore x=\\frac{n+36}{510}$ $\\frac{n+36}{510}=\\frac{n+36}{2\\times3\\times5\\times17}$을 소수로 나타내었을 때 유한소수가 되려면 분모의 소인수가 $2$ 또는 $5$뿐이어야 하므로 $n+36$은 $51$의 배수여야 한다.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$n$의 값은 $15, $$66, $$117, ···$이므로 가장 작은 세 자리 자연수 $n$은 $117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을 만족시키는 유리수 $a,b$에 대하여 $ab$의 값을 순환소수로 나타내었을 때, 소수점 아래 $50$ 번째 자리의 숫자를 구하여라. $0.\\dot{5}1\\dot{2}=a\\times512$,$~~~0.\\dot{9}\\dot{5}=b\\times0.\\dot{0}\\dot{5}$", "answer": "$0.\\dot{5}1\\dot{2}$$=\\frac{512}{999}$이므로 $\\frac{512}{999}=a\\times512$ $∴$ $a=\\frac{1}{999}$ $0.\\dot{9}\\dot{5}$$=\\frac{95}{99}$, $0.\\dot{0}\\dot{5}$$=\\frac{5}{99}$이므로 $\\frac{95}{99}=b\\times\\frac{5}{99}$ $∴$ $b=19$ $ab$의 값을 순환소수로 나타내면 $ab$$=\\frac{1}{999}\\times19$$=\\frac{19}{999}$$=0.\\dot{0}1\\dot{9}$ $0.\\dot{0}1\\dot{9}$의 순환마디를 이루는 숫자는 $3$ 개이고 $50=3\\times16+2$이므로 소수점 아래 $50$ 번째 자리의 숫자는 순환마디의 두 번째 숫자인 $1$이다." }, { "question": "한 자리의 자연수 $a$, $b$에 대하여 순환소수 $1.\\dot{a}\\dot{b}$를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$\\frac{15}{11}$일 때, 순환소수 $0.b\\dot{a}$를 기약분수로 나타내어라.", "answer": "$\\frac{15}{11}$$=1.363636\\cdots$$=1.\\dot{3}\\dot{6}$이므로 $a=3$, $b=6$ $0.b\\dot{a}$$=0.6\\dot{3}$이므로 $x=0.6\\dot{3}$이라 하면 $100x-10x=57$ $90x=57$ ∴ $x=\\frac{57}{90}=\\frac{19}{30}$ 따라서 $0.b\\dot{a}$를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$\\frac{19}{30}$이다." }, { "question": "분수 $\\frac{x}{27}$를 계산기를 이용하여 소수로 나타내었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. 이때 자연수 $x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1.481481481\\cdots$$=1.\\dot{4}8\\dot{1}$$=\\frac{1481-1}{999}$$=\\frac{1480}{999}$$=\\frac{40}{27}$ $\\frac{x}{27}=\\frac{40}{27}$ $∴ x=40$" }, { "question": "분수 $\\frac{x}{175}$를 소수로 나타내면 유한소수가 되고,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$\\frac{9}{y}$라 한다. $x$가 $50y$이면 $x◎y=-1$$\\\\$ (ⅱ) $x=y$이면 $x◎y$$=0$$\\\\$ (ⅲ) $x$이면 $x◎y=1$", "answer": "$a$$=1.1\\dot{3}$$=1.133\\cdots$, $b$$=\\frac{17}{15}$$=1.133\\cdots$이므로 $a=b$ $∴ a ◎ b$$=0$ $c$$=2.\\dot{1}5\\dot{4}$$=2.154154\\cdots$, $d$$=2.1\\dot{5}\\dot{4}$$=2.15454\\cdots$이므로 $c0$ ㉢ $3^2\\div3^5>0$", "answer": "㉠ $3^3\\div3^3$$=1$ ㉡ $3^5\\div3^2$$=3^{5-2}$$=3^3>0$ ㉢ $3^2\\div3^5$$=\\frac{1}{3^{5-2}}$$=\\frac{1}{3^3}>0$" }, { "question": "$27^{x-1}=3^{2x-1}$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$x$의 값을 구하여라. $($단, $x\\ge2$$)$", "answer": "$27=3^3$이므로 $27^{x-1}$$=$$(3^3)^{x-1}$$=3^{3\\times(x-1)}$$=3^{3x-3}$ 즉, $3^{3x-3}$$=3^{2x-1}$에서 $3x-3=2x-1$ $∴ x=2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직선 $l$과 $x$축 및 $y$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일차방정식 $mx-y=0$의 그래프가 이등분할 때, 수 $m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직선 $l$의 방정식은 $y=-2x+4$ 색칠된 삼각형의 넓이는 $\\frac{1}{2}\\times2\\times4$$=4$ 직선 $l$과 $mx-y=0$의 그래프의 교점의 $y$좌표를 $k$라 하면 일차방정식 $mx-y=0$의 그래프가 삼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$\\frac{1}{2}\\times2\\times k=2$ $∴ k=2$ $y=-2x+4$에 $y=2$를 대입하면 $2=-2x+4$ $∴ x=1$ $mx-y=0$의 그래프가 점 $(1, 2)$를 지나므로 $m\\times1-2=0$ $∴ m=2$" }, { "question": "방정식 $\\frac{x}{5}+y=x+y+a=x$의 해가 일차방정식 $2x+y=14$를 만족시킬 때, 수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연립방정식 $\\begin{cases} \\frac{x}{5}+y=x \\\\ x+y+a=x \\end{cases}$ 의 해가 $2x+y=14$를 만족시키므로 계수와 상수항에 문자가 없는 두 일차방정식을 연립하면 $\\begin{cases} \\frac{x}{5}+y=x \\\\ 2x+y=14 \\end{cases}$ $ →$ $\\begin{cases} -4x+5y=0 \\cdots\\cdots㉠ \\\\ 2x+y=14 \\cdots\\cdots㉡ \\end{cases}$ $㉠+㉡\\times2$를 하면 $7y=28$ $∴ y=4$ $y=4$를 $㉡$에 대입하면 $2x+4=14$ $∴ x=5$ $x=5$, $y=4$를 $x+y+a=x$에 대입하면 $5+4+a=5$ $∴ a=-4$" }, { "question": "다음 중 $□$에 들어갈 수가 가장 작은 것은? ① $a^3 \\div a^7 = \\frac{1}{a^\\square}$ ② $a^2 \\times a^4 = a^\\square$ ③ $a^\\square \\div a^5 = a^2$ ④ $a^3 \\times a^\\square = a^6$ ⑤ $(a^\\square)^3=a^{15}$", "answer": "① $a^3\\div a^7$$=\\frac{1}{a^{7-3}}$$=\\frac{1}{a^4}$이므로 $□=4$ ② $a^2\\times a^4$$=a^{2+4}$$=a^6$이므로 $□=6$ ③ $a^□\\div a^5=a^{□-5}=a^2$ $□-5=2$ $∴ □=7$ ④ $a^3\\times a^□$$=a^{3+□}$$=a^6$ $3+□=6$ $∴ □$$=3$ ⑤ $(a^□)^3$$=a^{□\\times3}$$=a^{15}$ $□\\times3=15$ $∴ □=5$" }, { "question": "부등식 $n^{200}<2^{500}$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$n$의 최댓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n^{200}<2^{500}$에서 $(n^2)^{100}<(2^5)^{100}$ $∴$ $n^2<2^5$ $2^5=32$이고, $5^2=25$, $6^2=36$이므로 $n^2<2^5$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$n$의 최댓값은 $5$이다." }, { "question": "$2^x\\times5^{11}\\times3$이 $13$ 자리의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$x$는 모두 몇 개인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$2^x\\times5^{11}\\times3$이 $13$ 자리의 자연수가 되려면 $a\\times(2\\times5)^{11}$($a$는 두 자리의 자연수)의 꼴이어야 한다. $2^x\\times5^{11}\\times3=2^{x-11}\\times3\\times(2\\times5)^{11}$이므로 $a=2^{x-11}\\times3$ $x=12$일 때, $a=2\\times3=6$ $x=13$일 때, $a=2^2\\times3=12$ $x=14$일 때, $a=2^3\\times3=24$ $x=15$일 때, $a=2^4\\times3=48$ $x=16$일 때, $a=2^5\\times3=96$ $x=17$일 때, $a=2^6\\times3=192$ 따라서 $2^x\\times5^{11}\\times3$이 $13$ 자리의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$x$의 값은 $13$, $14$, $15$, $16$의 $4$ 개이다." }, { "question": "$5^x\\times(3^y+3^y+3^y+3^y+3^y)=675$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$x$, $y$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.", "answer": "$5^x\\times(3^y+3^y+3^y+3^y+3^y)$$=5^x\\times(5\\times3^y)$$=3^y\\times5^{x+1}$ $675$$=3^3\\times5^2$ 즉, $3^y\\times5^{x+1}=3^3\\times5^2$이므로 $y=3$, $x+1=2$ $∴ x=1$, $y=3$" }, { "question": "$(3^3\\times9^5)^3$의 일의 자리의 숫자를 구하려고 한다. (1) $(3^3\\times9^5)^3$을 $3$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어라. (2) $(3^3\\times9^5)^3$의 일의 자리의 숫자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 $(3^3\\times9^5)^3$$=\\lbrace3^3\\times(3^2)^5\\rbrace^3$$=(3^3\\times3^{10})^3$$=(3^{13})^3$$=3^{39}$ (2) $3^1=3$, $3^2=9$, $3^3=27$, $3^4=81$, $3^5=243$, $\\cdots$ 이므로 $3$의 거듭제곱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$3$, $9$, $7$, $1$의 네 개의 숫자가 순서대로 반복된다. $39$$=4\\times9+3$이므로 $3^{39}$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$3^3$의 일의 자리의 숫자와 같은 $7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은 밑면이 직각삼각형이고 부피가 $12a^6b^{10}$인 삼각기둥이다. 삼각기둥의 높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높이를 $h$라 하면 $(\\frac{1}{2}\\times a^3b^2\\times3ab^3)\\times h=12a^6b^{10}$ $\\frac{3}{2}a^4b^5h=12a^6b^{10}$ $\\therefore$ $h$=$12a^6b^{10}$ $\\div$ $\\frac{3}{2}a^4b^5$ =$12a^6b^{10}$ $\\times$ $\\frac{2}{{3}a^4b^5} =$$8a^2b^5$ 따라서 삼각기둥의 높이는 $8a^2b^5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직육면체 모양의 그릇 A, B, C가 있다. A 그릇과 B 그릇에 가득 들어 있는 물을 C 그릇에 모두 부었다. 이때 C 그릇의 물의 높이를 구하여라. (단, 흘린 물은 없고, 그릇의 두께는 생각하지 않는다.)", "answer": "$(A 그릇의 부피)$$=2a^2\\times3b\\times a$$=6a^3b$ $(B 그릇의 부피)$$=a\\times b^2\\times4ab$$=4a^2b^3$ C 그릇의 물의 높이를 $h$라 하면 $(C 그릇의 물의 부피)$$=2a\\times a\\times h$$=2a^2h$ $2a^2h=6a^3b+4a^2b^3$이므로 $=$$3ab+2b^3$ 따라서 물의 높이는 $3ab+2b^3$이다." }, { "question": "자연수 $a$, $n$에 대하여 $2^5\\times5^6\\times7$을 $a\\times10^n$의 꼴로 나타낼 때, $a$의 최솟값과 그때의 $n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2^5\\times5^6\\times7$$=5\\times7\\times(2^5\\times5^5)$$=35\\times10^5$ 따라서 $a$의 최솟값은 $35$, 그때의 $n$의 값은 $5$이다." }, { "question": "$3^2=a$라 할 때, $27\\times3^5$을 $a$를 사용한 식으로 나타내어라.", "answer": "$27\\times3^5=3^3\\times3^5=3^8=(3^2)^4=a^4$" }, { "question": "$(2a^2b)^2\\div A\\times(3ab^2)^3=24a^6b^6$, $(-\\frac{3a^3}{b^3})^2\\times B\\div\\frac{2a^3}{b^4}=4a^6b^2$을 만족시키는 두 식 $A$, $B$에 대하여 $a^2b^3=3$일 때, $AB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2a^2b)^2\\div A\\times(3ab^2)^3=24a^6b^6$에서 $A=(2a^2b)^2\\times (3ab^2)^3\\div24a^6b^6$ $=$$4a^4b^2\\times27a^3b^6\\div24a^6b^6$ $=4a^4b^2\\times27a^3b^6\\times\\frac{1}{24a^6b^6}$ $=\\frac{9}{2}ab^2$ $(-\\frac{3a^3}{b^3})^2\\times B\\div\\frac{2a^3}{b^4}=4a^6b^2$에서 $B= 4a^6b^2\\div(-\\frac{3a^3}{b^3})^2\\times\\frac{2a^3}{b^4} $ $= 4a^6b^2\\div\\frac{9a^6}{b^6}\\times\\frac{2a^3}{b^4} $ $ = 4a^6b^2\\times\\frac{b^6}{9a^6}\\times\\frac{2a^3}{b^4} $ $= \\frac{8}{9}a^3b^4 $ $\\therefore AB= \\frac{9}{2}ab^2\\times \\frac{8}{9}a^3b^4 $ $= 4a^4b^6 $ $= 4(a^2b^3)^2 $ $= 4\\times3^2=36 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사다리꼴의 넓이는 삼각형의 넓이의 몇 배인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사다리꼴의 넓이)$ $=$$\\frac{1}{2}\\times(3x^4y^2+x^2y^2)\\times2xy$ $=$$3x^5y^3+x^3y^3$ $(삼각형의 넓이)$ $=$$\\frac{1}{2}\\times x^2y\\times2xy^2$ $=$$x^3y^3$ 따라서 사다리꼴의 넓이는 삼각형의 넓이의 $(3x^5y^3+x^3y^3)\\div x^3y^3$ $=$$(3x^5y^3+x^3y^3)\\times\\frac{1}{x^3y^3}$ $=$$3x^2+1$ (배)" }, { "question": "$504^3=(2^3\\times3^a\\times7)^3=2^b\\times3^c\\times7^3$일 때, $a, b, c$에 대하여 $a+b+c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504^3$$=(2^3\\times3^2\\times7)^3$$=2^9\\times3^6\\times7^3$ $a=2$, $b=9$, $c=6$이므로 $a+b+c$$=2+9+6$$=17$" }, { "question": "$3xy+2z-10=0$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$x$, $y$, $z$에 대하여 $(8^{2x})^y\\times16^z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=$$2^{6xy+4z}$ $3xy+2z-10=0$에서 $6xy+4z-20=0$이므로 $6xy+4z$$=20$ $ \\therefore (8^{2x})^y\\times16^z$$=2^{6xy+4z}$$=2^{20}$" }, { "question": "($2x^4$-$3x^3$) $\\div$ (-$\\frac{x}{4}$)를 계산한 식에서 각 항의 계수의 합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2x^4-3x^3)\\div$ $(-\\frac{x}{4}$$) =$ $(2x^4-3x^3)\\times$ $(-\\frac{4}{x})=-8x^3+12x^2$ $x^3$의 계수는 $-8$, $x^2$의 계수는 $12$이므로 각 항의 계수의 합은 $-8+12=4$" }, { "question": "다음은 길이가 $1$인 줄기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줄기의 길이의 $\\frac{1}{2}$인 가지를 $3$ 개씩 각각의 줄기 끝에 그리는 것을 반복하는 과정이다. $13$ 단계에서 그려지는 가지의 개수는 $9$ 단계에서 그려지는 가지의 개수의 몇 배인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
단위 그려지는 가지의 수(개)
$1$ $3$
$2$ $3\\times3=3^2$
$3$ $3^2\\times3=3^3$
$4$ $3^3\\times3=3^4$
$ \\vdots $ $ \\vdots $
위의 규칙에 따르면 $9$ 단계와 $13$ 단계에서 그려지는 가지의 개수는 각각 $3^9$ 개,$3^{13}$ 개이므로 $3^{13}\\div3^9$$=3^{13-9}$$=3^4$$=81$ 따라서 $13$ 단계에서 그려지는 가지의 개수는 $9$ 단계에서 그려지는 가지의 개수의 $81$ 배이다." }, { "question": "$a=1$, $b=-2$일 때, 식 $\\frac{-12a^2b^2+8a^3b^2}{4a^2b}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frac{-12a^2b^2+8a^3b^2}{4a^2b}$ $=$$-3b+2ab$ $=$$-3\\times(-2)+2\\times1\\times(-2)$ $=$$6-4$ $=$$2$" }, { "question": "$4^x\\times5^2\\times8\\times25^y=128\\times5^8$일 때, 자연수 $x$, $y$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.", "answer": "$4=2^2$, $8=2^3$, $25=5^2$, $128=2^7$이므로 $4^x\\times5^2\\times8\\times25^y$ $=$$(2^2)^x\\times5^2\\times2^3\\times(5^2)^y$ $=$$2^{2x}\\times5^2\\times2^3\\times5^{2y}$ $=$$2^{2x+3}\\times5^{2+2y}$ $128\\times5^8$$=2^7\\times5^8$ 즉, $2^{2x+3}\\times5^{2+2y}$$=2^7\\times5^8$에서 $2x+3=7$$,$ $2+2y=8$ $∴ x=2$, $y=3$" }, { "question": "다음 □안에 알맞은 수를 써넣어라. $2^2\\times3^5\\times2^3\\times3^3$=$2^□\\times3^□$", "answer": "$2^2\\times3^5\\times2^3\\times3^3$$=(2^2\\times2^3)\\times(3^5\\times3^3)$$=2^{2+3}\\times3^{5+3}$$=2^5\\times3^8$" }, { "question": "다음 네 수를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하여라. ㄱ. $2^{32}$ ㄴ. $3^{24}$ ㄷ. $5^{16}$ ㄹ. $6^8$", "answer": "네 수의 지수는 각각 $32$, $24$, $16$, $8$이므로 최대공약수는 $8$이다. ㄱ. $2^{32}$$=(2^4)^8$$=16^8$ ㄴ. $3^{24}$$=(3^3)^8$$=27^8$ ㄷ. $5^{16}$$=(5^2)^8$$=25^8$ $6<16<25<27$이므로 $6^8<16^8<25^8<27^8$" }, { "question": "$4ab^2\\times(2a^3b)^3\\times a^2b=xa^yb^z$일 때, $x+y+z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$x$, $y$, $z$는 수)", "answer": "$4ab^2\\times(2a^3b)^3\\times a^2b$$=$$4ab^2\\times8a^9b^3\\times a^2b$ $=$$32a^{12}b^6$$=$$xa^yb^z$ $x=32$, $y=12$, $z=6$이므로 $x+y+z$$=32+12+6$$=50$" }, { "question": "순서쌍 $(5, 2)$, $(8, -2)$가 일차방정식 $ax+by=26$의 해일 때, 수 $a$, $b$에 대하여 $a-b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x=5$, $y=2$를 $ax+by=26$에 대입하면 $5a+2b=26 ······ ㉠$ $x=8$, $y=-2$를 $ax+by=26$에 대입하면 $8a-2b=26······ ㉡$ $㉠+㉡$을 하면 $13a=52$ $∴ a=4$ $a=4$를 $㉠$에 대입하면 $20+2b=26$ $∴ b=3$ $∴ a-b$$=4-3$$=1$" }, { "question": "보기에서 부등식인 것을 모두 골라라. 보기 ㄱ. $\\frac{3x-2y}{6} = 1$ ㄴ. $3(x-1)+2x$ ㄷ.$ -2\\leq x-1$ ㄹ. $2x=9$ ㅁ.$ 6 > 3$", "answer": "부등호를 사용하여 수 또는 식의 대소 관계를 나타낸 식을 부등식이라고 한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표에서 가로, 세로의 세 다항식의 합이 모두 같을 때, ㉠에 알맞은 다항식을 구하려고 한다.
$3a^2$$-$$a$+$2$ $5a-4 $
$2a^2+4a$
$a^2-3a-1$ $6a+1 $
(1) ㉡에 알맞은 다항식을 구하여라. (2) ㉠에 알맞은 다항식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 $(3a^2-a+2)+(2a^2+4a)+(a^2-3a-1)=6a^2+1$ 이므로 $(a^2-3a-1)+㉡+(6a+1)=6a^2+1$ $∴$ $㉡ =6a^2+1-(a^2-3a-1)-(6a+1)$ $=6a^2+1-a^2+3a+1-6a-1)$ $=5a^2-3a+1$ (2) $(5a-4)+㉠+(5a^2-3a+1)=6a^2+1$ $∴$ $㉠=6a^2+1-(5a-4)-(5a^2-3a+1)$ $=6a^2+1-5a+4-5a^2+3a-1$ $=a^2-2a+4$" }, { "question": "$(4x^2y^3-2x^3y^2)\\times\\frac{3}{2xy}+xy(2x-4y)$를 계산한 식에서 $xy^2$의 계수를 $a,$ $x^2y$의 계수를 $b$라 할 때, $ab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4x^2y^3-2x^3y^2)\\times\\frac{3}{2xy}+xy(2x-4y)$ $=$$6xy^2-3x^2y+2x^2y-4xy^2$ $=$$-x^2y+2xy^2$ $xy^2$의 계수는 $2$이므로 $a=2$ $x^2y$의 계수는 $-1$이므로 $b=-1$ $\\therefore$ $ab$$=2\\times(-1)$$=-2$" }, { "question": "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에는 $cm$, $m$, $km$ 등이 있고, 단위끼리 서로 변환할 수 있다. $1 km=10^3 m$, $1 m=10^2 cm$일 때, $3 km$는 $3\\times10^a$ $cm$이다. 이때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3 km = 3\\times10^3m = (3\\times10^3)\\times10^2 cm$ $=3\\times10^5 cm$ $∴ a=5$" }, { "question": "$2^{15}\\times5^{12}\\times7^2$이 $a$ 자리의 자연수이고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을 $b$라 할 때, $a-b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2^{15}\\times5^{12}\\times7^2$$=2^3\\times7^2\\times(2^{12}\\times5^{12})$$=392\\times10^{12}$ $15$ 자리의 자연수이므로 $a$$=15$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은 $3+9+2$$=14$이므로 $b$$=14$ $∴$ $a-b$$=15-14$$=1$" }, { "question": "식 $\\frac{3x^2+x+4}{3}-\\frac{4x^2-3x+2}{5}$를 계산한 결과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? 보기 ㄱ. 계산한 결과는 이차식이다. ㄴ. $x$의 계수와 상수항은 서로 같다. ㄷ. $x^2$의 계수, $x$의 계수, 상수항의 합은 2이다. ㉠ㄱ ㉡ㄷ ㉢ㄱ,ㄴ ㉣ㄱ,ㄷ ㉤ㄴ,ㄷ", "answer": "$\\frac{3x^2+x+4}{3}-\\frac{4x^2-3x+2}{5}$ $=$$\\frac{5(3x^2+x+4)}{15}-\\frac{3(4x^2-3x+2)}{15}$ $=$$\\frac{15x^2+5x+20-12x^2+9x-6}{15}$ $=$$\\frac{3x^2+14x+14}{15}$$=$$\\frac{1}{5}x^2+\\frac{14}{15}x+\\frac{14}{15}$ ㄱ. $\\frac{1}{5}x^2+\\frac{14}{15}x+\\frac{14}{15}$는 이차식이다. ㄴ. $x$의 계수는 $\\frac{14}{15}$, 상수항은 $\\frac{14}{15}$이므로 $x$의 계수와 상수항은 서로 같다. ㄷ. $x^2$의 계수, $x$의 계수, 상수항의 합은 $\\frac{1}{5}+\\frac{14}{15}+\\frac{14}{15}=\\frac{31}{15}$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ㄷ이다." }, { "question": "소영이는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고 있다. 이 전화를 사용하면 매달 기본요금 $6000$ 원과 발신 통화 건당 $40$ 원의 추가 요금을 내야 한다. 한 달 동안의 전화 요금을 $14000$ 원 미만으로 하려고 할 때, 한 달 동안의 발신 통화 최대 건수를 구하여라. (단, 통화 시간에 따른 추가 요금은 없다.)", "answer": "한 달 동안의 발신 통화 건수를 $x$ 건이라 하면 $6000+40x<14000$ $40x<8000$ $∴$ $x<200$ 따라서 한 달 동안의 발신 통화 최대 건수는 $199$ 건이다." }, { "question": "한 대각선의 길이가 $(a^2b^3)^2$인 마름모의 넓이가 $(2a^3b^2)^3$일 때, 이 마름모의 다른 대각선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마름모의 다른 대각선의 길이를 $D$라 하면 $\\frac{1}{2}\\times(a^2b^3)^2\\times D=(2a^3b^2)^3$ $\\therefore D=(2a^3b^2)^3\\div\\frac{1}{2}\\div(a^2b^3)^2=8a^9b^6\\div\\frac{1}{2}\\div a^4b^6=8a^9b^6\\times{2}\\times \\frac{1} {a^4b^6}=16a^5$ 따라서 다른 대각선의 길이는 $16a^5$이다." }, { "question": "$x=-1$, $y=2$일 때, 식 $2x(x-y)+\\frac{y}{4}(8x-6y)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2x(x-y)+\\frac{y}{4}(8x-6y)$ $=$$2x^2-2xy+2xy-\\frac{3}{2}y^2$ $=$$2x^2-\\frac{3}{2}y^2$ $=$$2\\times(-1)^2-\\frac{3}{2}\\times2^2$ $=$$-4$" }, { "question": "연속하는 두 짝수가 있다. 큰 수의 $2$ 배에 $4$를 더한 것은 작은 수의 $3$ 배 이하라고 할 때, 두 수 중 큰 수의 최솟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두 짝수 중 큰 수를 $x$라 하면 작은 수는 $x-2$이다. $2x+4\\le3(x-2)$ $2x+4\\le3x-6$ $-x\\le-10$ $∴$ $x\\ge10$ 짝수 $x$의 최솟값은 $10$이므로 두 수 중 큰 수의 최솟값은 $10$이다." }, { "question": "어떤 농구 선수가 한 경기에서 $11$ 개의 슛을 성공하고 $28$ 점을 득점하였다. 이 선수가 성공한 $2$ 점 슛과 $3$ 점 슛은 각각 몇 개인지 구하여라. (단, 선수는 $2$ 점 슛 또는 $3$ 점 슛만을 성공하였다.)", "answer": "$2$ 점 슛은 $x$ 개, $3$ 점 슛은 $y$ 개 성공했다고 하면 $ \\begin{cases} x+y=11\\cdots\\cdots㉠ \\\\ 2x+3y=28 \\cdots\\cdots㉡ \\end{cases} $ $㉠\\times2-㉡$을 하면 $-y=-6$ $\\therefore y=6$ $y=6$을 $㉠$에 대입하면 $x+6=11$ $\\therefore x=5$ 따라서 이 선수가 성공한 $2$ 점 슛은 $5$ 개, $3$ 점 슛은 $6$ 개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$ABCD$를 선분$ CD$를 회전축으로 하여 $1$회전 시킬 때 생기는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선분 CD를 회전축으로 하여 $1$회전 시키면 그림과 같은 원기둥이 된다. $(원기둥의 부피) = \\pi \\times (밑변의 반지름의 길이)^2 \\times (높이)$ $=\\pi \\times (a^4b)^2 \\times 3ab^2$ $=\\pi \\times a^8b^2 \\times 3ab^2$ $=3\\pi a^9b^4$" }, { "question": "$3a+4b+\\square=-a-3b$일 때, $\\square$에 알맞은 식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□=(-a-3b)-(3b+4b)=-a-3b-3a-4b=-4a-7b$" }, { "question": "$3x(x^2-2x+6)=ax^3+bx^2+cx$일 때, 수 $a$, $b$, $c$에 대하여 $a-b+c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3x(x^2-2x+6)$$=3x^3-6x^2+18x$$=ax^3+bx^2+cx$ $a=3$, $b=-6$, $c=18$이므로 $a-b+c$$=3-(-6)+18$$=27$" }, { "question": "$\\frac{3}{4}x(-4x^2+8x+4)=ax^3+bx^2+cx$일 때, 수 $a$, $b$, $c$에 대하여 $a+b+c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frac{3}{4}x(-4x^2+8x+4)$$=-3x^3+6x^2+3x$$=ax^3+bx^2+cx$ $a=-3$, $b=6$, $c=3$이므로 $a+b+c$$=-3+6+3$$=6$" }, { "question": "$□\\times\\frac{1}{3xy}=2x-3y+1$일 때, $□$에 알맞은 식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square=(2x-3y+1)\\div\\frac{1}{3xy}$ $=(2x-3y+1)\\times3xy$ $=$$6x^2y-9xy^2+3xy$" }, { "question": "$2x-3y+6$에 어떤 식 $A$를 더해야 할 것을 잘못하여 뺐더니 $9x+3y-4$가 되었다. 이때 바르게 계산한 답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2x-3y+6)-A=9x+3y-4$이므로 $A=(2x-3y+6)-(9x+3y-4)$ $=2x-3y+6-9x-3y+4$ $=-7x-6y+10$ 바르게 계산한 식은 $2x-3y+6$에 $-7x-6y+10$을 더하는 것이므로 $(2x-3y+6)+(-7x-6y+10)=2x-3y+6-7x-6y+10$ $=-5x-9y+16$" }, { "question": "$2^9\\times3^2\\times5^6$이 $a$ 자리의 자연수이고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을 $b$라 할 때, $a+b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2^9\\times3^2\\times5^6$$=2^3\\times3^2\\times(2^6\\times5^6)$$=72\\times10^6$ $8$ 자리의 자연수이므로 $a$$=8$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은 $7+2$$=9$이므로 $b$$=9$ $ \\therefore a+b$$=8+9$$=17$" }, { "question": "$x=-2$, $y=\\frac{3}{7}$일 때, 식 $4y-\\lbrace2x+(3x^2+5xy)\\div3x\\rbrace$의 값을 구하려고 한다. (1) 식 $4y-\\lbrace2x+(3x^2+5xy)\\div3x\\rbrace$를 계산하여라. (2) (1)의 결과에 $x=-2$, $y=\\frac{3}{7}$을 대입한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 $4y-\\lbrace2x+(3x^2+5xy)\\div3x\\rbrace$ $=$$4y-\\lbrace2x+(3x^2+5xy)\\times\\frac{1}{3x}\\rbrace$ $=$$4y-(2x+x+\\frac{5}{3}y)$ $=$$4y-(3x+\\frac{5}{3}y)$ $=$$4y-3x-\\frac{5}{3}y$ $=$$-3x+\\frac{7}{3}y$ (2) $-3x+\\frac{7}{3}y$$=(-3)\\times(-2)+\\frac{7}{3}\\times\\frac{3}{7}$$=6+1$$=7$" }, { "question": "민우가 산책하는데 갈 때는 시속 $3 km$로 걷고, 올 때는 갈 때보다 $3 km$ 더 먼 길을 시속 $6 km$로 걸었다. 산책하는 데 걸린 시간이 $2 시간$ 이내일 때, 민우가 걸은 거리는 최대 몇 km인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갈 때 걸은 거리를 $x km$라 하면 올 때 걸은 거리는 $(x+3) km$이므로 $\\frac{x}{3}+\\frac{x+3}{6}\\le2$ $2x+(x+3)\\le12$ $3x+3\\le12$ $3x\\le9$ $∴$ $x\\le3$ 이때 민우가 갈 때 걸은 거리는 최대 $3 km$이고 올 때 걸은 거리는 최대 $3+3=6 (km)$ 따라서 민우가 걸은 거리는 최대 $3+6=9$ $(km)$ 확인 갈 때 걸은 거리가 $3 km$ 이하이면 산책하는 데 걸린 시간은 $\\frac{3}{3}+\\frac{3+3}{6}=2$ (시간) 이내이므로 구한 해는 문제의 뜻에 맞는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색칠한 부분의 넓이) =$$(3xy+4y)\\times2xy-xy\\times2y$ $=$$6x^2y^2+8xy^2-2xy^2$ $=$$6x^2y^2+6xy^2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색칠한 부분의 넓이)$ $=$$4x^2y\\times(3xy-6)-6x^2y^2\\times x$ $=$$12x^3y^2-24x^2y-6x^3y^2$ $=$$6x^3y^2-24x^2y$" }, { "question": "한 송이에 $1500$ 원 하는 꽃을 $3500$ 원짜리 포장지로 포장하여 $40000$ 원 이하의 선물을 만들려고 한다. 이때 꽃을 최대 몇 송이까지 살 수 있는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꽃을 $x$ 송이 산다고 하면 $1500x+3500\\le40000$ $1500x\\le36500$ $∴ x\\le\\frac{73}{3}$ 따라서 꽃을 최대 $24$ 송이까지 살 수 있다." }, { "question": "일차부등식 $2(x-3)+53000\\times40$ $∴$ $x>30$ 따라서 $31$ 명 이상이면 단체 입장권을 사는 것이 유리하다." }, { "question": "$02$이므로 부등호의 방향이 바뀌려면 $a-4<0$ $(a-4)x<-6$에서 $x>-\\frac{6}{a-4}$이므로 $-\\frac{6}{a-4}=2$ $-6=2a-8$ $-2a=-2$ $∴ a=1$" }, { "question": "$18x^Ay^2\\div\\frac{Bx^7}{y^4}\\div(xy)^3=\\frac{3y^C}{x^4}$일 때, 자연수 $A$, $B$, $C$에 대하여 $A+B+C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18x^Ay^2\\div\\frac{Bx^7}{y^4}\\div(xy)^3$ $=$$18x^Ay^2\\div\\frac{Bx^7}{y^4}\\div x^3y^3$ $=$$18x^Ay^2\\times\\frac{y^4}{Bx^7}\\times\\frac{1}{x^3y^3}$ $=$$\\frac{18}{B}\\times\\frac{y^3}{x^{10-A}}$$=$$\\frac{3y^C}{x^4}$ $\\frac{18}{B}=3$, $3=C$, $10-A=4$이므로 $A=6$, $B=6$, $C=3$ $∴ A+B+C=6+6+3=15$" }, { "question": "$(2^5)^3\\times25^7$은 몇 자리의 자연수인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2^5)^3\\times25^7=(2^5)^3\\times(5^2)^7=2^{15}\\times5^{14}=2\\times(2^{14}\\times5^{14})=2\\times10^{14}$ 따라서 주어진 수는 $15$ 자리의 자연수이다." }, { "question": "어느 박물관의 입장료는 한 사람당 $3500원$이고 $15명$ 이상의 단체일 경우의 입장료는 한 사람당 $2800원$이라고 한다. 몇 명 이상이면 $15명$의 단체 입장권을 사는 것이 유리한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입장객 수를 $x$ 명이라 하면 $3500x>2800\\times15$ $∴ x>12$ 따라서 $13$ 명 이상이면 단체 입장권을 사는 것이 유리하다." }, { "question": "어느 전시회의 입장료는 $7$ 명까지는 $1$ 인당 $5000$ 원이고, $7$ 명을 초과하면 초과된 사람 $1$ 인당 $4000$ 원이라고 한다. $47000$ 원 이하로 이 전시회를 관람하려고 할 때, 최대 몇 명까지 입장할 수 있는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$7 명$을 초과하여 $x$ 명이 입장한다고 하면 입장료가 $1$ 인당 $4000 $원인 사람은 $(x-7)$ 명이므로 $5000\\times7+4000(x-7)\\le47000$ $35000+4000x-28000\\le47000$ $4000x\\le40000$ $∴$ $x\\le10$ 따라서 최대 $10$ 명까지 입장할 수 있다." }, { "question": "가로의 길이가 $10cm$, 세로의 길이가 $xcm$인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$28{cm}$ 이상일 때, $x$의 값이 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연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$2(10+x)cm$이므로 $2(10+x)\\ge28$ $20+2x\\ge28$ $2x\\ge8$ $∴ x\\ge4$ 따라서 $x$의 값이 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연수는 $4$이다." }, { "question": "$0\\le x<2$일 때, $A=2x-3$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$A$의 값의 합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0\\le x<2$에서 $0\\le2x<4$이므로 $-3\\le2x-3<1$ $∴ -3\\le A<1$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$A$의 값은 $-3$, $-2$, $-1$, $0$이므로 구하는 합은 $-3+(-2)+(-1)+0=-6$" }, { "question": "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$4 cm$ 더 긴 직사각형이 있다. 이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$100 cm$보다 길지 않을 때, 가로의 길이는 몇 $cm$ 이하여야 하는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가로의 길이를 $x$ $cm$라 하면 세로의 길이는 $(x+4)$ $cm$이므로 $2\\lbrace x+(x+4)\\rbrace\\le100$ $2(2x+4)\\le100$ $4x+8\\le100$ $4x\\le92$ $∴$ $x\\le23$ 따라서 가로의 길이는 $23$ $cm$ 이하여야 한다. 확인 가로의 길이가 $23$ $cm$ 이하이면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$2\\lbrace23+(23+4)\\rbrace=100 (cm)$ 이하이므로 구한 해는 문제의 뜻에 맞는다." }, { "question": "일차부등식 $ax+4\\le x-1$의 해가 $x\\le-1$일 때, 수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ax+4\\le x-1$에서 $(a-1)x\\le-5$ 이 부등식의 해가 $x\\le-1$이므로 부등호의 방향이 바뀌지 않으려면 $a-1>0$ $(a-1)x\\le-5$에서 $x\\le-\\frac{5}{a-1}$이므로 $-\\frac{5}{a-1}=-1$ $5=a-1$ $-a=-6$ $∴ a=6$" }, { "question": "현재 어머니의 나이는 형의 나이보다 $31세$가 많고, $15년$ 후에 어머니의 나이는 형의 나이의 $2배$보다 $3세$가 적다고 한다. 현재 어머니와 형의 나이의 합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현재 어머니의 나이는 $x$ 세, 형의 나이는 $y$ 세라 하면 $\\begin{cases} x=y+31 \\\\ x+15=2(y+15)-3 \\end{cases}$ $\\rightarrow$ $\\begin{cases} x=y+31 \\cdots㉠\\\\ x-2y=12\\cdots㉡ \\end{cases}$ $㉠$을 $㉡$에 대입하면 $(y+31)-2y=12$ $-y=-19$ $∴ y=19$ $y=19$를 ㉠에 대입하면 $x=50$ 따라서 현재 어머니와 형의 나이의 합은 $50+19=69 (세)$" }, { "question": "높이가 $18$ $cm$이고 넓이가 $27$ $cm^2$ 이하인 삼각형을 만들려고 할 때, 밑변의 길이는 몇 $cm$ 이하여야 하는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밑변의 길이를 $xcm$라 하면 삼각형의 넓이는 $\\frac{1}{2}\\times x\\times18=9x(cm^2)$이므로 $9x\\le27$ $∴ x\\le3$ 따라서 밑변의 길이는 $3 cm$ 이하여야 한다." }, { "question": "$x$의 값을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$9$가 되고, $y$의 값을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$7$이 된다. $A=2x+4y$라 할 때, $A$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8.5\\le x<9.5$이므로 $17\\le2x<19$ $6.5\\le y<7.5$이므로 $26\\le4y<30$ $17+26\\le2x+4y<19+30$ $∴ 43\\le2x+4y<49$ $∴ 43\\le A<49$" }, { "question": "산의 정상까지 $A$, $B$ 두 코스가 있다. $A$ 코스로 정상까지 시속 $3 km$로 올라가서 $B$ 코스로 시속 $5km$로 내려왔더니 모두 $4$ 시간 $20$ 분이 걸렸다. $A$, $B$ 코스의 거리의 합이 $15 km$일 때, $A$, $B$ 두 코스의 거리의 차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A$ 코스의 거리를 $x$ $km$, $B$ 코스의 거리를 $y$ $km$라 하면 $㉠\\times3-㉡$을 하면 $-2x=-20$ $∴$ $x=10$ $x=10$을 ㉠에 대입하면 $10+y=15$ $∴$ $y=5$ 따라서 $A$, $B$ 두 코스의 거리의 차는 $10-5=5 (km)$" }, { "question": "모양과 크기가 각각 같은 성냥개비 $60$ 개를 모두 사용하여 성냥개비 $1$ 개를 한 변으로 하고 서로 떨어져 있는 정오각형과 정육각형을 만들려고 한다. 정오각형과 정육각형을 합하여 $11$ 개를 만들 때, 만들어지는 정오각형의 개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정오각형을 $x$ 개, 정육각형을 $y$ 개 만든다고 하면 $\\begin{cases} 5x+6y=60 \\cdots ㉠\\\\ x+y=11 \\cdots ㉡ \\end{cases}$ $㉠-㉡\\times5$를 하면 $y=5$ $y=5$를 $㉡$에 대입하면 $x+5=11$ $∴ x=6$ 따라서 정오각형의 개수는 $6$ 개이다." }, { "question": "한 개에 $400$ 원인 사탕과 한 개에 $800$ 원인 음료수를 합하여 $21$ 개를 사서 $1400 원$짜리 바구니에 넣어 포장하였더니 들어간 총금액이 $15000$ 원이었다. 이때 음료수를 사탕보다 몇 개 더 샀는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한 개에 $400$ 원인 사탕 $x$ 개, 한 개에 $800$ 원인 음료수 $y$ 개를 샀다고 하면 $\\begin{cases} x+y=21 \\\\ 400x+800y+1400=15000 \\end{cases} →\\begin{cases} x+y=21 \\cdots\\cdots㉠ \\\\ x+2y=34 \\cdots\\cdots ㉡ \\end{cases}$ $㉠-㉡$을 하면 $-y=-13$ $∴$ $y=13$ $y=13$을 ㉠에 대입하면 $x+13=21$ $∴$ $x=8$ 따라서 음료수를 사탕보다 $13-8$$=5$ (개) 더 샀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을 미지수가 $2$ 개인 일차방정식으로 나타내어라. $a$에 $3$을 더한 값에서 $b$에 $2$ 배를 한 값을 빼면 $12$이다.", "answer": "$a$에 $3$을 더한 값은 $a+3$, $b$에 $2$ 배를 한 값은 $2b$이므로 $(a+3)-2b=12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삼각형 $ABC$에서 $\\angle C=20\\degree$이고, $\\angle B$의 크기는 $\\angle A$의 크기의 $2$ 배보다 $5\\degree$만큼 작다. 이때 $\\angle A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A$의 크기를 $x\\degree$, $\\angle B$의 크기를 $y\\degree$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+20=180\\\\ y=2x-5\\\\ \\end{cases} \\rightarrow $ $\\begin{cases} x+y=160 ······ ㉠\\\\ y=2x-5 ······ ㉡\\\\ \\end{cases}$ $㉡$을 $㉠$에 대입하면 $x+(2x-5)=160$ $3x=165$ $∴ x=55$ $x=55$를 ㉡에 대입하면 $y=105$ 따라서 $\\angle A$의 크기는 $55\\degree$이다." }, { "question": "길이가 $300m$인 열차가 어느 다리를 지나는 데 $26$ 초가 걸리고, 길이가 $200 m$인 특급 열차는 이 다리를 열차의 $2$ 배의 속력으로 $12$ 초 만에 지난다. 이때 다리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다리의 길이를 $xm$ , 열차의 속력을 초속 $ym$ 라 하면 $\\begin{cases} x+300=26y \\\\ x+200=2y\\times12 \\end{cases}$ $\\rightarrow$ $\\begin{cases} x=26y=-300 \\cdots\\cdots㉠ \\\\ x-24y=-200 \\cdots\\cdots㉡ \\end{cases}$ $㉠-㉡$을 하면 $-2y=-100$ ∴ $y=50$ $y=50$을 ㉠에 대입하면 $x-1300=-300$ ∴ $x=1000$ 따라서 다리의 길이는 $1000m$ 이다." }, { "question": "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각각 $a{cm}$, $(a+1){cm}$, $(a+7){cm}$일 때, $a$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가장 긴 변의 길이가 $(a+7)$$ cm$이므로 $a+(a+1)>a+7$ $2a+1>a+7$ $∴$ $a>6$" }, { "question": "길이와 모양이 같은 성냥개비로 다음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을 한 방향으로 연결하여 만들 때,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. (1) 정사각형을 $x$ 개 만들 때 필요한 성냥개비의 개수를 $x$를 사용한 식으로 나타내어라. (2) 성냥개비 $200$ 개로 정사각형을 최대 몇 개 만들 수 있는지 구하고, 문제의 뜻에 맞는지 확인하여라.", "answer": "(1) 정사각형 $1$ 개를 만들 때 필요한 성냥개비의 개수는 $4$ 개이고 정사각형을 $1$ 개씩 더 만들 때마다 성냥개비는 $3$ 개씩 더 필요하다. 따라서 $x$ 개의 정사각형을 만들 때 필요한 성냥개비의 개수는 $4+3(x-1)=4+3x-3=3x+1$ (개) (2) $3x+1\\le200$이므로 $3x\\le199$ $∴ x\\le\\frac{199}{3}$ 따라서 정사각형을 최대 $66$ 개 만들 수 있다. 확인 정사각형을 $66$ 개 만들 때 필요한 성냥개비의 개수는 $3\\times66+1=199$ (개)이고, 정사각형을 $67$ 개 만들 때 필요한 성냥개비의 개수는 $3\\times67+1=202$ (개)이므로 구한 해는 문제의 뜻에 맞는다." }, { "question": "일차방정식 $5x+ay=7$의 한 해가 $(3, -2)$일 때, 수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x=3$, $y=-2$를 $5x+ay=7$에 대입하면 $15-2a=7$ $-2a=-8$ $∴ a=4$" }, { "question": "$A=2^{x-3}$일 때, $4^x$을 $A$를 사용한 식으로 나타내어라. (단, $x$는 $4$ 이상의 자연수)", "answer": "$2^x$$=8\\times2^{x-3}$$=8A$이므로 $4^x$$=(2^2)^x$$=(2^x)^2$$=(8A)^2$$=64A^2$" }, { "question": "$a-\\frac{5}{a-b}$" }, { "question": "일차방정식 $ax-6y=14$의 한 해가 $(8, -1)$일 때, 수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x=8$, $y=-1$을 $ax-6y=14$에 대입하면 $8a+6=14$ $8a=8$ $∴ a=1$" }, { "question": "동해로 휴가를 떠나는 지호와 민석이는 오후 $6$시 에 떠나는 기차를 타기 위해 오후 $5$ 시에 청량리역에 도착하여 출발 시각까지 남은 시간 동안 간식을 사려고 한다. 간식을 고르는 데 $10$ 분이 걸리고, 상점까지 시속 $3 km$로 걸어서 갔다가 올 때는 시속 $2 km$로 돌아온다면 기차역에서 몇 $km$ 이내에 있는 상점을 이용해야 하는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기차역에서 상점까지의 거리를 $x$ $km$라 하면 $\\frac{x}{3}+\\frac{1}{6}+\\frac{x}{2}\\le1$ $\\\\$ $2x+1+3x\\le6$ $\\\\$ $5x+1\\le6$ $\\\\$ $5x\\le5$ $\\\\$ ∴ $x\\le1$ $\\\\$ 따라서 기차역에서 $1$ $km$ 이내에 있는 상점을 이용해야 한다." }, { "question": "$x$, $y$가 자연수일 때, 일차방정식 $3x+2y=17$의 해는 $a$ 개, 일차방정식 $2x+3y=13$의 해는 $b$ 개이다.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. (1) 일차방정식 $3x+2y=17$의 해의 개수를 구하여라. (2) 일차방정식 $2x+3y=13$의 해의 개수를 구하여라. (3) $a+b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
$x$ $1$ $2$ $3$ $4$ $5$ $6$
$y$ $7$ $\\frac{11}{2}$ $4$ $\\frac{5}{2}$ $1$ $\\frac{1}{2}$
$x$, $y$가 자연수이므로 $3x+2y=17$의 해는 $(1,7)$, $(3,4)$, $(5,1)$의 $3$개 (2)
$x$ $5$ $\\frac{7}{2}$ $2$ $\\frac{1}{2}$ $-1$
$y$ $1$ $2$ $3$ $4$ $5$
$x$, $y$가 자연수이므로 $2x+3y=13$의 해는 $(5,1)$, $(2,3)$의 $2$개 (3) $a=3$, $b=2$이므로 $a+b$$=3+2$$=5$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ax+\\frac{1}{2}$의 그래프는 일차함수 $y=-3x+2$의 그래프와 평행하고, 일차함수 $y=3x+b$의 그래프와 $y$축 위에서 만난다. 이때 수 $a$, $b$에 대하여 $ab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y=ax+\\frac{1}{2}$의 그래프는 $y=-3x+2$의 그래프와 평행하므로 기울기가 같다. $∴ $$a=-3$ $y=-3x+\\frac{1}{2}$의 그래프의 $y$절편이 $\\frac{1}{2}$이므로 $y=3x+b$의 그래프의 $y$절편도 $\\frac{1}{2}$이다. $∴ $ $b=\\frac{1}{2}$ $∴ $ $ab$$=(-3)\\times\\frac{1}{2}$$=-\\frac{3}{2}$" }, { "question": "방정식 $x-4y-4=4x-8y+6=-x-7y-5$를 만족시키는 $x$, $y$에 대하여 $x+y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x-4y-4=4x-8y+6$$→$$-3x+4y=10$······ ㉠ $x-4y-4=-x-7y-5$$→$$2x+3y=-1$······ ㉡ $㉠\\times2+㉡\\times3$을 하면 $17y=17$ $∴$ $y=1$ $y=1$을 ㉡에 대입하면 $2x+3=-1$ $∴$ $x=-2$ $∴$ $x+y$$=-2+1$$=-1$" }, { "question": "일차방정식 $3y-2x+7=0$을 만족시키는 $x$의 값이 $5$일 때, $y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x=5$를 $3y-2x+7=0$에 대입하면 $3y-10+7=0$ $3y=3$ $∴$ $y=1$" }, { "question": "주스 $3\\times10^3L$를 한 컵에 $200mL$씩 담아서 어린이들에게 나누어 주려고 한다. 한 컵씩 나누어 줄 때, 몇 명의 어린이에게 나누어 줄 수 있는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$3\\times10^3 L=(3\\times10^3)\\times10^3 mL=3\\times10^6 mL$ 따라서 나누어 줄 수 있는 학생 수는 $\\frac{3\\times10^6}{200}=\\frac{30\\times10^5}{2\\times10^2}=15\\times10^3=15000$ (명)" }, { "question": "다희와 수영이가 가위바위보를 하여 이긴 사람은 $7$ 계단을 올라가고 진 사람은 $4$ 계단을 내려가기로 하였다. 가위바위보를 총 $16$ 회 하여 다희가 처음 위치보다 $13$ 계단을 올라가 있었을 때, 다희가 이긴 횟수를 구하여라. (단, 비기는 경우는 없었다.)", "answer": "다희가 이긴 횟수를 $x$ 회, 수영이가 이긴 횟수를 $y$ 회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=16 ~~~~\\cdots\\cdots㉠\\\\ 7x-4y=13 \\cdots\\cdots㉡ \\end{cases}$ $㉠\\times4+㉡$을 하면 $11x=77$ $∴$ $x=7$ $x=7$을 ㉠에 대입하면 $7+y=16$ $∴$ $y=9$ 따라서 다희가 이긴 횟수는 $7$ 회이다." }, { "question": "지우개 $4$ 개의 가격은 공책 한 권의 가격과 같고, 지우개 $6$ 개와 공책 $4 권$의 가격의 합은 $8800$원이라 한다. 이때 공책 한 권의 가격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지우개 한 개의 가격을 $x$ 원, 공책 한 권의 가격을 $y$ 원이라 하면 $㉠$을 $㉡$에 대입하면 $6x+16x=8800$ $22x=8800$ $∴ x=400$ $x=400$을 $㉠$에 대입하면 $y=1600$ 따라서 공책 한 권의 가격은 $1600$ 원이다." }, { "question": "길이가 $400$ $m$인 열차가 어느 다리를 지나는 데 $30$ 초가 걸리고, 길이가 $900 m$인 특급 열차는 이 다리를 열차의 $2$ 배의 속력으로 $20$ 초 만에 지난다. 이때 열차의 속력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다리의 길이를 $x$ $m$, 열차의 속력을 초속 $y$ $m$라 하면 $\\begin{cases} x+400=30y\\\\ x+900=2y \\times20 \\end{cases}$ \\( \\rightarrow \\) $\\begin{cases} x-30y=-400\\cdots\\cdots㉠\\\\ x-40y=-900\\cdots\\cdots㉡ \\end{cases}$ $㉠-㉡$을 하면 $10y=500$ ∴ $y=50$ $y=50$을 ㉠에 대입하면 $x-1500=-400$ ∴ $x=1100$ 따라서 열차의 속력은 초속 $50$ m이다." }, { "question": "학생 수가 $50$ 명인 어느 학급에서 남학생의 $\\frac{1}{4}$과 여학생의 $\\frac{1}{6}$이 여행을 좋아한다. 여행을 좋아하는 학생이 전체 학생의 $\\frac{1}{5}$일 때, 이 학급의 남학생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남학생 수를 $x$ 명, 여학생 수를 $y$ 명이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 = 50 \\\\ \\frac{1}{4}x + \\frac{1}{6}y = 50 \\times \\frac{1}{5} \\end{cases} \\rightarrow$ $\\begin{cases} x+y = 50 \\cdots ㉠\\\\ 3x+2y = 120 \\cdots ㉡ \\end{cases}$ $㉠\\times2-㉡$을 하면 $-x=-20$ $∴ x=20$ $x=20$을 $㉠$에 대입하면 $20+y=50$ $∴ y=30$ 따라서 남학생 수는 $20$ 명이다." }, { "question": "부등식 $ax^2-2x-11200x+2200$ $100x>1200$ ∴ $x>12$ 따라서 오렌지를 $13$ 개 이상 구입해야 한다." }, { "question": "수미와 가희가 가위바위보를 하여 이긴 사람은 $3$ 계단을 올라가고 진 사람은 $1$ 계단을 내려가기로 하였다. 가위바위보를 총 $11$ 회 하여 가희가 처음 위치보다 $13$ 계단을 올라가 있었을 때, 가희가 이긴 횟수를 구하여라. (단, 비기는 경우는 없었다.)", "answer": "수미가 이긴 횟수를 $x$ 회, 가희가 이긴 횟수를 $y$ 회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=11 \\cdots\\cdots ㉠\\\\ 3y-x=13 \\cdots\\cdots ㉡ \\end{cases}$ $㉠+㉡$을 하면 $4y=24$ $∴$ $y=6$ $y=6$을 ㉠에 대입하면 $x+6=11$ $∴$ $x=5$ 따라서 가희가 이긴 횟수는 $6$ 회이다." }, { "question": "$7$ 점짜리 문제와 $8$ 점짜리 문제를 합하여 $41$ 개가 출제되고, 모두 맞히면 $300$ 점인 시험이 있다. $7$ 점짜리 문제는 몇 개인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$7$ 점짜리 문제 수를 $x$ 개, $8$ 점짜리 문제 수를 $y$ 개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 = 41 \\cdots ㉠\\\\ 7x+8y = 300 \\cdots ㉡ \\end{cases}$ $㉠\\times7-㉡$을 하면 $-y=-13$ $∴ y=13$ $y=13$을 $㉠$에 대입하면 $x+13=41$ $∴ x=28$ 따라서 $7$ 점짜리 문제는 $28$ 개이다." }, { "question": "현아와 태호가 가위바위보를 하여 이긴 사람은 $3$ 계단을 올라가고 진 사람은 $1$ 계단을 내려가기로 하였다. 가위바위보를 총 $14$ 회 하여 현아가 처음 위치보다 $6$ 계단을 올라가 있었을 때, 현아가 이긴 횟수를 구하여라. (단, 비기는 경우는 없었다.)", "answer": "현아가 이긴 횟수를 $x$ 회, 태호가 이긴 횟수를 $y$ 회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 =14 \\cdots \\cdots ㉠ 3x-y=6 \\cdots \\cdots ㉡ \\end{cases}$ $㉠+㉡$을 하면 $4x=20$ $\\therefore$ $x=5$ $x=5$를 $㉠$에 대입하면 $5+y=14$ $\\therefore$ $y=9$ 따라서 현아가 이긴 횟수는 $5$ 회이다." }, { "question": "연립방정식 $ \\begin{cases} -4x+3y=2 \\cdots\\cdots㉠\\\\ ax-4y=-5\\cdots\\cdots㉡ \\end{cases} $에서 $\\text{㉠}\\times3+\\text{㉡}\\times4$를 하였더니 $x$가 소거되었다. 이때 수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㉠\\times3$을 하면 $-12x+9y=6$ $㉡\\times4$를 하면 $4ax-16y=-20$ $㉠\\times3+㉡\\times4$를 하면 $(-12+4a)x-7y=-14$ $x$가 소거되려면 $-12+4a=0$ $∴ a=3$" }, { "question": "다음은 어느 아이스크림 가게의 주문표이다. 세나가 체리 맛 $1$ 개와 망고 맛 $1$ 개를 주문했을 때, 지불해야 하는 금액을 구하여라.
주문번호 체리 맛 망고 맛 바나나 맛 합계(원)
$~~~~~1$ $~~~~1$ $~~~~~4$ $10500$
$~~~~~2$ $~~~~4$ $12000$
$~~~~~3$ $~~~~3$ $~~~~~2$ $11000$
", "answer": "체리 맛 $1$ 개의 가격을 $x$ 원, 바나나 맛 $1$ 개의 가격을 $y$ 원이라 하면 $x+4Y=10500$$.....㉠$$3x+2y=11000$$......㉡$ $㉠\\times3-㉡$을 하면 $10y=20500$ $∴$ $y=2050$ $y=2050$을 $㉠$에 대입하면 $x+8200=10500$ $∴$ $x=2300$ 망고 맛 $1$ 개의 가격은 $12000\\div4$$=3000$ (원) 따라서 세나가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$2300+3000$$=5300$ (원)" }, { "question": "현지와 경아가 가위바위보를 하여 이긴 사람은 $5$ 계단을 올라가고 진 사람은 $2$ 계단을 내려가기로 하였다. 가위바위보를 총 $13$ 회 하여 현지가 처음 위치보다 $9$ 계단을 올라가 있었을 때, 현지가 이긴 횟수를 구하여라. (단, 비기는 경우는 없었다.)", "answer": "현지가 이긴 횟수를 $x$ 회, 경아가 이긴 횟수를 $y$ 회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=13 ······㉠\\\\ 5x-2y=9 ······㉡ \\end{cases}$ $㉠\\times2+㉡$을 하면 $7x=35$ $∴ x=5$ $x=5$를 $㉠$에 대입하면 $5+y=13$ $∴ y=8$ 따라서 현지가 이긴 횟수는 $5$ 회이다." }, { "question": "배 $5개$와 사과 $7개$의 가격은 $8700원$이고, 배 한 개의 가격은 사과 한 개의 가격보다 $300원$ 비싸다고 한다. 배 $6개$와사과 $3개$를 살 때, 총금액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배 한 개의 가격을 $x$ 원, 사과 한 개의 가격을 $y$ 원이라 하면 $㉡$을 $㉠$에 대입하면 $5(y+300)+7y=8700$ $5y+1500+7y=8700$ $12y=7200$ $∴$ $y=600$ $y=600$을 $㉡$에 대입하면 $x=900$ 따라서 배 $6$ 개와 사과 $3$ 개를 살 때, 총금액은 $6\\times900+3\\times600$$=7200$ (원)" }, { "question": "규호네 집에서 기차역까지의 거리는 $3 km$이다. 규호는 집에서 오전 $8$ 시에 출발하여 기차역을 향해 시속 $2 km$로 걷다가 기차 시간에 늦을 것 같아 도중에 시속 $4 km$로 달려서 오전 $9$ 시에 기차역에 도착하였다. 이때 규호가 달려간 거리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걸어간 거리를 $x km$, 달려간 거리를 $y km$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=3 \\\\ \\frac{x}{2}+\\frac{y}{4}=1 \\\\ \\end{cases}$ $\\rightarrow$ $\\begin{cases} x+y=3 \\cdots\\cdots㉠\\\\ 2x+y=4 \\cdots\\cdots㉡ \\\\ \\end{cases}$ $㉠-㉡$을 하면 $-x=-1$ $∴ x=1$ $x=1$을 $㉠$에 대입하면 $1+y=3$ $∴ y=2$ 따라서 규호가 달려간 거리는 $2 km$이다." }, { "question": "수희와 현태가 가위바위보를 하여 이긴 사람은 $2$ 계단을 올라가고 진 사람은 $1$ 계단을 내려가기로 하였다. 가위바위보를 총 $25$ 회 하여 수희가 처음 위치보다 $20$ 계단을 올라가 있었을 때, 수희가 이긴 횟수를 구하여라. (단, 비기는 경우는 없었다.)", "answer": "수희가 이긴 횟수를 $x$ 회, 현태가 이긴 횟수를 $y$ 회라 하면 $ \\begin{cases} x+y=25\\cdots\\cdots㉠ \\\\ 2x-y=20\\cdots\\cdots㉡ \\end{cases} $ $㉠+㉡$을 하면 $3x=45$ $∴$ $x=15$ $x=15$를 ㉠에 대입하면 $15+y=25$ $∴$ $y=10$ 따라서 수희가 이긴 횟수는 $15$ 회이다." }, { "question": "태호와 현민이가 오래달리기 경주를 하는 데 태호는 출발 지점에서 초속 $6 m$, 현민이는 태호보다 $9 m$ 앞에서 초속 $3 m$로 동시에 출발하였다. 두 사람이 만나는 것은 출발한 지 몇 초 후인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태호가 달린 거리를 $x m$, 현민이가 달린 거리를 $y m$라 하면 $\\begin{cases} x=y+9 \\\\ \\frac{x}{6}=\\frac{y}{3} \\\\ \\end{cases}$ → $\\begin{cases} x=y+9\\cdots\\cdots ㉠\\\\ x-2y=0\\cdots\\cdots ㉡ \\\\ \\end{cases}$$㉠$을 $㉡$에 대입하면 $(y+9)-2y=0$ $-y=-9$ $∴ y=9$ $y=9$를 $㉠$에 대입하면 $x=18$ 따라서 두 사람이 만나는 것은 출발한 지 $\\frac{18}{6}=3$ (초)후이다." }, { "question": "일차방정식 $ax+(a+3)y+b=0$에 대하여 $x=1$일 때 $y=1$이고, $x=2$일 때 $y=-1$이다. $x=3$일 때, $y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$a$, $b$는 수)", "answer": "$x=1$, $y=1$을 $ax+(a+3)y+b=0$에 대입하면 $a+a+3+b$$=0$ $∴$ $2a+b=-3 ······ ㉠$ $x=2$, $y=-1$을 $ax+(a+3)y+b=0$에 대입하면 $2a-(a+3)+b$$=0$ $2a-a-3+b$$=0$ $∴$ $a+b=3 ······ ㉡$ $㉠-㉡$을 하면 $a=-6$ $a=-6$을 $㉠$에 대입하면 $-12+b=-3$ $∴$ $b=9$ 따라서 주어진 일차방정식은 $-6x-3y+9=0$이고, $x=3$을 이 일차방정식에 대입하면 $-18-3y+9=0$ $∴$ $y=-3$" }, { "question": "다음은 연립방정식 $\\begin{cases} \\frac{x-y}{10}=1 ······㉠ \\\\ \\frac{1}{2}x+\\frac{5}{4}y=-2······㉡ \\end{cases}$ 를 푸는 과정이다. $\\square $안에 알맞은 것을 써넣어라. $\\\\㉠\\times10$을 하면 $\\square=10$ ······ $㉢$ $\\\\㉡\\times4$를 하면 $\\square=-8$ ······ $㉣$ $\\\\㉢\\times2-㉣$을 하면 $-7y=28$ $\\\\∴ y=-4$ $\\\\y=-4$를 $㉣$에 대입하면 $\\square= -8$ $\\\\∴x=\\square$", "answer": "$㉠\\times10$을 하면 $x-y=10$ $······ ㉢$ $㉡\\times4$를 하면 $2x+5y=-8$ $······ ㉣$ $㉢\\times2-㉣$을 하면 $-7y=28$ $∴ y=-4$ $y=-4$를 $㉣$에 대입하면 $2x-20=-8$ $∴ x=6$" }, { "question": "어느 동아리의 전체 학생 수는 $48$ 명이다. 이번 봉사활동에 여학생의 $\\frac{1}{8}$과 남학생의 $\\frac{1}{6}$이 참가하여 모두 $7$ 명이 다녀왔다. 이 동아리의 여학생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여학생 수를 $x$ 명, 남학생 수를 $y$ 명이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=48 \\\\ \\frac{1}{8}x+\\frac{1}{6}y=7 \\end{cases}$→$\\begin{cases} x+y=48 \\\\ 3x+4y=168 \\end{cases}$ $㉠\\times3-㉡$을 하면 $-y=-24$ $∴ y=24$ $y=24$를 ㉠에 대입하면 $x+24=48$ $∴ x=24$ 따라서 여학생 수는 $24$ 명이다." }, { "question": "희수와 경호가 함께 하면 $12$ 일 만에 마칠 수 있는 일을 희수가 $6$ 일 동안 작업한 후 나머지를 경호가 $15$ 일 동안 작업하여 모두 마쳤다. 이 일을 희수가 혼자 하면 며칠이 걸리는지 구하여라. (단, 전체 일의 양은 $1$로 한다.)", "answer": "희수가 하루에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$x$, 경호가 하루에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$y$라 하면 전체 일의 양이 $1$이므로 $\\begin{cases} 12x+12y=1 \\cdots\\cdots ㉠ \\\\ 6x+15y=1 ~~\\cdots\\cdots ㉡\\\\ \\end{cases}$ $㉠-㉡\\times2$를 하면 $-18y=-1$ $∴$ $y=\\frac{1}{18}$ $y=\\frac{1}{18}$을 $㉡$에 대입하면 $6x+\\frac{5}{6}=1$ $∴$ $x=\\frac{1}{36}$ 따라서 희수가 혼자 하면 $36$ 일이 걸린다. 희수가 하루에 할 수 있는 일의 양이 $\\frac{1}{36}$, 경호가 하루에 할 수 있는 일의 양이 $\\frac{1}{18}$이면 $12\\times\\frac{1}{36}+12\\times\\frac{1}{18}=1$이고, $6\\times\\frac{1}{36}+15\\times\\frac{1}{18}=1$이므로 구한 해는 문제의 뜻에 맞는다." }, { "question": "준규와 희주가 가위바위보를 하여 이긴 사람은 $a$ 계단을 올라가고 진 사람은 $b$ 계단을 내려가기로 하였다. 얼마 후 준규가 $9$ 회 이기고 희주가 $6$ 회 이겨서 준규는 처음 위치보다 $27$ 계단을 올라가 있고, 희주는 처음 위치보다 $3$ 계단을 올라가 있었다고 할 때, $a+b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비기는 경우는 없었다.)", "answer": "준규가 이긴 횟수는 $9$ 회, 희주가 이긴 횟수는 $6$ 회이므로 $\\begin{cases} 9a-6b=27 \\cdots \\cdots ㉠ \\\\ 6a-9b=3\\cdots \\cdots ㉠ \\end{cases}$ $㉠\\times3-㉠\\times2$를 하면 $15a=75$ $\\therefore$ $a=5$ $a=5$를 $㉠$에 대입하면 $45-6b=27$ $\\therefore$ $b=3$ $\\therefore$ $a+b$$=5+3$$=8$" }, { "question": "다음 연립방정식을 풀어라. $ \\begin{cases} 3x-2y=-2······㉠\\\\ -3x+5y=-1 ······㉡ \\end{cases}$", "answer": "$㉠+㉡$을 하면 $3y=-6$ $∴$ $y=-2$ $y=-2를 ㉠에 대입하면 3x+4=-2$ $∴$ $x=-2$" }, { "question": "두 일차함수 $y=ax+b$, $y=-x+4$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, 수 $a$, $b$에 대하여 $6a-b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두 그래프의 교점의 $x$좌표가 $3$이므로 $y=-x+4$에 $x=3$을 대입하면 $y$$=-3+4$$=1$ $y=ax+b$의 그래프가 점 $(0, -1)$을 지나므로 $-1=a\\times0+b$ $∴ b=-1$ $y=ax-1$의 그래프가 점 $(3, 1)$을 지나므로 $1=3a-1$ $∴ a=\\frac{2}{3}$ $∴ 6a-b$$=6\\times\\frac{2}{3}-(-1)$$=5$" }, { "question": "방정식 $\\frac{x}{4}+y=x+y-a=x$의 해가 일차방정식 $x+3y=13$을 만족시킬 때, 수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연립방정식 $\\begin{cases} \\frac{x}{4}+y=x \\\\ x+3y=13 \\end{cases}$의 해가 $x+3y=13$을 만족시키므로 계수와 상수항에 문자가 없는 두 일차방정식을 연립하면 $\\begin{cases} \\frac{x}{4}+y=x \\\\ x+3y=13 \\end{cases} \\rightarrow \\begin{cases} -3x+4y=0 \\cdots \\cdots ㉠ \\\\ x+3y=13 \\cdots \\cdots ㉡ \\end{cases}$ $㉠+㉡\\times3$을 하면 $13y=39$ $∴$ $y=3$ $y=3$을 ㉡에 대입하면 $x+9=13$ $∴$ $x=4$ $x=4$, $y=3$을 $x+y-a=x$에 대입하면 $4+3-a=4$ $∴$ $a=3$" }, { "question": "등산을 하는 데 올라갈 때는 시속 $2 km$로 걷고, 내려올 때는 다른 길을 택하여 시속 $5 km$로 걸어서 모두 $3$ 시간이 걸렸다. 총 $9 km$를 걸었다고 할 때, 내려온 거리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올라간 거리를 $x$ $km$, 내려온 거리를 $y$$ km$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=9 \\\\ \\frac{x}{2}+\\frac{y}{5}=3\\\\ \\end{cases}→ \\begin{cases} x+y=9 \\dots ㉠\\\\ 5x+2y=30 \\dots㉡\\\\ \\end{cases} ㉠\\times2-㉡$을 하면 $-3x=-12$ $∴$ $x=4$ $x=4$를 $㉠$에 대입하면 $4+y=9$ $∴$ $y=5$ 따라서 내려온 거리는 $5$ $km$이다." }, { "question": "두 수 중 큰 수를 작은 수로 나누면 몫은 $4$이고 나머지는 $3$이다. 또, 작은 수의 $10$ 배를 큰 수로 나누면 몫은 $2$이고 나머지는 $6$이다. 두 수의 차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큰 수를 $x$, 작은 수를 $y$라 하면 $\\begin{cases} x=4y+3 ······ ㉠\\\\ 10y = 2x+6 ······ ㉡\\\\ \\end{cases}$ $㉠$을 $㉡$에 대입하면 $10y=2(4y+3)+6$ $10y=8y+6+6$ $2y=12$ $∴ y=6$ $y=6$을 $㉠$에 대입하면 $x=27$ 따라서 두 수의 차는 $27-6=21$" }, { "question": "다음 연립방정식을 풀어라. $ \\begin{cases} \\frac{1}{2}x-\\frac{3}{2}y=\\frac{1}{3}(1-5y) \\\\ 0.2(2x-y-1)-0.1y=0.5 \\end{cases} $", "answer": "$\\frac{1}{2}x-\\frac{3}{2}y=\\frac{1}{3}(1-5y)$의 양변에 $6$을 곱하면 $3x-9y=2(1-5y)$ $3x-9y=2-10y$ $∴ 3x+y=2 ······ ㉠$ $0.2(2x-y-1)-0.1y=0.5$의 양변에 $10$을 곱하면 $2(2x-y-1)-y=5$ $4x-3y-2=5$ $∴ 4x-3y=7 ······ ㉡$ $㉠\\times3+㉡$을 하면 $13x=13$ $∴ x=1$ $x=1$을 $㉠$에 대입하면 $3+y=2$ $∴ y=-1$" }, { "question": "현재 어머니와 준수의 나이의 합은 $58$ 세이고, $12$ 년 후에 어머니의 나이는 준수의 나이의 $2$ 배보다 $1$ 세가 많다고 한다. 현재 어머니와 준수의 나이를 각각 구하여라.", "answer": "현재 어머니의 나이를 $x$ 세, 준수의 나이를 $y$ 세라 하면 $㉠-㉡$을 하면 $3y=45$ ∴ $y=15$ $y=15$를 $㉠$에 대입하면 $x+15=58$ $∴$ $x=43$ 따라서 현재 어머니의 나이는 $43$ 세, 준수의 나이는 $15$ 세이다." }, { "question": "올해 할아버지와 삼촌의 나이의 합은 $100$ 세이다. 할아버지의 나이가 삼촌의 올해 나이였을 때, 삼촌의 나이는 할아버지의 올해 나이의 $\\frac{1}{8}$이었다. 올해 삼촌의 나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올해 할아버지의 나이를 $x$ 세, 삼촌의 나이를 $y$ 세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=100 \\\\ x-y=y-\\frac{1}{8}x \\end{cases}$ → $\\begin{cases} x+y=100 ~······~ ㉠ \\\\ 9x-16y=0 ~······~ ㉡ \\end{cases}$ $㉠\\times9-㉡$을 하면 $25y=900$ $∴ y=36$ $y=36$을 ㉠에 대입하면 $x+36=100$ $∴ x=64$ 따라서 올해 삼촌의 나이는 $36$ 세이다." }, { "question": "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$5$ $cm$ 더 긴 직사각형이 있다. 이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$110$ $cm$보다 길지 않을 때, 가로의 길이는 몇 $cm$ 이하여야 하는지 구하여라.}", "answer": "가로의 길이를 $x cm$라 하면 세로의 길이는 $(x+5) cm$이므로 $2\\lbrace x+(x+5)\\rbrace\\le110$ $2(2x+5)\\le110$ $4x+10\\le110$ $4x\\le100$ $∴ x\\le25$ 따라서 가로의 길이는 $25 cm$ 이하여야 한다. 확인 가로의 길이가 $25 cm$ 이하이면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$2\\lbrace25+(25+5)\\rbrace=110 (cm)$ 이하이므로 구한 해는 문제의 뜻에 맞는다." }, { "question": "준서는 여행지에서 레일 자전거를 탔다.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 분속 $100 m$로 가고, 휴게소에서 $10$ 분 쉬었다가 종점까지 분속 $130 m$로 가서 모두 $35 분$ 걸렸다.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보다 $200 m$만큼 더 가깝다고 할 때, 출발역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를 $x$ $m$,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$y m$라 하면 $\\begin{cases} \\frac{x}{100}+10+\\frac{y}{130}=35 \\\\ y=x-200 \\end{cases}$ $\\rightarrow$ $\\begin{cases} 13x+10y=32500 \\cdots㉠\\\\ y=x-200\\cdots㉡ \\end{cases}$ $㉡$을 $㉠$에 대입하면 $13x+10(x-200)=32500$ $13x+10x-2000=32500$ $23x=34500$ $∴ x=1500$ $x=1500$을 ㉡에 대입하면 $y=1300$ 따라서 출발역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$1500+1300=2800 (m)$ 확인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가 $1500 m$이면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$1500-200=1300 (m)$이고, 출발역에서 종점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은 $\\frac{1500}{100}+10+\\frac{1300}{130}=35$ (분)이므로 구한 해는 문제의 뜻에 맞는다." }, { "question": "형우와 세희가 가위바위보를 하여 이긴 사람은 $5$ 계단을 올라가고 진 사람은 $3$ 계단을 내려가기로 하였다. 얼마 후 형우는 처음 위치보다 $11$ 계단을 올라가 있고, 세희는 처음 위치보다 $19$ 계단을 올라가 있었다. 이때 세희가 이긴 횟수를 구하여라. (단, 비기는 경우는 없었다.)", "answer": "형우가 이긴 횟수를 $x$ 회, 세희가 이긴 횟수를 $y$ 회라 하면 $\\begin{cases} 5x-3y=11 \\cdots\\cdots ㉠ \\\\ 5y-3x=19 \\cdots\\cdots ㉡ \\end{cases}$ $㉠\\times5+㉡\\times3$을 하면 $16x=112$ $∴ x=7$ $x=7$을 ㉠에 대입하면 $35-3y=11$ $∴ y=8$ 따라서 세희가 이긴 횟수는 $8$ 회이다." }, { "question": "재중이는 오후 $3$ 시에 집에서 $8$ km 떨어진 친구 집을 향해 출발하였다. 처음에는 시속 $5$ km로 걷다가 백화점에서 $30$ 분 동안 선물을 사고, 시속 $6$ km로 걸어서 친구 집에 오후 $5$ 시에 도착하였다. 이때 백화점에서 친구 집까지의 거리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집에서 백화점까지의 거리를 $x km$, 백화점에서 친구 집까지의 거리를 $y km$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=8 \\\\ \\frac{x}{5}+\\frac{1}{2}+\\frac{y}{6}=2 \\end{cases}$ $→$ $\\begin{cases} x+y=8 \\cdots\\cdots ㉠\\\\ 6x+5y=45 \\cdots\\cdots㉡ \\end{cases}$$\\\\$ $㉠\\times5-㉡$을 하면 $-x=-5$ $∴$ $x=5$ $x=5$를 $㉠$에 대입하면 $5+y=8$ $∴$ $y=3$ 따라서 백화점에서 친구 집까지의 거리는 $3km$이다." }, { "question": "자연수 $x$에 대한 함수 $f(x)$=($x$를 8로 나눈 나머지)라 할 때, $f(55)-f(56)-f(57)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55$를 $8$로 나눈 나머지는 $7$이므로 $f(55)=7$ $56$을 $8$로 나눈 나머지는 $0$이므로 $f(56)=0$ $57$을 $8$로 나눈 나머지는 $1$이므로 $f(57)=1$ $∴ f(55)-f(56)-f(57)$$=7-0-1$$=6$" }, { "question": "할아버지의 나이는 아버지보다 $26$ 세가 많다. 할아버지가 아버지 나이였을 때, 아버지는 현재 주현이의 나이보다 $5$ 세가 많았고, 지금부터 $4$ 년 후에는 할아버지의 나이가 주현이의 나이의 $5$ 배보다 $3$ 세가 적어진다고 한다. 현재 아버지의 나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현재 아버지의 나이를 $x$ 세, 주현이의 나이를 $y$ 세라 하면 할아버지의 나이는 $(x+26)$ 세이므로 $\\begin{cases} x-26=y+5 \\\\ (x+26)+4=5(y+4)-3 \\\\ \\end{cases}$ $ → $ $\\begin{cases} x-y=31 \\cdots\\cdots㉠ \\\\ x-5y=-13 \\cdots\\cdots㉡\\\\ \\end{cases}$ $㉠-㉡$을 하면 $4y=44$ $∴ y=11$ $y=11$을 ㉠에 대입하면 $x-11=31$ $∴ x=42$ 따라서 현재 아버지의 나이는 $42$ 세이다." }, { "question": "연립방정식 $\\begin{cases} 2x-my=7 \\\\ nx+5y=3 \\\\ \\end{cases}$ 의 해가 $(m-1, -1)$일 때, 수 $m$, $n$에 대하여 $2m-n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x=m-1$, $y=-1$을 $2x-my=7$에 대입하면 $2(m-1)+m=7$ $2m-2+m=7$ $3m=9$ $∴ m=3$ $x=2$, $y=-1$을 $nx+5y=3$에 대입하면 $2n-5=3$ $2n=8$ $∴ n=4$ $∴ 2m-n=2\\times3-4=2$" }, { "question": "길이가 $300 m$인 화물 열차가 어느 다리를 지나는 데 $40$초가 걸리고, 길이가 $240m$인 특급 열차는 이 다리를 화물 열차의 $2$배의 속력으로 $19$초 만에 지난다. 이때 화물 열차의 속력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다리의 길이를 $x$ $m$, 화물 열차의 속력을 초속 $y$ $m$라 하면 $\\begin{cases} x+300=40y \\\\ x+240= 2y \\times 19\\\\ \\end{cases} → \\begin{cases} x-4y=-300 \\dots ㉠\\\\ x-38y=-240 \\dots㉡ \\end{cases} ㉠-㉡$을 하면 $-2y=-60$ $∴$ $y=30$ $y=30$을 $㉠$에 대입하면 $x-1200=-300$ $∴$ $x=900$ 따라서 화물 열차의 속력은 초속 $30$$ m$이다." }, { "question": "$x$, $y$에 대한 순서쌍 $(a-6, a)$가 일차방정식 $4x-y=-12$의 한 해일 때,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x=a-6$, $y=a$를 $4x-y=-12$에 대입하면 $4(a-6)-a=-12$ $4a-24-a=-12$ $3a=12$ $∴$ $a=4$" }, { "question": "올해 삼촌과 형의 나이의 합은 $60$ 세이다. 삼촌의 나이가 형의 올해 나이였을 때, 형의 나이는 삼촌의 올해 나이의 $\\frac{1}{3}$이었다. 올해 삼촌의 나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올해 삼촌의 나이를 $x$ 세, 형의 나이를 $y$ 세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=60 \\\\ x-y=y-\\frac{1}{3}x \\\\ \\end{cases}$ $→$ $\\begin{cases} x+y=60 \\cdots\\cdots㉠\\\\ 2x-3y=0 \\cdots\\cdots㉡\\\\ \\end{cases}$ $㉠\\times2-㉡$을 하면 $5y=120$ $∴$ $y=24$ $y=24$를 $㉠$에 대입하면 $x+24=60$ $∴$ $x=36$ 따라서 올해 삼촌의 나이는 $36$ 세이다." }, { "question": "두 일차방정식 $7x+2y=12$, $3x-4y=10$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두 수 $x$, $y$에 대하여 $x+y+2(\\frac{1}{x}+\\frac{1}{y})$의 값을 구하려고 한다. (1) 연립방정식 $\\begin{cases} 7x+2y=12 \\\\ 3x-4y=10 \\end{cases}$ 을 풀어라. (2) $x+y+2(\\frac{1}{x}+\\frac{1}{y})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 $\\begin{cases} 7x+2y=12 \\cdots \\cdots ㉠\\\\ 3x-4y=10 \\cdots \\cdots ㉡ \\end{cases}$ $㉠ \\times 2 +㉡$을 하면 $17x=34$ $\\therefore x =2$ $x=2$를 ㉠에 대입하면 $14+2y=12$ $\\therefore y=-1$ (2) $x=2$, $y=-1$이므로 $x+y+2(\\frac{1}{x}+\\frac{1}{y})$$=2+(-1)+2\\times(\\frac{1}{2}-1)$$=0$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-2x+4$의 그래프와 $x$축 위에서 만나고, 일차함수 $y=5x+8$의 그래프와 $y$축 위에서 만나는 직선을 그래프로 하는 일차함수의 식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y=-2x+4$의 그래프의 $x$절편은 $2$이고, $y=5x+8$의 그래프의 $y$절편은 $8$이다. 구하는 일차함수의 그래프가 두 점 $(2, 0)$, $(0, 8)$을 지나므로 $(기울기)$$=\\frac{8-0}{0-2}$$=-4$ 기울기가 $-4$, $y$절편이 $8$이므로 $y=-4x+8$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\\frac{2}{5}x+2$의 그래프와 평행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골라라. 보기 ㄱ. $y$절편이 $-2$이고 점$(10, 2)$를 지나는 직선 ㄴ. 기울기가 $\\frac{2}{5}$ 이고 $y$절편이 $5$인 직선 ㄷ. 두 점$(-5, -6)$,$(-4, -4)$를 지나는 직선 ㄹ. $x$절편이 $10$이고 $t$절편이 $-4$인 직선 ㅁ. 일차함수 $y=\\frac{5}{2}x+2$의 그래프", "answer": "$y=\\frac{2}{5}x+2$의 그래프와 평행하려면 기울기가 $\\frac{2}{5}$이고 $y$절편이 $2$가 아니어야 한다. ㄱ. $(기울기)=\\frac{2-(-2)}{10-0}$$=\\frac{2}{5}$, $(y절편)$$=-2$ ㄴ. $(기울기)=-\\frac{2}{5}$, $(y절편)$$=5$ ㄷ. $(기울기)=\\frac{(-4)-(-6)}{(-4)-(-5)}$$=2$ ㄹ. $(기울기)=\\frac{-4-0}{0-10}$$=\\frac{2}{5}$, $(y절편)$$=-4$ ㅁ. $(기울기)=\\frac{5}{2}$, $(y절편)$$=2$" }, { "question": "자연수 $x$, $y$에 대한 일차방정식 $ax+2y=45$의 해를 나타낸 표이다.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. (단, $a$는 수)
$x$ $1$ $3$ $c$
$y$ $b$ $15$ $10$
(1)$a$의 값을 구하여라. (2) $a+b+c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$x=3$, $y=15$를 $ax+2y=45$에 대입하면 $3a+30=45$ $3a=15$ $∴ a=5$ (2)$a=5$이므로 주어진 일차방정식은 $5x+2y=45$ $x=1$, $y=b$를 $5x+2y=45$에 대입하면 $5+2b=45$ $2b=40$ $∴ b=20$ $x=c$, $y=10$을 $5x+2y=45$에 대입하면 $5c+20=45$ $5c=25$ $∴ c=5$ $∴ a+b+c=5+20+5=30$" }, { "question": "올해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나이의 합은 $140$ 세이다. 할아버지의 나이가 아버지의 올해 나이였을 때, 아버지의 나이는 할아버지의 올해 나이의 $\\frac{1}{9}$이었다. 올해 아버지의 나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올해 할아버지의 나이를 $x$ 세, 아버지의 나이를 $y$ 세라 하면 → $ \\begin{cases} x+y=140\\\\ x-y=y-\\frac{1}{9} \\\\ \\end{cases} $ $→$$ \\begin{cases} x+y=140 \\cdots\\cdots㉠ \\\\ 5x-9y=0 \\cdots\\cdots㉡ \\\\ \\end{cases} $ $㉠\\times5-㉡$을 하면 $14y=700$ $∴ y=50$ $y=50$을 $㉠$에 대입하면 $x+50=140$ $∴ x=90$ 따라서 올해 아버지의 나이는 $50$ 세이다." }, { "question": "할머니의 나이는 어머니보다 $26$ 세가 많다. 할머니가 어머니 나이였을 때, 어머니는 현재 지연이의 나이보다 $2$ 세가 많았고, 지금부터 $6$년 후에는 할머니의 나이가 지연이의 나이의 $6$배 보다 $1$ 세가 적어진다고 한다. 현재 어머니의 나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현재 어머니의 나이를 $x$ 세, 지연이의 나이를 $y$ 세라 하면 할머니의 나이는 $(x+26)$ 세이므로 $\\begin{cases} x-26=y+2 \\\\ (x+26)+6=6(y+6)-1 \\\\ \\end{cases}$ $\\rightarrow$ $\\begin{cases} x-y=28 \\cdots\\cdots ㉠\\\\ x-6y=3 \\cdots\\cdots ㉡\\\\ \\end{cases}$ $㉠-㉡$을 하면 $5y=25$ $∴$ $y=5$ $y=5$를 ㉠에 대입하면 $x-5=28$ $∴$ $x=33$ 따라서 현재 어머니의 나이는 $33$ 세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$x$의 값이 $4$만큼 증가할 때, $y$의 값의 증가량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그래프가 두 점 $(0, -6)$, $(3, 0)$을 지나므로 $(기울기)=\\frac{0-(-6)}{3-0}$$=2$ $\\frac{(y의 값의 증가량)}{4}$$=2$이므로 $(y의 값의 증가량)$$=2\\times4$$=8$" }, { "question": "재현이와 경미가 가위바위보를 하여 이긴 사람은 $3$ 계단을 올라가고 진 사람은 $1$ 계단을 내려가고 비기면 두 사람 모두 $1$ 계단씩 내려가기로 했다. 그 결과 재현이는 처음 위치보다 $5$ 계단을, 경미는 처음 위치보다 $1$ 계단을 올라가 있었다. 비긴 횟수가 모두 $2$ 회일 때, 두 사람이 가위바위보를 한 전체 횟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재현이가 이긴 횟수를 $x$ 회, 경미가 이긴 횟수를 $y$ 회라 하면 비긴 횟수가 모두 $2$ 회이므로 \\[ \\left\\{\\begin{array} { l } { 3 x - y - 2 = 5 } \\\\ { 3 y - x - 2 = 1 } \\end{array} \\rightarrow \\left\\{\\begin{array}{l} 3 x-y=7 \\cdots \\cdots㉠ \\\\ -x+3 y=3 \\cdots \\cdots㉡ \\end{array}\\right.\\right. \\] $㉠+㉡\\times3$을 하면 $8y=16$ $∴$ $y=2$ $y=2$를 ㉠에 대입하면 $3x-2=7$ $∴$ $x=3$ 따라서 가위바위보를 한 전체 횟수는 $3+2+2$$=7$ (회) 확인 재현이가 $3$ 회 이기고, 경미가 $2$ 회 이기면 재현이는 $3\\times3-2-2=5$ (계단) 올라가고, 경미는 $3\\times2-3-2=1$ (계단) 올라가므로 구한 해는 문제의 뜻에 맞는다.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ax+2$의 그래프는 일차함수 $y=-4(x-3)$의 그래프와 평행하고, 두 점 $(b, 6)$, $(-2, c)$를 지날 때, $a+b+c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$a$는 수)", "answer": "기울기가 같고 $y$절편이 다른 두 그래프는 서로 평행하고 $y=-4(x-3)=-4x+12$이므로 $a=-4$ $y=-4x+2$의 그래프가 점 $(b, 6)$을 지나므로 $6=-4b+2$ $∴$ $b=-1$ 또, $y=-4x+2$의 그래프가 점 $(-2, c)$ 를 지나므로 $c$$=(-4)\\times(-2)+2$$=10$ $∴$ $a+b+c$$=-4+(-1)+10$$=5$" }, { "question": "시은이는 여행지에서 레일 자전거를 탔다.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 분속 $100 m$로 가고, 휴게소에서 $10 분$ 쉬었다가 종점까지 분속 $110 m$로 가서 모두 $44 분$ 걸렸다.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보다 $800 m$만큼 더 멀다고 할 때, 출발역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를 $x m$,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$y m$라 하면 $\\begin{cases} \\frac{x}{100}+10+\\frac{y}{110}=44\\\\ y=x+800 \\end{cases}$$\\rightarrow$ $\\begin{cases} 11x+10y+37400\\cdots\\cdots㉠ \\\\ y=x+800 \\cdots\\cdots㉡\\end{cases}$ ㉡을 ㉠에 대입하면 $11x+10(x+800)=37400$ $11x+10x+8000=37400$ $21x=29400$ $∴$ $x=1400$ $x=1400$을 ㉡에 대입하면 $y=2200$ 따라서 출발역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$1400+2200=3600 (m)$ 확인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가 $1400 m$이면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$1400+800=2200 (m)$이고, 출발역에서 종점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은 $\\frac{1400}{100}+10+\\frac{2200}{110}=44$ (분)이므로 구한 해는 문제의 뜻에 맞는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$x$의 값이 $2$만큼 증가할 때, $y$의 값의 증가량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그래프가 두 점 $(0, 6)$, $(3, 0)$을 지나므로 $(기울기)=\\frac{0-6}{3-0}$$=-2$ $\\frac{(y의 값의 증가량)}{2}$$=-2$이므로 $(y의 값의 증가량)$$=(-2)\\times2$$=-4$" }, { "question": "방정식 $(a-2)x-2by=2x-y=x+7$의 해가 방정식 $ax+(b+4)y=2x+y=x+3$을 만족시킬 때, 수 $a$, $b$에 대하여 $5a-b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연립방정식 $\\begin{cases} (a-2)x-2by=x+7 \\\\ 2x-y=x+7 \\end{cases}$ 의 해가 연립방정식 $\\begin{cases} ax+(b+4)y=x+3 \\\\ 2x+y=x+3 \\end{cases}$ 을 만족시키므로 계수와 상수항에 문자가 없는 두 일차방정식을 연립하면 $\\begin{cases} 2x-y=x+7 \\\\ 2x+y=x+3 \\end{cases}$$ → $$\\begin{cases} x-y=7 \\cdots \\cdots ㉠\\\\ x+y=3 \\cdots \\cdots㉡ \\end{cases}$ $㉠+㉡$을 하면 $2x=10$ $∴ x=5$ $x=5$를 ㉠에 대입하면 $5-y=7$ $∴ y=-2$ 연립방정식 $\\begin{cases} (a-2)x-2by=x+7 \\\\ ax+(b+4)y=x+3 \\end{cases}$ 의 해도 $x=5$, $y=-2$이므로 대입하면 $\\begin{cases} 5(a-2)+4b=12 \\\\ 5a-2(b+4)=8 \\end{cases}$$→$$\\begin{cases} 5a+4b=22 \\cdots \\cdots ㉢\\\\ 5a-2b=16 \\cdots \\cdots ㉣ \\end{cases}$ $㉢-㉣$을 하면 $6b=6$ $∴ b=1$ $b=1$을 ㉣에 대입하면 $5a-2=16$ $∴ a=\\frac{18}{5}$ $∴ 5a-b=5\\times\\frac{18}{5}-1=17$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ax-4$의 그래프가 $x$축, $y$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$A$, $B$라 할 때, $\\overline{OA}=\\frac{3}{4}\\overline{OB}$를 만족시킨다. 이때 음수 $a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O는 원점)", "answer": "$a$는 음수이므로 $y=ax-4$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. 이때 $\\overline{OB}$$=4$이므로 $\\overline{OA}=\\frac{3}{4}\\overline{OB}$$=3$ $∴ A(-3, 0)$ $y=ax-4$의 그래프는 두 점 $A(-3, 0)$, $B(0, -4)$를 지나므로 $a$$=(기울기)$$=\\frac{-4-0}{0-(-3)}$$=-\\frac{4}{3}$" }, { "question": "다음은 민수의 출석 번호에 대한 설명이다. 민수의 출석 번호를 구하여라.$\\\\$ 민수의 출석 번호는 두 자리의 자연수이다.$\\\\$ 출석 번호의 일의 자리의 숫자에서 십의 자리의 숫자를 빼면 $6$ 이다.$\\\\$ 출석 번호의 십의 자리의 숫자와 일의 자리의 숫자를 바꾸면 원래 번호의 $4$ 배보다 $3$ 만큼 크다.", "answer": "출석 번호의 십의 자리의 숫자를 $x$, 일의 자리의 숫자를 $y$라 하면 $㉠\\times6-㉡$을 하면 $33x=33$ $ \\therefore x=1$ $x=1$을 $㉠$에 대입하면 $-1+y=6$ $ \\therefore y=7$ 따라서 민수의 출석 번호는 $17$ 번이다. $17$의 일의 자리의 숫자에서 십의 자리의 숫자를 빼면 $7-1=6$ 또, 십의 자리의 숫자와 일의 자리의 숫자를 바꾼 번호는 $71$ 번이고, $4\\times17+3=71$이므로 구한 해는 문제의 뜻에 맞는다.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-\\frac{1}{3}x+2$의 그래프와 평행하고, 점 $(3, -3)$을 지나는 직선의 $y$절편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y=-\\frac{1}{3}x+2$의 그래프와 평행하므로 기울기가 $-\\frac{1}{3}$이고, $y$절편을 $b$라 하면 일차함수의 식은 $y=-\\frac{1}{3}x+b$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$(3, -3)$을 지나므로 $-3=(-\\frac{1}{3})\\times3+b$ $∴ b=-2$ 따라서 $y$절편은 $-2$이다." }, { "question": "현진이는 여행지에서 레일 자전거를 탔다.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 분속 $100 m$로 가고, 휴게소에서 $10$ 분 쉬었다가 종점까지 분속 $140 m$로 가서 모두 $39$ 분 걸렸다.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보다 $500 m$만큼 더 가깝다고 할 때, 출발역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를 $x m$,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$y m$하면$\\begin{cases} \\frac{x}{100}+10+\\frac{y}{140}=39\\\\ y=x-500\\\\ \\end{cases}$ $→$ $\\begin{cases} 7x+5y=20300\\cdots\\cdots ㉠\\\\ y=x-500\\cdots\\cdots ㉠ \\\\ \\end{cases}$ $㉡$을 $㉠$에 대입하면 $7x+5(x-500)=20300$ $7x+5x-2500=20300$ $12x=22800$ $∴ x=1900$ $x=1900$을 $㉡$에 대입하면 $y=1400$ 따라서 출발역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$1900+1400=3300 (m)$ 확인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가 $1900 m$이면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$1900-500=1400 (m)$이고, 출발역에서 종점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은 $\\frac{1900}{100}+10+\\frac{1400}{140}=39$ (분)이므로 구한 해는 문제의 뜻에 맞는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O$가 $\\triangle ABC$의 외심이고, $\\angle BAO=17\\degree$, $\\angle CAO=41\\degree$이다. $\\angle C-\\angle B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OB}$, $\\overline{OC}$를 그으면 $17\\degree+\\angle BCO+41\\degree=90\\degree$ ∴ $\\angle BCO$$=\\angle CBO$$=32\\degree$ $\\angle ACO$$=\\angle CAO$$=41\\degree$이므로 $\\angle ACB=32\\degree+41\\degree=73\\degree$ $\\angle ABO$$=\\angle BAO$$=17\\degree$이므로 $\\angle ABC=32\\degree+17\\degree=49\\degree$ ∴ $\\angle C-\\angle B$$=73\\degree-49\\degree$$=24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두 점 $(1, 1)$, $(2, 5)$를 지나는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기울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기울기)$$=\\frac{5-1}{2-1}$$=4$" }, { "question": "지윤이는 여행지에서 레일 자전거를 탔다.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 분속 $100 m$로 가고, 휴게소에서 $10$ 분 쉬었다가 종점까지 분속 $120 m$로 가서 모두 $40 분$ 걸렸다.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보다 $300 m$만큼 더 멀다고 할 때, 출발역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를 $x m$,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$y m$라 하면 $\\begin{cases} \\frac{x}{100}+10+\\frac{y}{120}=40 \\\\ y=x+300 \\end{cases} \\rightarrow $ $\\begin{cases} 6x+5y=18000 \\cdots ㉠\\\\ y=x+300 \\cdots ㉡ \\end{cases}$ $㉡$을 $㉠$에 대입하면 $6x+5(x+300)=18000$ $6x+5x+1500=18000$ $11x=16500$ $∴ x=1500$ $x=1500$을 $㉡$에 대입하면 $y=1800$ 따라서 출발역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$1500+1800=3300 (m)$ 확인 출발역에서 휴게소까지의 거리가 $1500 m$이면 휴게소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$1500+300=1800 (m)$이고, 출발역에서 종점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은 $\\frac{1500}{100}+10+\\frac{1800}{120}=40$ (분)이므로 구한 해는 문제의 뜻에 맞는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연립방정식을 풀어라. $y=-2x ······㉠$ $5x+y=9 ······ ㉡$", "answer": "$㉠$을 $㉡$에 대입하면 $5x-2x=9$ $3x=9$ $∴ x=3$ $x=3$을 $㉠$에 대입하면 $y=-6$" }, { "question": "산의 정상까지 $A$, $B$ 두 코스가 있다. $A$ 코스로 정상까지 시속 $2 km$로 올라가서 $B$ 코스로 시속 $5 km$로 내려왔더니 모두 $4$ 시간이 걸렸다. $A$, $B$ 코스의 거리의 합이 $14 km$일 때, $A$, $B$ 두 코스의 거리의 차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A 코스의 거리를 $x$ $km$, B 코스의 거리를 $y$$ km$라 하면 $\\begin{cases} x+y=14 \\\\ \\frac{x}{2}+\\frac{y}{5}=4 \\end{cases}$ $\\rightarrow$ $\\begin{cases} x+y=14\\cdots㉠ \\\\ 5x+2y=40\\cdots㉡ \\end{cases}$ $㉠\\times2-㉡$을 하면 $-3x=-12$ $∴ x=4$ $x=4$를 $㉠$에 대입하면 $4+y=14$ $∴ y=10$ 따라서 A, B 두 코스의 거리의 차는 $10-4=6 (km)$" }, { "question": "높이가 $45$ $cm$인 원기둥 모양의 물통에 일정한 비율로 물을 넣으면 수면의 높이가 $3$ 분에 $4$ $cm$씩 높아진다고 한다. 수면의 높이가 $13$ $cm$일 때부터 물을 넣기 시작하였을 때, 물통을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1$ 분에 $\\frac{4}{3}$ $cm$씩 높아지므로 $x$ 분 후의 수면의 높이를 $y$ $ cm$라 하면 $y=13+\\frac{4}{3}x$ $(0\\le x\\le24)$ 이 식에 $y=45$를 대입하면 $45=13+\\frac{4}{3}x$ $∴ x=24$ 따라서 물통을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은 $24$ 분 후이다." }, { "question": "동현이와 성수가 직선 도로를 따라 달리기를 하는데 성수가 동현이보다 $60 m$ 앞에서 출발하였다. 두 사람이 동시에 출발하여 동현이는 초속 $8 m,$ 성수는 초속 $5$ $m$로 달릴 때, 동현이가 성수를 따라잡는 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두 사람이 동시에 출발한 지 $x$ 초 후의 두 사람 사이의 거리를 $y$ $m$라 하자. 동현이가 출발한 곳을 출발선으로 생각하면 출발선으로부터 동현이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$8x$ $m$, 성수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$(60+5x)$ $m$이므로 $y$$=(60+5x)-8x$ $∴$ $y$$=-3x+60$ 동현이가 성수를 따라잡으면 $y=0$이 되므로 위의 식에 $y=0$을 대입하면 $0=-3x+60$ $∴$ $x=20$ 따라서 동현이가 성수를 따라잡는 데 걸리는 시간은 $20$ 초이다.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2kx-5$의 그래프는 일차함수 $y=-4x+1$의 그래프와 평행하고 점 $(p,-1)$을 지난다. 이때 수 $k$, $p$에 대하여 $k-p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기울기가 같고 $y$절편이 다른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는 서로 평행하므로 $2k=-4$ $∴$ $k=-2$ $y=-4x-5$의 그래프가 점 $(p, -1)$을 지나므로 $-1=-4p-5$ $∴$ $p=-1$ $∴$ $k-p$$=(-2)-(-1)$$=-1$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-x+k$의 그래프를 $y$축의 방향으로 $5$만큼 평행이동하였더니 일차함수 $y=-x+7$의 그래프가 되었다. 이때 일차함수 $y=2x-k$의 그래프를 $y$축의 방향으로 $2$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을 구하여라. (단, $k$는 수)", "answer": "$y=-x+k$의 그래프를 $y$축의 방향으로 $5$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$y=-x+k+5$ 이 함수의 그래프가 $y=-x+7$의 그래프와 같으므로 $k+5=7$ $∴ k=2$ $y=2x-2$의 그래프를 $y$축의 방향으로 $2$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$y=2x-2+2=2x$" }, { "question": "두 일차함수 $y=ax+6$, $y=-x+3$의 그래프가 모두 점 $(b, 2)$를 지날 때, $a+b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$a$는 수)", "answer": "$y=-x+3$의 그래프가 점 $(b, 2)$를 지나므로 $2=-b+3$ $ \\therefore b=1$ $y=ax+6$의 그래프가 점 $(1, 2)$를 지나므로 $2=a+6$ $ \\therefore a=-4$ $ \\therefore a+b$$=-4+1$$=-3$" }, { "question": "보기의 일차방정식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, 일차방정식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선택하여라. ㄱ.$2x-3y+6=0\\rightarrow\\square$ $\\\\$ ㄴ.$2x+3y-6=0\\rightarrow\\square$ $\\\\$ ㄷ.$2x-3y-6=0\\rightarrow\\square$", "answer": "ㄱ. $x$절편은 $-3$, $y$절편은 $2$이므로 그래프는 직선 $m$이다. ㄴ. $x$절편은 $3$, $y$절편은 $2$이므로 그래프는 직선 $n$이다. ㄷ. $x$절편은 $3$, $y$절편은 $-2$이므로 그래프는 직선 $l$이다.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2x-5$의 그래프를 $y$축의 방향으로 $7$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 $y=ax+b$는 $x=2$일 때 $y=c$이다. $abc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$a$, $b$는 수)", "answer": "$y=2x-5$의 그래프를 $y$축의 방향으로 $7$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$y=2x-5+7=2x+2$ ∴ $a=2$, $b=2$ $y=2x+2$에 $x=2$를 대입하면 $y=6$ ∴ $c=6$ ∴ $abc=2\\times2\\times6=24$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-\\frac{1}{4}x-2$의 그래프와 평행하고, 점 $(4, 4)$를 지나는 직선의 $y$절편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y=-\\frac{1}{4}x-2$의 그래프와 평행하므로 기울기가 $-\\frac{1}{4}$이고, $y$절편을 $b$라 하면 일차함수의 식은 $y=-\\frac{1}{4}x+b$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$(4, 4)$를 지나므로 $4=(-\\frac{1}{4})\\times4+b$ $∴ b=5$ 따라서 $y$절편은 $5$이다.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\\frac{3}{2}x-6$의 그래프의 기울기를 $a$, $x$절편을 $b$, $y$절편을 $c$라 할 때, $abc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y=\\frac{3}{2}x-6$의 기울기가 $\\frac{3}{2}$이므로 $a=\\frac{3}{2}$ $y=\\frac{3}{2}x-6$에 $y=0$을 대입하면 $0=\\frac{3}{2}x-6$ $∴ x=4$ 즉, $x$절편이 $4$이므로 $b=4$ $y$절편은 $-6$이므로 $c=-6$ $∴ abc$$=\\frac{3}{2}\\times4\\times(-6)$$=-36$" }, { "question": "다음 일차방정식을 $y$를 $x$에 대한 일차식으로 나타내어라. $5x-3y-6=0$", "answer": "$5x-3y-6=0$에서 $-3y=-5x+6$ $∴ y=\\frac{5}{3}x-2$" }, { "question": "폭이 $5 cm$로 일정한 종이를 다음 그림과 같이 접었다. $\\overline{AB}=6 cm$일 때, $\\triangle ABC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ABC$$=\\angle CBF$ (접은 각), $\\angle ACB$$=\\angle CBF$ (엇각) $∴$ $\\angle ABC=\\angle ACB$ 두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$\\overline{AC}=\\overline{AB}$$=6 cm$ 점 $B$에서 $\\overline{AC}$에 내린 수선의 발을 $M$이라 하면 $\\overline{BM}$$=\\overline{DE}=5 cm$ $\\triangle ABC$$=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AC}\\times\\overline{BM}$$=\\frac{1}{2}\\times6\\times5$$=15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$x$의 값이 $3$만큼 증가할 때, $y$의 값의 증가량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그래프가 두 점 $(0, -3)$, $(4, 0)$을 지나므로 $(기울기)=\\frac{0-(-3)}{4-0}$$=\\frac{3}{4}$ $\\frac{(y의 값의 증가량)}{3}$$=\\frac{3}{4}$이므로 $(y의 값의 증가량)$$=\\frac{3}{4}\\times3$$=\\frac{9}{4}$" }, { "question": "두 점 $(2, a+2)$, $(-1, 2a-3)$을 지나는 직선이 $x$축에 평행할 때,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두 점의 $y$좌표가 같아야 하므로 $a+2=2a-3$ $ ∴ a=5$" }, { "question": "두 점 $(-2,1)$, $(1,4)$를 지나는 직선을 $y$축의 방향으로 $-2$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은 점 $(k,-4)$를 지난다. 이때 $k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두 점 $(-2, 1)$, $(1, 4)$를 지나므로 $(기울기)$$=\\frac{4-1}{1-(-2)}$$=1$ $y$절편을 $b$라 하면 일차함수의 식은 $y=x+b$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$(1, 4)$를 지나므로 $4=1+b$ $∴ b=3$ $y=x+3$의 그래프를 $y$축의 방향으로 $-2$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$y=x+3-2=x+1$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$(k, -4)$를 지나므로 $-4=k+1$ $∴ k=-5$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\\frac{6}{5}x-10$의 그래프가 점 $(10, 14)$를 지나려면 $y$축의 방향으로 얼마만큼 평행이동해야 하는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$y=\\frac{6}{5}x-10$의 그래프가 $y$축의 방향으로 $k$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$y=\\frac{6}{5}x-10+k$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$(10, 14)$를 지나야 하므로 $14=\\frac{6}{5}\\times10-10+k$ $∴$ $k=12$ 따라서 $y$축의 방향으로 $12$만큼 평행이동해야 한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O$가 $\\triangle ABC$의 외심이고 $\\angle CAO=67\\degree$, $\\angle BCO=39\\degree$일 때, 다음을 구하여라. (1) $\\angle{BOC}=$$\\square \\degree$ (2) $\\angle{AOB}=$$\\square \\degree$ (3) $\\angle{BAO}=$$\\square \\degree$", "answer": "점 $O$가 외심이므로 $\\overline{OA}=\\overline{OB}=\\overline{OC}$ $\\triangle BOC$에서 $\\angle BOC=180\\degree-39\\degree\\times2=102\\degree$ $\\triangle AOC$에서 $\\angle AOC=180\\degree-67\\degree\\times2=46\\degree$ $∴ \\angle AOB=\\angle BOC-\\angle AOC=102\\degree-46\\degree=56\\degree$ $\\triangle ABO$에서 $\\angle BAO=\\frac{1}{2}\\times(180\\degree-56\\degree)=62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은 $150L$ 의 물이 들어있는 물통에서 일정한 속도로 물이 흘러나갈 때, 시간과 물의 양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. $x$ 시간 후에 물통에 남아있는 물의 양을 $yL$ 라 할 때, $5$ 시간 후에 물통에 남은 물의 양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두 점 $(6, 0)$, $(0, 150)$을 지나므로 $(기울기)$$=\\frac{150-0}{0-6}$$=-25$ 기울기가 $-25$, $y$절편이 $150$이므로 $y=-25x+150$ $(0\\le x\\le6)$ 이 식에 $x=5$를 대입하면 $y$$=(-25)\\times5+150$$=25$ 따라서 $5$ 시간 후에 물통에 남은 물의 양은 $25 L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직선을 그래프로 하는 일차함수의 식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주어진 직선은 두 점 $(-2, 2)$, $(1, -4)$를 지나므로 $(기울기)=\\frac{-4-2}{1-(-2)}=-2$ $y$절편을 $b$라 하면 구하는 일차함수의 식은 $y=-2x+b$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$(1, -4)$를 지나므로 $-4=(-2)\\times1+b$ $∴$ $b=-2$ $∴$ $y=-2x-2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O는 $\\triangle{ABC}$의 외심이다. $\\angle{C}=67\\degree$일 때, $\\angle{BAO}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AOB=2\\angle ACB=2\\times67\\degree=134\\degree$ $\\triangle ABO$에서 $\\overline{OA}=\\overline{OB}$이므로 $\\angle BAO=\\frac{1}{2}\\times(180\\degree-134\\degree)=23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두 점 $(1, a)$, $(b, 3)$이 일차방정식 $3x-y=6$의 그래프 위에 있을 때, $a+2b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3x-y=6$의 그래프가 점 $(1, a)$를 지나므로 $3\\times1-a=6$ $∴ a=-3$ $3x-y=6$의 그래프가 점 $(b, 3)$을 지나므로 $3b-3=6$ $∴ b=3$ $∴ a+2b$$=-3+2\\times3$$=3$" }, { "question": "현재 길이가 $70$ $cm$인 나무가 있다. 이 나무가 매년 $3$ $cm$씩 자란다고 할 때, 현재로부터 $7$ 년 후의 나무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1$ 년마다 나무가 $3$ $cm$씩 자라므로 $x$ 년 후의 나무의 길이를 $y$ $cm$ 라 하면 $y=70+3x$ 이 식에 $x=7$을 대입하면 $y$$=70+3\\times7$$=91$ 따라서 $7$ 년 후의 나무의 길이는 $91$ $cm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triangle ABC$는 $\\overline{AB}$$=\\overline{AC}$인 이등변삼각형이다. $\\angle x$, $\\angle y$의 크기를 각각 구하여라.", "answer": "이등변삼각형의 밑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$\\angle x=\\angle C=52\\degree$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$\\triangle ABC$에서 $\\angle y=52\\degree+52\\degree=104\\degree$" }, { "question": "일차방정식 $x-2y=9$의 그래프가 두 일차방정식 $ax+y=-7$, $2x+y=-2$의 그래프의 교점을 지날 때, 수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연립방정식 를 풀면 $x=1$, $y=-4$이므로 두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는 $(1, -4)$이다. $ax+y=-7$의 그래프가 점 $(1, -4)$를 지나므로 $a\\times1+(-4)=-7$ $∴ a=-3$" }, { "question": "세 점 $(3, 2a+1)$, $(-1, 3)$, $(0, a-4)$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하는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세 점이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$\\frac{3-(2a+1)}{-1-3}=\\frac{(a-4)-3}{0-(-1)}$ $\\frac{a-1}{2}$$=a-7$ $a-1=2a-14$ $∴ $$a=13$" }, { "question": "일차방정식 $3x-y-6=0$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,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주어진 그래프가 점 $(a, 3)$을 지나므로 $3x-y-6=0$에 $x=a$, $y=3$을 대입하면 $3a-3-6=0$ $∴$ $a=3$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ax-6$의 그래프가 $x$축, $y$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A, B라 할 때, $\\overline{OA}=\\frac{1}{2}\\overline{OB}$를 만족시킨다. 이때 음수 $a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$O$는 원점)", "answer": "$a$는 음수이므로 $y=ax-6$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. 이때 $\\overline{OB}=6$이므로 $\\overline{OA}=\\frac{1}{2}\\overline{OB}=3$ $∴ A(-3, 0)$ $y=ax-6$의 그래프는 두 점 $A(-3, 0)$, $B(0, -6)$을 지나므로 $a=(기울기)=\\frac{-6-0}{0-(-3)}=-2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두 일차함수 $y=f(x)$, $y=g(x)$의 그래프의 기울기를 각각 $p$, $q$라 할 때, $pq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y=f(x)$의 그래프가 두 점 $(0, 2)$, $(1, 3)$을 지나므로 $p$$=(기울기)$$=\\frac{3-2}{1-0}$$=1$ $y=g(x)$의 그래프가 두 점 $(1, 3)$, $(5, 0)$을 지나므로 $q$$=(기울기)$$=\\frac{0-3}{5-1}$$=-\\frac{3}{4}$ $∴ pq$$=1\\times(-\\frac{3}{4})$$=-\\frac{3}{4}$" }, { "question": "두 함수 $f(x)=ax-2$, $g(x)=\\frac{b}{x}+2$에 대하여 $f(1)=3$, $g(-3)=1$일 때, $a-b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$a$, $b$는 수)", "answer": "$f(1)$$=a-2$$=3$이므로 $a=5$ $g(-3)$$=\\frac{b}{-3}+2$$=1$이므로 $\\frac{b}{-3}=-1$ $∴$ $b=3$ $∴$ $a-b$$=5-3$$=2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triangle ABC$는 $\\overline{CA}$$=\\overline{CB}$인 이등변삼각형이고 점 $I$는 $\\triangle ABC$의 내심이다. $\\angle CAI=34\\degree$일 때, $\\angle BCI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BAI=\\angle CAI$이므로 $\\angle BAC$$=2\\angle CAI$$=2\\times34\\degree$$=68\\degree$ $\\triangle ABC$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$\\angle ACB$$=180\\degree-68\\degree\\times2$$=44\\degree$ $\\angle BCI$$=\\frac{1}{2}\\angle ACB$$=\\frac{1}{2}\\times44\\degree$$=22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두 함수 $f(x)=2ax+1$, $g(x)=\\frac{b}{x}-3$에 대하여 $f(1)=7$, $g(-2)=-5$일 때, $a+b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$a$, $b$는 수)", "answer": "$f(1)$$=2a+1$$=7$이므로 $2a=6$ $∴$ $a=3$ $g(-2)$$=\\frac{b}{-2}-3$$=-5$이므로 $\\frac{b}{-2}=-2$ $∴$ $b=4$ $∴$ $a+b$$=3+4$$=7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직각이등변삼각형 $ABC$의 두 꼭짓점$ A, B$에서 꼭짓점$C$를 지나는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$ P, Q$라 할 때, $\\triangle ABC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CP$와 $\\triangle CBQ$에서 $\\angle APC=\\angle CQB=90\\degree$ $\\overline{AC}=\\overline{CB}$ $\\angle CAP=90\\degree-\\angle ACP=\\angle BCQ$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$\\triangle ACP\\equiv\\triangle CBQ$ $\\overline{CP}=\\overline{BQ}=4$, $\\overline{CQ}=\\overline{AP}=3$ $\\therefore \\overline{PQ}$$=\\overline{CP}+\\overline{CQ}=4+3$$=7$ $(삼각형 ABC의 넓이)$ $=$$(사다리꼴 ABQP의 넓이)$ $-$ $2$$\\times$$(삼각형 ACP의 넓이)$ $=\\frac{1}{2}\\times(4+3)\\times7-2\\times(\\frac{1}{2}\\times4\\times3)=\\frac{25}{2}$" }, { "question": "보기의 함수 중에서 $f(5)$의 값이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기호를 나열하여라. 보기 ㄱ.$f(x)=x-7$ ㄴ.$f(x)=-x+1$ ㄷ.$f(x)=\\frac{2}{x}-2$ ㄹ.$f(x)=-\\frac{x}{4}+2$", "answer": "ㄱ. $f(5)$$=5-7$$=-2$ ㄴ. $f(5)$$=-5+1$$=-4$ ㄷ. $f(5)$$=\\frac{2}{5}-2$$=-\\frac{8}{5}$ ㄹ. $f(5)$$=-\\frac{5}{4}+2$$=\\frac{3}{4}$ $-4$$<$$-2$$<$$-\\frac{8}{5}$$<$$\\frac{3}{4}$이므로 $f(5)$의 값이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ㄴ, ㄱ, ㄷ, ㄹ이다." }, { "question": "집에서 $4 km$ 떨어진 수영장에 가는 데 한주가 먼저 출발하고 $10$ 분 후에 경민이가 출발하였다. 다음 그림은 한주가 출발한 지 $x$ 분 후에 한주와 경민이의 집으로부터의 거리를 $y km$라 할 때, $x$와 $y$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각각 나타낸 것이다. 한주가 출발한 지 몇 분 후에 한주와 경민이가 만나는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한주가 간 거리를 나타낸 그래프의 식은 $y=\\frac{1}{10}x$ 경민이가 간 거리를 나타낸 그래프의 식은 $y=\\frac{1}{5}x-2$ 한주가 출발한 후 경민이와 만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두 그래프의 교점의 $x$좌표와 같다. 이때 연립방정식 를 풀면 $y=\\frac{1}{10}$ $y=\\frac{1}{5}x-2$를 풀면 $x=20$, $y=2$ 따라서 한주가 출발한 지 $20$ 분 후에 만난다." }, { "question": "보기에서 오른쪽 그림의 일차함수의 그래프와 평행한 직선이 $a$개, 일치하는 직선이 $b$개일 때, $3a+b$의 값을 구하여라. 보기 ㄱ. 두 점 $(0, -2)$, $(2, 1)$을 지나는 직선 ㄴ. 기울기가 $\\frac{3}{2}$이고 점 $(0, 3)$을 지나는 직선 ㄷ. $x$절편이 $3$, $y$절편이 $-2$인 직선 ㄹ. 일차함수 $y=-\\frac{2}{3}x+3$의 그래프", "answer": "주어진 그래프는 두 점 $(-2, 0)$, $(0, 3)$을 지나므로 기울기는 $\\frac{3-0}{0-(-2)}=\\frac{3}{2}$이고, $y$절편은 $3$이다. ㄱ. $(기울기)$$=\\frac{1-(-2)}{2-0}$$=\\frac{3}{2}$, $(y절편)$$=-2$ ㄴ. $(기울기)$$=\\frac{3}{2}$, $(y절편)$$=3$ 두 점 $(3, 0)$, $(0, -2)$를 지나므로 $(기울기)$$=\\frac{-2-0}{0-3}$$=\\frac{2}{3}$, $(y절편)$$=-2$ ㄹ. $(기울기)$$=-\\frac{2}{3}$, $(y절편)$$=3$ 주어진 그래프와 평행한 직선은 ㄱ으로 $1$ 개이고, 일치하는 직선은 ㄴ으로 $1 개$이다. $a$$=1$, $b$$=1$이므로 $3a+b=3\\times1+1=4$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ax+b$의 그래프를 그리는데 승현이는 $a$를 잘못 보고 그려서 $y$절편이 $4$인 직선이 되었고, 수정이는 $b$를 잘못 보고 그려서 두 점 $(-1, 0)$, $(-2, 5)$를 지나는 직선이 되었다. 바르게 그려진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$x$절편을 구하여라. (단, $a$, $b$는 수)", "answer": "일차함수 $y=ax+b$의 그래프의 기울기는 $a$이고 $y$절편은 $b$이다. 승현이는 $b$를 바르게 보았으므로 $b=4$ 두 점 $(-1, 0)$, $(-2, 5)$를 지나는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기울기는 $\\frac{5-0}{(-2)-(-1)}=-5$이고 수정이는 $a$를 바르게 보았으므로 $a=-5$ 일차함수의 식은 $y=-5x+4$이므로 이 식에 $y=0$을 대입하면 $0=-5x+4$ $\\therefore$ $x=\\frac{4}{5}$ 따라서 바르게 그려진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$x$절편은 $\\frac{4}{5}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triangle ABC$는 $\\overline{AB}$$=\\overline{AC}$인 이등변삼각형이다. $\\angle A=42\\degree$일 때, $\\angle C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이등변삼각형의 두 밑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$\\angle C$$=\\angle B$ $∴ \\angle C$$=\\frac{1}{2}\\times(180\\degree-42\\degree)$$=69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\\text{A}\\text{B}\\text{C}\\text{D}$의 두 대각선의 교점 O를 지나는 직선이 $\\overline{\\text{A}\\text{B}}$, $\\overline{\\text{C}\\text{D}}$와 만나는 점을 각각 P, Q라 하자. $\\angle\\text{A}\\text{P}\\text{O}=90\\degree$일 때, $\\triangle\\text{C}\\text{Q}\\text{O}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PO$와 $\\triangle CQO$에서 $\\overline{OA}=\\overline{OC}$ $\\angle OAP=\\angle OCQ$ (엇각) $\\angle AOP=\\angle COQ$ (맞꼭지각)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,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$\\triangle APO\\equiv\\triangle CQO$ $\\overline{OQ}=\\overline{OP}=10 cm$이고 $\\overline{CQ}$$=\\overline{CD}-\\overline{DQ}$$=26-16$$=10 (cm)$이므로 $\\triangle CQO$$=\\frac{1}{2}\\times10\\times10$$=50 (cm^2)$" }, { "question": "함수 $f(x)=-2x+1$에 대하여 $f(3)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f(x)=-2x+1$에 $x=3$을 대입하면 $f(3)$$=(-2)\\times3+1$$=-5$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ax+b$의 그래프는 일차함수 $y=4x-3$의 그래프와 $y$축 위에서 만나고, 일차함수 $y=2x+6$의 그래프와 $x$축 위에서 만난다.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. (단, $a$, $b$는 수) (1) $a$와 $b$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. (2) 일차함수 $y=abx+a$의 기울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 $y=4x-3$의 그래프의 $y$절편이 $-3$이므로 $y=ax+b$의 그래프의 $y$절편도 $-3$이다. $∴$ $b=-3$ $y=2x+6$의 그래프의 $x$절편이 $-3$이므로 $y=ax-3$의 그래프의 $x$절편도 $-3$이다. $0=-3a-3$ $3a=-3$ $∴$ $a=-1$ (2) $y=abx+a$의 그래프의 기울기는 $ab$이다. $a=-1$, $b=-3$이므로 기울기는 $3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angle{C}=90\\degree$인 직각삼각형 $ABC$에서 $\\overline{B}{C}=\\overline {BE}$이고 $\\angle BED=90\\degree$이다. $\\overline{CD}=5 cm$, $\\angle A=44\\degree$일 때, $x-y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BCD$와 $\\triangle BED$에서 $\\angle BCD$$=\\angle BED$$=90\\degree$ $\\overline{BD}$는 공통 $\\overline{BC}$$=\\overline{BE}$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다른 한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$\\triangle BCD\\equiv\\triangle BED$ $\\angle DBE=\\angle DBC=x\\degree$이므로 $\\triangle ABC$에서 $44+x+x+90=180$ $\\therefore$ $x=23$ $\\overline{DE}=\\overline{DC}=5 cm$ $\\therefore$ $y=5$ $\\therefore$ $x-y$$=23-5$$=18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triangle ABC$는 $\\overline{AB}$$=\\overline{AC}$인 이등변삼각형이고 $\\overline{AH}$는 $\\angle A$의 이등분선이다. $\\angle C=72\\degree$일 때, $\\angle CAH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하므로 $\\angle AHC$$=90\\degree$ $\\triangle AHC$에서 $\\angle CAH$$=180\\degree-72\\degree-90\\degree$$=18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은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각각 같은 두 직각삼각형은 서로 합동임을 설명하는 과정이다. $□$ 안에 알맞은 것을 써넣어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와 $\\triangle DEF$에서 $\\overline{AC}=\\overline{DF}$ $······ ㉠$ $\\angle C=\\angle F$ ·$····· ㉡$ 또, $\\angle B=\\angle E$, $\\angle C=\\angle F$이므로 $\\angle A=\\angle D$ $······ ㉢$ $㉠,$$ ㉡,$ $㉢$에 의하여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,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$\\triangle ABC\\equiv\\triangle DEF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 $ABCD$의 꼭짓점 $C$를 지나는 직선과 $\\overline{AB}$의 교점을 $E$라 하고, 두 점 $B$, $D$에서 $\\overline{CE}$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$F$, $G$라 하자. $\\overline{BF}=3 cm$, $\\overline{DG}=7 cm$일 때, $\\triangle DFG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BCF$와 $\\triangle CDG$에서 $\\angle BFC=\\angle CGD=90\\degree$ $\\overline{BC}=\\overline{CD}$ $\\angle BCF=90\\degree-\\angle DCG=\\angle CDG$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$\\triangle BCF\\equiv\\triangle CDG$ $\\overline{CF}=\\overline{DG}=7 cm$, $\\overline{CG}=\\overline{BF}=3 cm$이므로 $\\overline{FG}$$=\\overline{CF}-\\overline{CG}$$=7-3$$=4 (cm)$ $\\triangle DFG$$=\\frac{1}{2}\\times4\\times7$$=14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B}=\\overline{AC}$인 이등변삼각형 $ABC$에서 $\\angle A$의 이등분선과 $\\overline{BC}$의 교점을 $D$라 하자. $\\overline{CD}=13 cm$, $\\angle B=51\\degree$일 때, $y-x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BD}$$=\\overline{CD}$이므로 $\\overline{BC}$$=2\\overline{CD}$$=2\\times13$$=26 (cm)$ $ \\therefore x=26$ $\\triangle ADC$에서 $\\angle ADC$$=90\\degree$, $\\angle C$$=\\angle B$$=51\\degree$이므로 $\\angle CAD$$=180\\degree-51\\degree-90\\degree$$=39\\degree$ $ \\therefore y=39$ $ \\therefore y-x$$=39-26$$=13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$I$가 $\\triangle ABC$의 내심일 때, $\\angle ACI$의 크기를 구하여라. ", "answer": "$40\\degree+\\angle ACI+31\\degree=90\\degree$ $∴$ $\\angle ACI=19\\degree$" }, { "question": "길이가 $8cm$인 용수철 저울이 있다. 이 저울에 물건을 달면 $5g$마다 $0.5cm$씩 늘어난다. $xg$의 물건을 달 때, 용수철의 길이를 $ycm$라 한다. 이때 $x$, $y$ 사이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어라.", "answer": "$5 g$마다 $0.5 cm$씩 늘어나는 용수철 저울은 $1 g$마다 $0.1 cm$씩 늘어나므로 $x g$의 물건을 달면 $0.1x cm$만큼 늘어난다. 처음 길이가 $8 cm$이므로 $x g$의 물건을 달았을 때 용수철의 길이는 $(8+0.1x) cm$ $ \\therefore y=0.1x+8$" }, { "question": "$y$절편이 $x$절편의 $3$ 배이고, 두 점 $(a-1,2a+2)$, $(2a+1,-3a)$를 지나는 직선을 그래프로 하는 일차함수의 식을 구하여라. (단, 이 직선은 원점을 지나지 않는다.)", "answer": "주어진 그래프의 $x$절편을 $k(k\\ne0)$라 하면 $y$절편은 $3k$이다. 즉, 두 점 $(k, 0)$, $(0, 3k)$를 지나므로 $(기울기)=\\frac{3k-0}{0-k}$$=-3$ 기울기가 $-3$, $y$절편이 $3k$이므로 $y=-3x+3k$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$(a-1, 2a+2)$를 지나므로 $2a+2=-3(a-1)+3k$ $\\therefore$ $ 5a-3k=1 ······ ㉠$ 또, 점 $(2a+1, -3a)$를 지나므로 $-3a=-3(2a+1)+3k$ $\\therefore$ $ a-k=-1 ······ ㉡$ $㉠$, $㉡$을 연립하여 풀면 $a=2$, $k=3$ 따라서 구하는 일차함수의 식은 $y=-3x+9$이다." }, { "question": "일차함수 $y=ax-4$의 그래프가 $x$축, $y$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A, B라 할 때, $\\overline{OA}=\\frac{7}{4}\\overline{OB}$를 만족시킨다. 이때 양수 $a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O는 원점)", "answer": "$a$는 양수이므로 $y=ax-4$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. 이때 $\\overline{OB}$$=4$이므로 $\\overline{OA}=\\frac{7}{4}\\overline{OB}$$=7$ $∴$ $A(7, 0)$ $y=ax-4$의 그래프는 두 점 $A(7, 0)$, $B(0, -4)$를 지나므로 $a$$=(기울기)$$=\\frac{-4-0}{0-7}$$=\\frac{4}{7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두 점 $A(2, 2)$, $B(3, 5)$가 있다. 일차함수 $y=ax+4$의 그래프가 선분 $AB$와 만나도록 하는 수 $a$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(ⅰ)$y=ax+4$의 그래프가 점 $A$를 지날 때 $2=a\\times2+4$ $∴ a=-1$ (ⅱ)$y=ax+4$의 그래프가 점 $B$를 지날 때 $5=a\\times3+4$ $∴ a=\\frac{1}{3}$ 따라서 (ⅰ), (ⅱ)에 의해 $-1\\le a\\le\\frac{1}{3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두 점$ O, I$는 각각 $\\triangle ABC$의 외심과 내심이다. $\\angle AOC=76\\degree$일 때, $\\angle AIC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점 $O$가 $\\triangle ABC$의 외심이므로 $\\angle ABC$$=\\frac{1}{2}\\angle AOC$$=\\frac{1}{2}\\times76\\degree$$=38\\degree$ 점 $I$가 $\\triangle ABC$의 내심이므로 $\\angle AIC$$=90\\degree+\\frac{1}{2}\\angle ABC$$=90\\degree+\\frac{1}{2}\\times38\\degree$$=109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O는 $\\triangle ABC$의 외심이고, 점 O에서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AC}$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, E라 하자. $\\overline{DO}$$=\\overline{EO}$이고 $\\angle A=56\\degree$일 때, $\\angle C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OA}$, $\\overline{OB}$, $\\overline{OC}$를 그으면 $\\triangle ADO$와 $\\triangle AEO$에서 $\\angle ADO$$=\\angle AEO$$=90\\degree$, $\\overline{OA}$는 공통, $\\overline{DO}$$=\\overline{EO}$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다른 한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$\\triangle ADO\\equiv\\triangle AEO$ $\\angle EAO$$=\\frac{1}{2}\\times56\\degree$$=28\\degree$ $\\triangle AOC$에서 $\\overline{OA}$$=\\overline{OC}$이므로 $\\angle ACO$$=\\angle CAO$$=28\\degree$ $\\angle BAO+\\angle BCO+\\angle CAO=90\\degree$이고 $\\angle BAO+\\angle CAO=56\\degree$이므로 $\\angle BCO+56\\degree=90\\degree$ $\\angle BCO=34\\degree$ $∴ \\angle C$$=\\angle ACO+\\angle BCO$$=28\\degree+34\\degree$$=62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O$는 $\\overline{AC}$의 중점이고 $\\square ABCD$, $\\square ABFO$는 모두 평행사변형이다. $\\overline{AD}=20cm$, $\\overline{CD}=16cm$일 때, $\\overline{BE}+\\overline{EF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CO} // \\overline{BF}$, $\\overline{CO}=\\overline{AO}=\\overline{BF}$이므로 $\\square BFCO$는 평행사변형이다. $\\overline{BE}$$=\\frac{1}{2}\\overline{BC}$$=\\frac{1}{2}\\overline{AD}$$=\\frac{1}{2}\\times20$$=10 (cm)$ $\\overline{EF}$$=\\frac{1}{2}\\overline{FO}$$=\\frac{1}{2}\\overline{AB}$$=\\frac{1}{2}\\overline{CD}$$=\\frac{1}{2}\\times16$$=8 (cm)$ $∴ \\overline{BE}+\\overline{EF}$$=10+8$$=18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angle C=90\\degree$인 직각삼각형 $ABC$에서 $\\angle A$의 이등분선이 $\\overline{BC}$와 만나는 점을 $D$라 하자. $\\overline{AB}=20 cm$, $\\overline{BC}=16 cm$, $\\overline{AC}=12 cm$일 때, $\\overline{BD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다음 그림과 같이 점 $D$에서 $\\overline{AB}$에 내린 수선의 발을 $E$라 하면 $\\triangle AED$와 $\\triangle ACD$에서 $\\angle AED$$=\\angle ACD$$=90\\degree$, $\\overline{AD}$는 공통, $\\angle DAE$$=\\angle DAC$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$\\triangle AED\\equiv\\triangle ACD$ 따라서 $\\overline{CD}=\\overline{ED}=x cm$라 하면 $\\triangle ABD$$=\\frac{1}{2}\\times20\\times x$$=\\frac{1}{2}\\times(16-x)\\times12$ $10x=96-6x$ $10x+6x=96$ $16x=96$ $∴ x=6$ $∴ \\overline{BD}$$=\\overline{BC}-\\overline{CD}$$=16-6$$=10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두 직각삼각형에서 $\\angle D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와 $\\triangle DFE$에서 $\\angle C$$=\\angle E$$=90\\degree$ $\\overline{AB}$$=\\overline{DF}$ $\\overline{BC}$$=\\overline{FE}$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다른 한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$\\triangle ABC\\equiv\\triangle DFE$ $∴$ $\\angle D$$=\\angle A$$=180\\degree-59\\degree-90\\degree$$=31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B}$$=\\overline{AD}$, $\\overline{BC}$$=\\overline{CD}$인 사각형 $ABCD$에서 두 대각선의 교점이 E일 때, $\\overline{BE}$의 길이를 구하여라. 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와 $\\triangle ADC$에서 $\\overline{AB}=\\overline{AD}$, $\\overline{BC}=\\overline{DC}$, $\\overline{AC}$는 공통이므로 $\\triangle ABC\\equiv\\triangle ADC$ (SSS 합동) $∴ \\angle BAC$$=\\angle DAC$ $\\overline{AC}$가 이등변삼각형 $ABD$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이므로 $\\overline{BE}$$=\\frac{1}{2}\\overline{BD}$$=\\frac{1}{2}\\times24$$=12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square ABCD$가 평행사변형이 되도록 하는 $x$, $y$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. ", "answer": "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아야 한다. $3x+5=10-2x$이므로 $x=1$ $3y-4=4x+7$이므로 $y=5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angle C=90\\degree$인 직각삼각형 $ABC$에서 $\\overline{DA}$$=\\overline{DC}$이고 $\\angle B=30\\degree$, $\\overline{AC}=7 cm$일 때, $\\overline{AB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BAC$$=180\\degree-30\\degree-90\\degree$$=60\\degree$ $\\triangle ADC$에서 $\\overline{DA}$$=\\overline{DC}$이므로 $\\angle ACD$$=\\angle CAD$$=60\\degree$ $\\angle ADC=60\\degree$이므로 $\\triangle ADC$는 정삼각형이다. $∴ \\overline{AD}=\\overline{CD}=\\overline{AC}$$=7 cm$ $\\triangle BCD$에서 $60\\degree=30\\degree+\\angle BCD$ $∴ \\angle BCD=30\\degree$ $\\angle CBD$$=\\angle BCD$이므로 $\\overline{BD}=\\overline{CD}$$=7 cm$ $∴ \\overline{AB}$$=\\overline{AD}+\\overline{BD}$$=7+7$$=14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I$는 $\\triangle ABC$의 내심이다. $\\angle CBI$$=29\\degree$, $\\angle ACI$$=28\\degree$일 때, $\\angle x-\\angle y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x+29\\degree+28\\degree=90\\degree$이므로 $\\angle x=33\\degree$ $\\angle BCI$$=\\angle ACI$$=28\\degree$이므로 $\\angle y=28\\degree$ $∴$ $\\angle x-\\angle y$$=33\\degree-28\\degree$$=5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I$는 $\\triangle{ABC}$의 내심이다. $\\angle{ACI}=50\\degree$, $\\angle{BIC}=112\\degree$일 때, $\\angle{ABI}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점 $I$가 내심이므로 $\\angle CBI=\\angle ABI$, $\\angle BCI=\\angle ACI=50\\degree$ $\\triangle BCI$에서 $\\angle CBI$$=180\\degree-50\\degree-112\\degree$$=18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x$, $y$, $z$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.", "answer": "평행사변형의 두 쌍의 대변의 길이는 각각 같으므로 $\\overline{AD}$$=\\overline{BC}$$=16 cm$ $∴$ $x$$=16$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를 이등분하므로 $\\overline{OB}=\\frac{1}{2}\\overline{BD}$$=\\frac{1}{2}\\times26$$=13 (cm)$ $∴$ $y=13$ 평행사변형의 두 쌍의 대각의 크기는 각각 같으므로 $\\angle BCD$$=\\angle BAD$$=110\\degree$ $∴$ $z=110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$ABC$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$x$,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$y$라 할 때, $xy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에 위치하므로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$\\frac{1}{2}\\overline{AB}$$=\\frac{1}{2}\\times26$$=13$ $∴ x=13$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$y$이므로 삼각형의 넓이는 $\\triangle ABC$$=\\frac{1}{2}\\times y\\times(26+24+10)$$=30y$ $\\triangle ABC$$=\\frac{1}{2}\\times24\\times10$$=120$이므로 $30y=120$ $∴ y=4$ $∴ xy$$=13\\times4$$=52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I$는 $\\triangle ABC$의 내심이고, 점 $I'$은 $\\triangle BCI$의 내심이다. $\\angle A=76\\degree$일 때, $\\angle BI'C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점 $I$가 $\\triangle ABC$의 내심이므로 $\\angle BIC$$=90\\degree+\\frac{1}{2}\\angle BAC$$=90\\degree+\\frac{1}{2}\\times76\\degree$$=128\\degree$ 점 $I'$이 $\\triangle BCI$의 내심이므로 $\\angle BI'C$$=90\\degree+\\frac{1}{2}\\angle BIC$$=90\\degree+\\frac{1}{2}\\times128\\degree$$=154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$I$는 $\\triangle ABC$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다. $\\angle BAC : \\angle ABC : \\angle ACB=2 : 3 : 4$일 때, $\\angle BIC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BAC=\\frac{2}{9}\\times180\\degree=40\\degree$이므로 $\\angle BIC$$=90\\degree+\\frac{1}{2}\\angle BAC$$=90\\degree+\\frac{1}{2}\\times40\\degree$$=110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$ABC$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$a cm$,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$b cm$라 할 때, $2a+b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에 위치하므로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$\\frac{1}{2}\\overline{BC}$$=\\frac{1}{2}\\times13$$=\\frac{13}{2} (cm)$ $∴ a=\\frac{13}{2}$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$b cm$이므로 삼각형의 넓이는 $\\triangle ABC$$=\\frac{1}{2}\\times b\\times(5+13+12)$$=15b (cm^2)$ $\\triangle ABC$$=\\frac{1}{2}\\times12\\times5$$=30 (cm^2)$이므로 $15b=30$ $∴ b=2$ $∴ 2a+b$$=2\\times\\frac{13}{2}+2$$=15$" }, { "question": "원 $O$와 원 $O'$의 닮음비가 $3 : 2$이고 원 $O'$의 반지름의 길이가 $4 cm$일 때, 원 $O$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원 $O$의 반지름의 길이를 $r cm$라 하면 $r : 4=3 : 2$ $∴ r=6$ 원 $O$의 반지름의 길이가 $6 cm$이므로 $(원 O의 둘레의 길이)$$=2\\pi\\times6$$=12\\pi (cm)$" }, { "question": "오른쪽 그림에서 두 점 O, I는 각각 $\\overline{AB} = \\overline{AC}$인 이등변삼각형 $ABC$의 외심과 내심이다. $\\angle A=40\\degree$, $\\angle IBO$의 크기를 구하려고 한다. (1) $\\angle CBO$의 크기를 구하여라. (2) $\\angle CBI$의 크기를 구하여라. (3) $\\angle IBO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 점 $O$가 $\\triangle ABC$의 외심이므로 $\\angle BOC$$=2\\angle A$$=2\\times40\\degree$$=80\\degree$ $\\overline{OB}=\\overline{OC}$이므로 $\\triangle BCO$는 이등변삼각형이다. 즉, $\\angle CBO=\\angle BCO$이므로 $\\angle CBO=\\frac{1}{2}\\times(180\\degree-80\\degree)=50\\degree$ (2) $\\triangle ABC$가 $\\overline{AB}=\\overline{AC}$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$\\angle ABC=\\frac{1}{2}\\times(180\\degree-40\\degree)=70\\degree$ 점 $I$가 $\\triangle ABC$의 내심이므로 $\\angle CBI=\\frac{1}{2}\\angle ABC=\\frac{1}{2}\\times70\\degree=35\\degree$ (3) $\\angle IBO=\\angle CBO-\\angle CBI=50\\degree-35\\degree=15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x$, $y$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.", "answer": "평행사변형에서 두 쌍의 대변의 길이는 각각 같다. $\\overline{AB}$$=\\overline{CD}$이므로 $3x-4=8$ $∴$ $x=4$ $\\overline{AD}$$=\\overline{BC}$이므로 $12-5y=7$ $∴$ $y=1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angle B$의 이등분선과 $\\overline{AD}$의 교점을 $E$, $\\overline{CD}$의 연장선과의 교점을 $F$라 하자. $\\overline{AB}=9 cm$, $\\overline{BC}=13 cm$일 때, $\\overline{DF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AB}$$ // $$\\overline{CF}$이므로 $\\angle BFC$$=\\angle ABF$ (엇각)이고 $\\angle ABF$$=\\angle CBF$이므로 $\\angle BFC$$=\\angle CBF$ $\\triangle BCF$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$\\overline{CF}=\\overline{CB}$$=13 cm$ $\\overline{DF}$$=\\overline{CF}-\\overline{CD}$$=13-9$$=4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O$가 $\\triangle ABC$의 외심일 때, $\\angle AOC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AOC$$=2\\angle ABC$$=2\\times72\\degree$$=144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O라 하면 $\\overline{OA}=7$, $\\overline{OB}=5$이다. $\\angle CBD$의 이등분선과 $\\overline{AD}$의 연장선의 교점을 $E$라 할 때, $\\overline{DE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BED$$=\\angle CBE$ (엇각)이고 $\\angle CBE$$=\\angle DBE$이므로 $\\angle DBE$$=\\angle BED$ $\\triangle BED$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$\\overline{DE}$$=\\overline{BD}$$=2\\overline{OB}$$=2\\times5$$=10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angle ADE=\\angle CDE$, $\\angle BED=130\\degree$일 때, $\\angle x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AD}$$ // $$\\overline{BC}$이므로 $\\angle ADE$$=\\angle CED$$=180\\degree-130\\degree$$=50\\degree$ (엇각) $\\angle A+\\angle ADC=180\\degree$이므로 $\\angle x+(50\\degree+50\\degree)=180\\degree$ $∴$ $\\angle x=80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마름모 $ABCD$에서 $\\overline{BP}:\\overline{PC}=2:7$이고, $\\overline{AC}=12cm$, $\\overline{BD}=18cm$일 때, $\\triangle{APC}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square ABCD$는 마름모이므로 $\\angle AOB=90\\degree$ $\\overline{OB}$$=\\frac{1}{2}\\overline{BD}$$=\\frac{1}{2}\\times18$$=9 (cm)$ $∴ \\triangle ABC=\\frac{1}{2}\\times12\\times9=54 (cm^2)$ $\\triangle ABP : \\triangle APC=\\overline{BP} : \\overline{PC}$$=2 : 7$ $∴ \\triangle APC$$=\\frac{7}{9}\\triangle ABC$$=\\frac{7}{9}\\times54$$=42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중심이 일치하는 세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비가 $2 : 3 : 4$이고 가장 작은 원의 넓이가 $16\\pi$일 때,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세 원의 넓이의 비는 $2^2 : 3^2 : 4^2$$=4 : 9 : 16$ 가장 작은 원의 넓이와 색칠한 부분의 넓이의 비는 $4 : (9-4)$$=4 : 5$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$x$라 하면 $16\\pi : x=4 : 5$ $∴$ $x=20\\pi$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$20\\pi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overline{AB} // \\overline{CD}$이고 $\\overline{AE} : \\overline{EF}=5 : 3$이다. $\\triangle CFE$의 넓이가 $30$일 때, $\\square BCED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CE$와 $\\triangle CFE$에서 밑변의 길이의 비는 $\\overline{AE} : \\overline{EF}=5 : 3$이고 높이는 같으므로 $\\triangle ACE : \\triangle CFE=5 : 3$ $\\triangle ACE : 30=5 : 3$ $∴$ $\\triangle ACE$$=50$ $\\overline{AB} // \\overline{CD}$이므로 $\\triangle BCD$$=\\triangle ACD$ $∴$ $\\square$$BCED$ $=$ $\\triangle BCD$ $+$ $\\triangle$ $CED$$=$ $\\triangle$ $ACD$ $+$ $\\triangle$ $CED$ $=$$\\triangle ACE$$=$$50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원뿔 모양의 그릇에 물을 부어서 그릇의 높이의 $\\frac{1}{4}$만큼 채웠을 때, 수면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물이 채워진 부분과 그릇은 닮은 도형이고 그릇의 높이의 $\\frac{1}{4}$만큼 물을 채웠으므로 닮음비는 $1 : 4$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$r cm$라 하면 $r : 28=1 : 4$ $∴ r=7$ 수면의 넓이는 $\\pi\\times7^2$$=49\\pi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I$가 $\\triangle ABC$의 내심이고 세 점 $D$, $E$, $F$가 접점일 때, $x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AD}=\\overline{AF}$$=12 cm$이므로 $\\overline{BD}$$=\\overline{AB}-\\overline{AD}$$=21-12$$=9 (cm)$ $\\overline{BE}=\\overline{BD}$$=9 cm$ $∴ x$$=9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평행사변형 $ABCD$의 내부의 한 점 $P$에 대하여 $\\overline{AP}$의 연장선과 $\\overline{BC}$의 교점을 $Q$라 하자. $\\triangle DPQ=4\\triangle APD$, $\\triangle BCP=28 cm^2$일 때, $\\square ABCD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PD=x cm^2$라 하면 $\\triangle DPQ=4x cm^2$이므로 $\\triangle AQD=\\triangle APD+\\triangle DPQ =$$x+4x$$=$$5x (cm^2)$ $\\square ABCD=2\\triangle AQD =$$2\\times5x$$=$$10x (cm^2)$ $\\triangle APD+\\triangle BCP$$=\\frac{1}{2}\\square ABCD$이므로 $x+28=\\frac{1}{2}\\times10x$ $x+28=5x$ $-4x=-28$ $∴ $$x=7$ $∴$ $\\square ABCD$$=10x$$=10\\times7$$=70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square ABCD$의 꼭짓점 $D$를 지나고 $\\overline{AC}$에 평행한 직선이 $\\overline{BC}$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을 $E$, $\\overline{AE}$와 $\\overline{CD}$가 만나는 점을 $F$라 하자. $\\triangle ABC$의 넓이가 $32$ $cm^2$이고, $\\triangle ACE$의 넓이가 $28$ $cm^2$일 때, $\\square ABCD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□ABCD=△ABC+△ACD$ $=$$△ABC+△ACE$ $=$$32+28$ $=$$60$$ (cm$$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I$가 $\\triangle ABC$의 내심일 때, 점$ I$를 지나고 $\\overline{BC}$에 평행한 직선이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AC}$와 만나는 점을 각각 $D$, $E$라 하자. $\\triangle ADE$의 둘레의 길이가 $33 cm$이고, $\\overline{BC}=12 cm$일 때, $\\triangle ABC$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BI}$, $\\overline{CI}$를 그으면 점 $I$는 $\\triangle ABC$의 내심이므로 $\\angle ABI=\\angle CBI, \\angle ACI=\\angle BCI$ $\\overline{BC}$$ // $$\\overline{DE}$이므로 $\\angle CBI=\\angle BID, \\angle BCI=\\angle CIE (엇각)$ $∴$ $\\angle ABI=\\angle BID$, $\\angle ACI=\\angle CIE$ 즉, $\\triangle BID$와 $\\triangle CEI$는 모두 이등변삼각형이므로 $\\overline{DB}=\\overline{DI}, \\overline{EC}=\\overline{EI}$ $∴$ $(\\triangle ABC의 둘레의 길이)=(\\triangle ADE의 둘레의 길이)+\\overline{BC}$ $=$$33+12$$=$$45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angle A$와 $\\angle B$의 크기의 비가 $4 : 5$일 때, $\\angle D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A+\\angle B=180\\degree$이므로 $\\angle B=180\\degree\\times\\frac{5}{4+5}=100\\degree$ $∴$ $\\angle D$$=\\angle B$$=100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$\\square ABCD$는 마름모이다. $\\angle ADB=27\\degree$일 때, $\\angle x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AD}$$ // $$\\overline{BC}$이므로 $\\angle CBD=\\angle ADB=27\\degree$ (엇각) $\\triangle BCD$에서 $\\overline{CB}$$=\\overline{CD}$이므로 $\\angle x=180\\degree-27\\degree\\times2=126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overline{AB}=\\overline{BE}$, $\\overline{BC}=\\overline{BF}$가 되도록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BC}$의 연장선 위에 각각 점 $E$, $F$를 잡는다. $\\square AFEC$의 넓이가 $48 cm^2$일 때, $\\triangle{ABO}$의 넓이를 구하려고 한다. (1) $\\triangle{ABC}$의 넓이를 구하여라. (2) $\\triangle{ABO}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$\\square AFEC$는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로 평행사변형이다. $∴ \\triangle ABC=\\frac{1}{4}\\square AFEC=\\frac{1}{4}\\times48=12 (cm^2)$ (2)$\\square ABCD$가 평행사변형이므로 $\\overline{OA}=\\overline{OC}$ $∴ \\triangle ABO=\\frac{1}{2}\\triangle ABC=\\frac{1}{2}\\times12=6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$\\triangle{A}{B}{C}$에서 $\\angle{A}$의 외각의 이등분선과 $\\angle{C}$의 외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을 $P$라 하고, 점 $P$에서 $\\overline{{A}{B}}$와 $\\overline{{B}{C}}$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$D, E$라 하자. $\\overline{{A}{C}}=12{ }{cm}$, $\\overline{{D}{P}}=8{ }{cm}$일 때, $\\triangle{A}{P}{D}$와 $\\triangle{C}{E}{P}$의 넓이의 합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점 $P$에서 $\\overline{AC}$에 내린 수선의 발을 $F$라 하면 $\\triangle APD$와 $\\triangle APF$에서 $\\angle ADP$$=\\angle AFP$$=90\\degree$, $\\overline{AP}$는 공통, $\\angle DAP$$=\\angle FAP$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$\\triangle APD\\equiv\\triangle APF$ 한편 $\\triangle CEP$와 $\\triangle CFP$에서 $\\angle CEP$$=\\angle CFP$$=90\\degree$, $\\overline{CP}$는 공통, $\\angle ECP$$=\\angle FCP$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$\\triangle CEP\\equiv\\triangle CFP$ $∴$ $\\triangle APD+\\triangle CEP$$=\\triangle APE+\\triangle CFP=\\triangle ACP =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A}\\overline{C}\\times\\overline{FP}$$= 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A}\\overline{C}\\times\\overline{DP}$ $=$$\\frac{1}{2}\\times12\\times8$$=$$48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overline{AE}//\\overline{BC}$, $\\overline{AB}//\\overline{DE}$일 때, $\\overline{BC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DE$와 $\\triangle CAB$에서 $\\angle DAE=\\angle ACB$ (엇각), $\\angle ADE=\\angle CAB$ (엇각) 이므로 $\\triangle ADE\\backsim\\triangle CAB$ ($AA$ 닮음) $\\overline{AD} : \\overline{CA}=\\overline{AE} : \\overline{CB}$ $(9+6) : 9=10 : \\overline{BC}$ $15\\overline{BC}=90$ $∴ \\overline{BC}$$=6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overline{AC} // \\overline{DE}$이고 $\\square ABCD$$=60 cm^2$, $\\triangle ABC$$=40 cm^2$일 때, $\\triangle ACE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E=\\triangle ABC+\\triangle ABE$ $=\\triangle ABC+\\triangle ACD$ $=\\square ABCD$ $\\triangle ACE=\\triangle ABE-\\triangle ABC$ $=\\square ABCD-\\triangle ABC$ $=60-40$ $=20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angle y-\\angle x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AD}$$ // $$\\overline{BC}$이므로 $\\angle CAD$$=\\angle ACB$ (엇각) $∴$ $\\angle x=44\\degree$ $\\triangle AOD$에서 $94\\degree=\\angle x+\\angle y$ $94\\degree=44\\degree+\\angle y$ $∴$ $\\angle y=50\\degree$ $∴$ $\\angle y-\\angle x$$=50\\degree-44\\degree$$=6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angle BAE$$=\\angle DAE$, $\\angle AEC=116\\degree$일 때, $\\angle x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AD}$$ // $$\\overline{BC}$이므로 $\\angle DAE$$=\\angle AEB$$=180\\degree-116\\degree$$=64\\degree$ (엇각) $\\angle BAD+\\angle D=180\\degree$이므로 $(64\\degree+64\\degree)+\\angle x=180\\degree$ $∴ \\angle x=52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overline{OA}=11 cm$, $\\overline{OD}=9 cm$일 때, $x, $$y$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.", "answer": "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를 이등분한다. $\\overline{OB}=\\overline{OD}$이므로 $\\overline{BD}=2\\overline{OD}$$=2\\times9$$=18 (cm)$ $∴ x=18$ $\\overline{OC}=\\overline{OA}$$=11 cm$이므로 $y=11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triangleABC$는 $\\angleA=90\\degree$인 직각삼각형이다. 점 M은 $\\overline{BC}$의 중점이고, 점 D는 점 A에서 $\\overline{BC}$에 내린 수선의 발, 점 E는 점 D에서 $\\overline{AM}$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. $\\overline{AB}=4 cm$, $\\overline{AC}=3 cm$, $\\overline{BC}=5 cm$, $\\overline{CD}=\\frac{9}{5} cm$일 때, $\\overline{DE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점 $M$은 직각삼각형 $ABC$의 빗변의 중점에 위치하므로 직각삼각형 $ABC$의 외심이다. $\\overline{MA}$$=\\overline{MB}$$=\\overline{MC}$$=\\frac{1}{2}\\overline{BC}$$=\\frac{1}{2}\\times5$$=\\frac{5}{2} (cm)$ $∴$ $\\overline{DM}$$=\\overline{CM}-\\overline{CD}$$=\\frac{5}{2}-\\frac{9}{5}$$=\\frac{7}{10} (cm)$ $\\triangle ABC$$=$$\\frac{1}{2}\\times4\\times3$$=\\frac{1}{2}\\times5\\times\\overline{AD}$ $∴$ $\\overline{AD}$$=\\frac{12}{5} (cm)$ $\\triangle AMD$$=$$\\frac{1}{2}\\times\\frac{7}{10}\\times\\frac{12}{5}$$=\\frac{1}{2}\\times\\frac{5}{2}\\times\\overline{DE}$ $∴$ $\\overline{DE}$$=\\frac{84}{125}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I$가 $\\triangle ABC$의 내심일 때, 점 $I$를 지나고 $\\overline{BC}$에 평행한 직선이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AC}$와 만나는 점을 각각 $D$, $E$라 하자. $\\triangle ADE$의 둘레의 길이가 $38 cm$이고, $\\overline{BC}=21 cm$일 때, $\\triangle ABC$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BI}$, $\\overline{CI}$를 그으면 점 I는 $\\triangle ABC$의 내심이므로 $\\angle ABI=\\angle CBI, \\angle ACI=\\angle BCI$ $\\overline{BC} // \\overline{DE}$이므로 $\\angle CBI=\\angle BID, \\angle BCI=\\angle CIE (엇각)$ $∴ \\angle ABI=\\angle BID$, $\\angle ACI=\\angle CIE$ 즉, $\\triangle BID$와 $\\triangle CEI$는 모두 이등변삼각형이므로 $\\overline{DB}=\\overline{DI}, \\overline{EC}=\\overline{EI}$ $=38+21=59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점 $F$는 $\\overline{CD}$ 위의 점이고, 점 $A$에서 $\\overline{BF}$에 내린 수선의 발을 $E$라 하자. $\\angle CBF=43\\degree$일 때, $\\angle x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angle BAE=\\angle a$, $\\angle ABE=\\angle b$라 하면 $\\triangle ABE$에서 $\\angle a+\\angle b=90\\degree$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angle BAD+\\angle ABC=180\\degree$이므로 $(\\angle x+\\angle a)+(\\angle b+43\\degree)=180\\degree$ $(\\angle a+\\angle b)+\\angle x+43\\degree=180\\degree$ $90\\degree+\\angle x+43\\degree=180\\degree$ $\\angle x+133\\degree=180\\degree$ $∴$ $\\angle x=47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square$$ABCD$가 직사각형일 때, $\\angle x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BAC=90\\degree-37\\degree=53\\degree$ $\\triangle ABO$에서 $\\overline{OA}=\\overline{OB}$이므로 $\\angle x=\\angle BAO=53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I$는 $\\triangle ABC$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다. $\\angle BAC : \\angle ABC : \\angle ACB=7 : 8 : 9$일 때, $\\angle x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ABC=\\frac{8}{24}\\times180\\degree=60\\degree$이므로 $\\angle x$$=90\\degree+\\frac{1}{2}\\angle ABC$$=90\\degree+\\frac{1}{2}\\times60\\degree$$=120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overline{CD}$ 위에 $\\overline{AD} = \\overline{DE}$가 되도록 점 $E$를 잡고, 꼭짓점 $B$에서 $\\overline{AE}$에 내린 수선의 발을 $F$라 하자. $\\angle C=118\\degree$일 때, $\\angle x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C+\\angle D=180\\degree$이므로 $118\\degree+\\angle D=180\\degree$ $∴ \\angle D=62\\degree$ $\\triangle AED$는 $\\overline{DA}$$=\\overline{DE}$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$\\angle AED$$=\\frac{1}{2}\\times(180\\degree-62\\degree)$$=59\\degree$ $∴ \\angle AEC$$=180\\degree-59\\degree$$=121\\degree$ $\\square BCEF$에서 $\\angle x+118\\degree+121\\degree+90\\degree=360\\degree$ $∴ \\angle x$$=360\\degree-118\\degree-121\\degree-90\\degree$$=31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$20 cm$인 정사각형 $ABCD$에서 $\\triangle CEG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BCE$와 $\\triangle CDF$에서 $\\overline{BC}=\\overline{CD}=20 cm$, $\\angle BCE=\\angle CDF=90\\degree$, $\\overline{CE}=\\overline{DF}=15 cm$ 이므로 $\\triangle BCE\\equiv\\triangle CDF$ ($SAS$ 합동) $\\triangle CEG$와 $\\triangle CFD$에서 $\\angle C$는 공통, $\\angle CEG=\\angle CFD$ 이므로 $\\triangle CEG∽\\triangle CFD$($AA$ 닮음) 닮음비는 $\\overline{CE} : \\overline{CF}$$=15 : 25$$=3 : 5$이므로 넓이의 비는 $3^2 : 5^2$$=9 : 25$이고 $\\triangle CFD=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DF}\\times\\overline{CD}=\\frac{1}{2}\\times15\\times20=150 (cm^2)$이므로 $\\triangle CEG : \\triangle CFD=9 : 25$ $\\triangle CEG : 150=9 : 25$ ∴ $\\triangle CEG=54$ $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$\\triangle ABC$에서 $\\angle A$의 외각의 이등분선과 $\\angle C$의 외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을 P라 하고, 점 P에서 $\\overline{AB}$와 $\\overline{BC}$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, E라 하자. $\\overline{AC}=12 cm$, $\\overline{DP}=7 cm$일 때, $\\triangle APD$와 $\\triangle CEP$의 넓이의 합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점 $P$에서 $\\overline{AC}$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 하면 $\\triangle APD$와 $\\triangle APF$에서 $\\angle ADP$$=\\angle AFP$$=90\\degree$, $\\overline{AP}$는 공통, $\\angle DAP$$=\\angle FAP$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$\\triangle APD\\equiv\\triangle APF$ 한편 $\\triangle CEP$와 $\\triangle CFP$에서 $\\angle CEP$$=\\angle CFP$$=90\\degree$, $\\overline{CP}$는 공통, $\\angle ECP$$=\\angle FCP$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$\\triangle CEP\\equiv\\triangle CFP$ $∴ \\triangle APD+\\triangle CEP=\\triangle APF+\\triangle CFP=\\triangle ACP$ $=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AC}\\times\\overline{FP}$ $=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AC}\\times\\overline{DP}$ $=$$\\frac{1}{2}\\times12\\times7$$=$$42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B}$$=\\overline{AC}$인 이등변삼각형 $ABC$에서 $\\overline{AD}\\bot\\overline{BC}$, $\\overline{AB}\\bot\\overline{DE}$이다. $\\overline{AC}=18cm$, $\\overline{BC}=16cm$일 때, $\\overline{AE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DC$와 $\\triangle DEB$에서 $\\angle ADC=\\angle DEB=90\\degree$ $\\overline{AB}$$=\\overline{AC}$이므로 $\\angle C=\\angle B$ ∴ $\\triangle ADC$~$\\triangle DEB$ ($AA$ 닮음) $\\overline{AD}$는 $\\overline{BC}$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$\\overline{CD}$$=\\overline{BD}=8 cm$ $\\overline{AC} : \\overline{DB}=\\overline{CD} : \\overline{BE}$ $18 : 8=8 : \\overline{BE}$ $18\\overline{BE}=64$ $∴ \\overline{BE}$$=\\frac{32}{9} (cm)$ $∴ \\overline{AE}$$=\\overline{AB}-\\overline{BE}$$=18-\\frac{32}{9}$$=\\frac{130}{9}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두 사각기둥은 서로 닮은 도형이고 $\\overline{FG}$에 대응하는 모서리가 $\\overline{NO}$일 때, $\\square MNOP$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두 사각기둥의 닮음비는 $\\overline{FG} : \\overline{NO}$$=15 : 9$$=5 : 3$ $\\square EFGH$의 둘레의 길이는 $2\\times(10+15)=50 (cm)$ $\\square MNOP$의 둘레의 길이를 $l cm$라 하면 $50 : l=5 : 3$ $∴ l=30$ 따라서 $\\square MNOP$의 둘레의 길이는 $30 cm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AC}$, $\\overline{BC}$의 중점을 각각 $P$,$Q$라 할 때, $\\angle CQP$의 크기를 구하여라. ", "answer": "$\\overline{PQ} // \\overline{AB}$이므로 $\\angle CQP$$=\\angle ABC$$=47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B}=\\overline{AC}$인 직각이등변삼각형 $ABC$의 두 꼭짓점 $B$, $C$에서 꼭짓점 $A$를 지나는 직선 $l$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$D$, $E$라 하자. $\\triangle BPD$의 넓이가 $\\frac{32}{3} cm^2$일 때, $\\triangle CPE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D$와 $\\triangle CAE$에서 $\\angle ADB=\\angle CEA=90\\degree$ $\\overline{AB}=\\overline{CA}$ $\\angle ABD=90\\degree-\\angle BAD=\\angle CAE$ 두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$\\triangle ABD\\equiv\\triangle CAE$ 즉, $\\overline{AD}=\\overline{CE}=4 cm$, $\\overline{AE}=\\overline{BD}=8 cm$ $\\triangle BPD$$=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DP}\\times8$$=\\frac{32}{3}$ $∴$ $\\overline{DP}$$=\\frac{8}{3} (cm)$ 따라서 $\\overline{EP}$$=\\overline{AE}-\\overline{AD}-\\overline{DP}$$=8-4-\\frac{8}{3}$$=\\frac{4}{3} (cm)$이므로 $\\triangle{CPE}=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CE}\\times\\overline{EP}$ $=$$\\frac{1}{2}\\times4\\times\\frac{4}{3}$$=$$\\frac{8}{3}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BD}$는 $\\angle B$의 이등분선이고 $\\overline{AB} // \\overline{DE}$이다. $\\overline{AB}=12 cm$, $\\overline{BC}=10 cm$일 때, $\\overline{DE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BD}$는 $\\angle B$의 이등분선이므로 $\\overline{AD} : \\overline{DC}$$=\\overline{AB} : \\overline{BC}$$=12 : 10$$=6 : 5$ $\\overline{AB} // \\overline{DE}$이므로 $\\overline{CD} : \\overline{AC}$$=\\overline{DE} : \\overline{AB}$ $5 : (6+5)=\\overline{DE} : 12$ $11\\overline{DE}=60$ $∴ \\overline{DE}$$=\\frac{60}{11}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두 원기둥 $A$, $B$는 서로 닮은 도형일 때, 밑면의 둘레의 길이의 비를 가장 간단한 자연수의 비로 나타내어라.", "answer": "서로 닮은 두 원기둥에서 밑면의 둘레의 길이의 비, 높이의 비, 닮음비는 모두 같다. 밑면의 둘레의 길이의 비는 $18 : 16=9 : 8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D}$ // $\\overline{BC}$인 등변사다리꼴 $ABCD$에서 $\\overline{AB}=13 cm$, $\\overline{AD}=11 cm$, $\\angle B=60\\degree$일 때, $\\overline{BC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점 $A$에서 $\\overline{CD}$에 평행한 직선을 그어 $\\overline{BC}$와 만나는 점을 $E$라 하자. $\\square ABCD$가 등변사다리꼴이므로 $\\angle C$$=\\angle B$$=60\\degree$ $\\overline{AE}$$ // $$\\overline{CD}$이므로 $\\angle AEB$$=\\angle C=60\\degree (동위각)$ $\\triangle ABE$에서 $\\angle BAE=180\\degree-\\angle ABE-\\angle AEB =180\\degree-60\\degree-60\\degree=60\\degree$ $\\triangle ABE$가 정삼각형이므로 $\\overline{BE}$$=\\overline{AB}$$=13 cm$ $\\square AECD$는 평행사변형이므로 $\\overline{CE}$$=\\overline{AD}=11 cm$ $∴ \\overline{BC}$$=\\overline{BE}+\\overline{CE}$$=13+11$$=24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평행사변형 $ABCD$의 넓이가 $48$일 때, $\\triangle BQP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BD}$를 긋고 $\\overline{AC}$와 $\\overline{BD}$가 만나는 점을 $O$라 하면 $\\triangle ABD=\\frac{1}{2}\\square ABCD=\\frac{1}{2}\\times48=24$ 점 $P$는 $\\triangle ABD$의 무게중심이므로 $\\triangle BOP$$=\\frac{1}{6}\\triangle ABD=\\frac{1}{6}\\times24=4$ 같은 방법으로 $\\triangle BQO=4$ $∴ \\triangle BQP=\\triangle BOP+\\triangle BQO=4+4=8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B}=120 cm$인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점 $P$는 점 $A$를 출발하여 점 $B$까지 $\\overline{AB}$ 위를 매초 $8 cm$씩, 점 $Q$는 점 $C$를 출발하여 점 $D$까지 $\\overline{CD}$ 위를 매초 $6 cm$씩 움직이고 있다. 점 $Q$가 출발한 지 $4$ 초 후에 점 $P$가 출발한다면 처음으로 $\\overline{AQ}$$ // $$\\overline{CP}$가 되는 것은 점$P$가 출발한 지 몇 초 후인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AP}$$ // $$\\overline{CQ}$이므로 $\\overline{AQ}$$ // $$\\overline{CP}$가 되면 $\\square APCQ$는 평행사변형이다. $∴$ $\\overline{AP}$$=\\overline{CQ}$ 점$ P$가 점 $A$를 출발한 지 $x$ 초 후에 두 점 $P$, $Q$가 움직인 거리는 각각 $\\overline{AP}$$=8x cm$ $\\overline{CQ}$$=6(x+4)$$=6x+24 (cm)$이므로 $8x=6x+24$ $8x-6x=24$ $2x=24$ $∴$ $x=12$ 따라서 처음으로 $\\overline{AQ}$$ // $$\\overline{CP}$가 되는 것은 점 $P$가 출발한 지 $12$ 초 후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$12 cm$인 원뿔을 밑면에 평행한 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이 원일 때, 잘라서 생긴 단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처음 원뿔과 밑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잘라서 생긴 작은 원뿔은 서로 닮은 도형이고 닮음비는 $(30+6) : 30=6 : 5$ 잘라서 생긴 단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$r cm$라 하면 $12 : r=6 : 5$ $∴$ $r=10$ 따라서 잘라서 생긴 단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$10 cm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두 원뿔 $A$, $B$는 서로 닮은 도형이고 원뿔 $A$의 옆넓이가 $32\\pi cm^2$일 때, 원뿔 $B$의 옆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닮음비는 $4 : 6=2 : 3$이므로 옆넓이의 비는 $2^2 : 3^2$$=4 : 9$ 원뿔 $B$의 옆넓이를 $x cm^2$라 하면 $32\\pi : x=4 : 9$ ∴ $x=72\\pi$ 따라서 원뿔 $B$의 옆넓이는 $72\\pi cm^2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triangle{ABC}$의 무게중심 $G$를 지나고 $\\overline{BC}$에 평행한 직선이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AC}$와 만나는 점을 각각 $D, E$라 하자. $\\overline{BC}=24{cm}$일 때, $x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G}$의 연장선과 $\\overline{BC}$의 교점을 M이라 하자. $\\triangle ABM$에서 $\\overline{AD} : \\overline{AB}$$=\\overline{AG} : \\overline{AM}$$=2 : 3$ 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AD} : \\overline{AB}$$=\\overline{DE} : \\overline{BC}$ $2 : 3=x : 24$ $3x=48$ $∴ x$$=16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triangle ABC$에 직사각형 $DEFG$가 내접하고 있다. 점 $A$에서 $\\overline{BC}$에 내린 수선의 발을 $H$라 하면 $\\overline{BC}=20 cm$, $\\overline{AH}=12 cm$, $\\overline{DG} : \\overline{FG}=1 : 2$일 때, 직사각형 $DEFG$의 둘레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와 $\\triangle AGF$에서 $\\angle BAC$는 공통, $\\angle ABC=\\angle AGF$ (동위각) 이므로 $\\triangle ABC~\\triangle AGF$ ($AA $닮음) $\\overline{AH}$와 $\\overline{FG}$의 교점을 $K$, $\\overline{DG}=x cm$라 하면 $\\overline{FG}=2x cm$, $\\overline{AK}=(12-x) cm$ $\\overline{BC} : \\overline{FG}$$=\\overline{AH} : \\overline{AK}$ $20 : 2x=12 : (12-x)$ ∴ $x=\\frac{60}{11}$ 직사각형 $DEFG$의 둘레의 길이는 $2(x+2x)$$=6x$$=6\\times\\frac{60}{11}$$=\\frac{360}{11}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마름모 $ABCD$의 내부의 한 점 P에 대하여 $\\triangle ABP$가 정삼각형이고 $\\angle BAD=84\\degree$일 때, $\\angle x-\\angle y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angle DAP$$=\\angle BAD-\\angle BAP$$=84\\degree-60\\degree$$=24\\degree$ $\\triangle APD$는 $\\overline{AD}$$=\\overline{AP}$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$\\angle x$$=\\frac{1}{2}\\times(180\\degree-24\\degree)$$=78\\degree$ $\\angle BAD+\\angle ABC=180\\degree$이므로 $\\angle ABC$$=180\\degree-84\\degree$$=96\\degree$ $∴$$\\angle CBP$$=\\angle ABC-\\angle ABP$$=96\\degree-60\\degree$$=36\\degree$ $\\triangle BCP$는 $\\overline{BC}$$=\\overline{BP}$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$\\angle BCP$$=\\frac{1}{2}\\times(180\\degree-36\\degree)$$=72\\degree$ $\\angle BCD$$=\\angle BAD$$=84\\degree$이므로 $\\angle y$$=\\angle BCD-\\angle BCP$$=84\\degree-72\\degree$$=12\\degree$ $∴$ $\\angle x-\\angle y$$=78\\degree-12\\degree$$=66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square ABCD$는 마름모이고, $\\overline{AB}=10cm$, $\\overline{AE}=8cm$이다. $\\overline{BE}$의 연장선과 $\\overline{CD}$의 연장선의 교점을 $F$라 할 때, $\\overline{DF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E$와 $\\triangle DFE$에서 $\\angle BAE=\\angle FDE$ (엇각), $\\angle ABE=\\angle DFE$ (엇각) 이므로 $\\triangle ABE\\backsim\\triangle DFE$ ($AA$ 닮음) $\\overline{AB} : \\overline{DF}=\\overline{AE} : \\overline{DE}$ $10 : \\overline{DF}=8 : (10-8)$ $8\\overline{DF}=20$ $∴ \\overline{DF}$$=\\frac{5}{2}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두 정사각형 $ABCD$와 $EFGH$에서 $\\overline{BC}=4 cm$, $\\overline{FG}=6 cm$일 때, $\\square ABCD$와 $\\square EFGH$의 넓이의 비를 가장 간단한 자연수의 비로 나타내어라.", "answer": "닮음비가 $4 : 6$$=2 : 3$이므로 넓이의 비는 $2^2 : 3^2$$=4 : 9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overline{BE}$와 $\\overline{CF}$는 각각 $\\angle B$, $\\angle C$의 이등분선이고, 점 $H$는 $\\overline{AB}$의 연장선과 $\\overline{CF}$의 연장선의 교점이다. $\\angle H=58\\degree$이고 $\\overline{BE}$와 $\\overline{CF}$의 교점을 $G$라 할 때, $\\angle{DEG}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BH}$$ // $$\\overline{CD}$이므로 $\\angle DCH=\\angle H=58\\degree$ (엇각) $\\angle BCD$$=2\\times58\\degree$$=116\\degree$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angle ABC+\\angle BCD=180\\degree$이므로 $\\angle ABC+116\\degree=180\\degree$ $\\therefore \\angle ABC=64\\degree$ 즉, $\\angle CBE$$=\\frac{1}{2}\\times64\\degree$$=32\\degree$ $\\overline{AD}$$ // $$\\overline{BC}$이므로 $\\angle AEB$$=\\angle CBE$$=32\\degree$ (엇각) $ \\therefore \\angle DEG$$=180\\degree-32\\degree$$=148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평행사변형 $ABCD$의 두 대각선의 교점 $O$를 지나는 직선이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CD}$와 만나는 점을 각각 $P$, $Q$라 하자. $\\square ABCD$의 넓이가 $80 cm^2$일 때,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BOP$와 $\\triangle DOQ$에서 $\\overline{OB}=\\overline{OD}$ $\\angle OBP=\\angle ODQ (엇각)$ $\\angle BOP=\\angle DOQ (맞꼭지각)$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,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$\\triangle BOP\\equiv\\triangle DOQ$ $∴ \\triangle BOP$+$\\triangle CQO$ $=$$\\triangle CDO$ $=$$\\frac{1}{4}$ $\\square ABCD$ $=$$\\frac{1}{4}\\times80$$=$$20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정사각형 ${ABCD}$에서 $\\overline{CD}$ 위의 한 점 $E$를 잡고 $\\overline{AE}$의 연장선과 $\\overline{BC}$의 연장선의 교점을 $F$라 하자. $\\overline{AD}=60{cm}$, $\\overline{BF}=144{cm}$, $\\overline{EF}=91{cm}$일 때, $\\overline{AE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ED$와 $\\triangle FEC$에서 $\\angle ADE=\\angle FCE=90\\degree$, $\\angle DAE=\\angle CFE$ (엇각) 이므로 $\\triangle AED\\sim\\triangle FEC$ (AA 닮음) 이때 $\\overline{AD} : \\overline{FC}=\\overline{AE} : \\overline{FE}$ $60 : (144-60)=\\overline{AE} : 91$ $∴ \\overline{AE}=65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square$$ABCD$$\\sim$$\\square$$HGFE$일 때, $\\angle F$의 크기를 구하여라. ", "answer": "$\\angle A$$=\\angle H$$=90\\degree$이므로 $\\angle F$$=\\angle C$$=360\\degree-90\\degree-97\\degree-81\\degree$$=92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AB}\\bot\\overline{CD}$, $\\overline{AC}\\bot\\overline{BE}$이고 $\\overline{AB}=20, $$\\overline{AC}=16, $$\\overline{AD} : \\overline{BD}=2 : 3$일 때, $\\overline{CE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DC$와 $\\triangle AEB$에서 $\\angle A$는 공통, $\\angle ADC$$=\\angle AEB$$=90\\degree$ 이므로 $\\triangle ADC \\backsim \\triangle AEB$ ($AA$ 닮음) $\\overline{AD}=\\frac{2}{5}\\overline{AB}=\\frac{2}{5}\\times20=8$ $\\overline{AC} : \\overline{AB}=\\overline{AD} : \\overline{AE}$ $16 : 20=8 : \\overline{AE}$ $16\\overline{AE}=160$ ∴ $\\overline{AE}$$=10$ ∴ $\\overline{CE}=16-10$$=6$" }, { "question": "$\\angle A=\\angle ADC=68\\degree,\\angle B=34 \\degree$이고 $\\overline{AC}=11cm$일 때, $x$의 값을 구하려고 한다. (1) $\\angle BCD$의 크기를 구하여라. (2) $x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$\\triangle BCD$에서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은 두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$68\\degree=34\\degree+\\angle BCD$ $∴ \\angle BCD$$=34\\degree$ (2)$\\triangle ADC$에서 $\\angle A$$=\\angle ADC$$=68\\degree$이므로 $\\overline{CD}=\\overline{AC}$$=11 cm$ $\\triangle BCD$에서 $\\angle B$$=\\angle BCD$$=34\\degree$이므로 $\\overline{BD}=\\overline{CD}$$=11 cm$ $∴ x=11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overline{BC} // \\overline{DE}$일 때, $x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AB} : \\overline{AD}=\\overline{BC} : \\overline{DE}$ $4 : x=5 : 8$ $5x=32$ $∴x=\\frac{32}{5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overline{AB}$$ // $$\\overline{CD}$$ // $$\\overline{EF}$일 때, $\\overline{EF}$의 길이를 구하여라. ", "answer": "$\\triangle ABF$에서 $\\overline{BF} : \\overline{DF}=\\overline{AB} : \\overline{CD}=20 : 12=5 : 3$이므로 $\\overline{BD} : \\overline{BF}=2 : 5$ $\\triangle BFE$에서 $\\overline{BD} : \\overline{BF}=\\overline{CD} : \\overline{EF}$ $2 : 5=12 : \\overline{EF}$ $2\\overline{EF}=60$ $∴ \\overline{EF}=30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 $ABCD$에서 $\\overline{AD}$$ // $$\\overline{EF}$$ // $$\\overline{BC}$일 때, $\\overline{AD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AD}$$=x$라 하고 점 A에서 $\\overline{CD}$에 평행한 직선을 그어 $\\overline{EF}$, $\\overline{BC}$와 만나는 점을 각각 $G$,$ H$라 하자. $\\overline{AD}$$=\\overline{FG}$$=\\overline{CH}$$=x$이므로 $\\overline{EG}$$=9-x$, $\\overline{BH}$$=12-x$ $\\triangle ABH$에서 $\\overline{AE} : \\overline{AB}=\\overline{EG} : \\overline{BH}$ $4 : (4+3)=(9-x) : (12-x)$ $48-4x=63-7x$ $∴$ $x=5$ 따라서 $\\overline{AD}$의 길이는 $5$이다." }, { "question": "지름의 길이가 $20 cm$인 구 모양의 큰 초콜릿 $1$ 개를 녹여서 지름의 길이가 $5 cm$인 구 모양의 작은 초콜릿을 만들려고 한다. 이때 만들 수 있는 작은 초콜릿의 개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닮음비가 $20 : 5=4 : 1$이므로 부피의 비는 $4^3 : 1^3=64 : 1$ 만들 수 있는 작은 초콜릿은 $64$ 개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$\\triangle ABC$에서 $\\angle ACB=\\angle ADE$이고 $\\overline{AC}=12 cm$, $\\overline{AD}=6 cm$, $\\overline{AE}=4 cm$일 때, $\\overline{AB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와 $\\triangle AED$에서 $\\angle A$는 공통, $\\angle ACB=\\angle ADE$ 이므로 $\\triangle ABC$$\\backsim$$\\triangle AED$ ($AA $닮음) $\\overline{AB} : \\overline{AE}=\\overline{AC} : \\overline{AD}$ $\\overline{AB} : 4=12 : 6$ $6\\overline{AB}=48$ ∴ $\\overline{AB}$$=8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G$는 $\\triangle ABC$의 무게중심이고 $\\overline{BM} // \\overline{DN}$이다. $\\overline{GM}=2$일 때, $\\frac{y}{x}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BG} : \\overline{GM}$$=2 : 1$ $y : 2$$=2 : 1$ ∴ $y$$=4$ $\\triangle ABM$에서 $\\overline{AD}=\\overline{DB}$이고 $\\overline{BM} // \\overline{DN}$이므로 $\\overline{AD} : \\overline{AB}=\\overline{DN} : \\overline{BM}$ $1 : 2=x : (4+2)$ $2x=6$ $∴$ $x$$=3$ $∴$ $\\frac{y}{x}$$=\\frac{4}{3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overline{AB}$$ // $$\\overline{CD}$, $\\overline{BC}$$ // $$\\overline{DE}$일 때, $\\overline{CD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와 $\\triangle CDE$에서 $\\angle BAC=\\angle DCE$ (엇각), $\\angle ACB=\\angle CED$ (엇각) 이므로 $\\triangle ABC\\backsim\\triangle CDE$ ($AA$ 닮음) $\\overline{AB} : \\overline{CD}=\\overline{BC} : \\overline{DE}$ $9 : \\overline{CD}=12 : 8$ $12\\overline{CD}=72$ $∴$ $\\overline{CD}$$=6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평행사변형 $ABCD$의 넓이가 $78$일 때, $\\triangle{BQP}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BD}$를 긋고 $\\overline{AC}$와 $\\overline{BD}$가 만나는 점을 $O$라 하면 $\\triangle ABD$$=\\frac{1}{2}\\square ABCD$$=\\frac{1}{2}\\times78$$=39$ 점 $P$는 $\\triangle ABD$의 무게중심이므로 $\\triangle BOP$$=\\frac{1}{6}\\triangle ABD$$=\\frac{1}{6}\\times39$$=\\frac{13}{2}$ 같은 방법으로 $\\triangle BQO$$=\\frac{13}{2}$ $∴ \\triangle BQP$$=\\triangle BOP+\\triangle BQO$$=\\frac{13}{2}+\\frac{13}{2}$$=13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D} // \\overline{BC}$인 사다리꼴 $ABCD$에서 두 대각선의 교점을 $O$라 하자. $\\triangle ABC$, $\\triangle CDO$의 넓이가 각각 $45 cm^2$, $9 cm^2$일 때, $\\triangle BCO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△ABO$$=$ $△ABD -△AOD$ $=△ACD -△AOD$ $=△CDO$ $=9 (cm^2)$ $△BCO= △ ABC -△ABO =45-9$$=$$36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square ABCD$는 마름모이고, $\\overline{CD}=13 cm$, $\\overline{CE}=9 cm$이다. $\\overline{DE}$의 연장선과 $\\overline{AB}$의 연장선의 교점을 F라 할 때, $\\overline{BF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CDE$와 $\\triangle BFE$에서 $\\angle DCE=\\angle FBE$ (엇각), $\\angle CDE=\\angle BFE$ (엇각) 이므로 $\\triangle CDE~\\triangle BFE$ ($AA$ 닮음) $\\overline{CD} : \\overline{BF}=\\overline{CE} : \\overline{BE}$ $13 : \\overline{BF}=9 : (13-9)$ $9\\overline{BF}=52$ $∴ \\overline{BF}$$=\\frac{52}{9} (cm)$" }, { "question": "A 주머니에는 빨간 공 $5$ 개, 파란 공 $2$ 개가 들어 있고, B 주머니에는 빨간 공 $3 $개, 파란 공 $6$ 개가 들어 있다. A, B 두 주머니에서 각각 한 개씩 공을 꺼낼 때, 두 공의 색깔이 서로 다를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ⅰ)$ A 주머니에서는 빨간 공, B 주머니에서는 파란 공이 나올 확률 A 주머니에서 빨간 공이 나올 확률은 $\\frac{5}{7}$이고, B 주머니에서 파란 공이 나올 확률은 $\\frac{6}{9}=\\frac{2}{3}$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$\\frac{5}{7}\\times\\frac{2}{3}=\\frac{10}{21}$ $(ⅱ)$ A 주머니에서는 파란 공, B 주머니에서는 빨간 공이 나올 확률 A 주머니에서 파란 공이 나올 확률은 $\\frac{2}{7}$이고, B 주머니에서 빨간 공이 나올 확률은 $\\frac{3}{9}=\\frac{1}{3}$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$\\frac{2}{7}\\times\\frac{1}{3}=\\frac{2}{21}$ $(ⅰ)$, $(ⅱ)$에 의해 A, B 두 주머니에서 각각 $1$ 개씩 공을 꺼낼 때 두 공의 색깔이 서로 다를 확률은 $\\frac{10}{21}+\\frac{2}{21}=\\frac{4}{7}$" }, { "question": "빨간 공 $4$ 개, 노란 공 $6$ 개가 들어 있는 주머니에서 한 개의 공을 꺼낼 때, 빨간 공이 나올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공을 꺼내는 모든 경우의 수는 $4+6$$=10$이고, 빨간 공이 나오는 경우의 수는 $4$이다. 따라서 빨간 공이 나올 확률은 $\\frac{4}{10}=\\frac{2}{5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원뿔의 모선을 $2 : 1$로 나누는 점을 지나고 밑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두 입체도형 $P$와 $Q$의 부피의 비를 가장 간단한 자연수의 비로 나타내어라.", "answer": "원뿔 $P$와 처음 원뿔의 닮음비는 $2 : (2+1)$$=2 : 3$이므로 부피의 비는 $2^3 : 3^3=8 : 27$ 원뿔 $P$와 원뿔대 $Q$의 부피의 비를 구하면 $8 : (27-8)$$=8 : 19$" }, { "question": "오른쪽 그림과 같은 $\\triangle ABC$에서 $\\angle A=\\angle {ADB}=54\\degree$,$\\angle C=27\\degree$이고 $\\overline{AB}=5cm$일 때,$x$의 값을 구하려고 한다. (1) $\\angle CBD$의 크기를 구하여라. (2) $x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 $\\triangle BCD$에서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은 두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$54\\degree=\\angle CBD+27\\degree$ $∴$ $\\angle CBD$$=27\\degree$ (2) $\\triangle ABD$에서 $\\angle A$$=\\angle ADB$$=54\\degree$이므로 $\\overline{BD}=\\overline{AB}$$=5 cm$ $\\triangle BCD$에서 $\\angle CBD$$=\\angle C$$=27\\degree$이므로 $\\overline{CD}=\\overline{BD}$$=5 cm$ $\\therefore x=5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$\\triangle ABC$와 $\\triangle BDE$에서 $\\overline{AE}=\\overline{EB}$, $\\overline{DF}=\\overline{FE}$이다. 점 E에서 $\\overline{BC}$에 평행한 선분을 그어 $\\overline{AC}$와 만나는 교점을 $G$라 할 때, $\\overline{AC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EFG\\equiv\\triangle DFC$ ($ASA$ 합동)이므로 $\\overline{FG}$$=\\overline{FC}$$=5 cm$ 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AE} : \\overline{BE}=\\overline{AG} : \\overline{CG}$ $1 : 1=\\overline{AG} : (5+5)$ $∴ \\overline{AG}$$=10 (cm)$ $∴ \\overline{AC}$$=\\overline{AG}+\\overline{FG}+\\overline{CF}$$=10+5+5$$=20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D} // \\overline{BC}$인 사다리꼴 $ABCD$에서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CD}$의 중점을 각각 $M$, $N$이라 할 때, $\\overline{MN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DM}$의 연장선과 $\\overline{BC}$의 연장선의 교점을 $P$라고 하자. $\\triangle AMD\\equiv\\triangle BMP$(ASA 합동)이므로 $\\overline{BP}$$=\\overline{AD}$$=8 cm$ $\\overline{DM}$$=\\overline{PM}$이므로 $\\triangle CDP$에서 $\\overline{MN}=\\frac{1}{2}\\overline{CP}$$=\\frac{1}{2}\\times(12+8)$$=\\frac{1}{2}\\times20$$=10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두 점 $G$, $G'$은 각각 $\\triangle ABC$, $\\triangle AGC$의 무게중심이다. $\\overline{BD}=12$일 때, $\\overline{GG}'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BG} : \\overline{GD}$$=2 : 1$ $\\overline{GD}$$=\\frac{1}{3}\\overline{BD}=\\frac{1}{3}\\times12$$=4$ $\\triangle AGC$에서 $\\overline{GG'} : \\overline{G'D}$$=2 : 1$ $\\overline{GG'}$$=\\frac{2}{3}\\overline{GD}=\\frac{2}{3}\\times4$$=\\frac{8}{3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overline{BD}$가 $\\triangle ABC$의 중선이다. $\\triangle ABD$의 넓이가 $\\frac{9}{2}$일 때, $\\triangle BCD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BCD$$=\\triangle ABD$$=\\frac{9}{2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D}$$ // $$\\overline{BC}$인 사다리꼴 $ABCD$에서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CD}$의 중점을 각각 $M$, $N$이라 할 때, $\\overline{MN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AN}$의 연장선과 $\\overline{BC}$의 연장선의 교점을 $P$라고 하자. $\\triangle AND\\equiv\\triangle PNC$(ASA 합동)이므로 $\\overline{CP}$$=\\overline{DA}$$=10 cm$ $\\overline{AN}$$=\\overline{PN}$이므로 $\\triangle ABP$에서 $\\overline{MN}=\\frac{1}{2}\\overline{BP}$$=\\frac{1}{2}\\times(24+10)$$=\\frac{1}{2}\\times34$$=17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G는 $\\triangle ABC$의 무게중심이고 $\\overline{BM} // \\overline{DN}$이다. $\\overline{BG}=3$일 때, $\\frac{y}{x}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BG} : \\overline{GM}$$=2 : 1$ $3 : x$$=2 : 1$ $2x=3$ $∴ x$$=\\frac{3}{2}$ $\\triangle BCM$에서 $\\overline{BD}=\\overline{DC}$이고 $\\overline{BM} // \\overline{DN}$이므로 $\\overline{CD} : \\overline{BC}=\\overline{DN} : \\overline{BM}$ $1 : 2=y : (3+ \\frac{3}{2})$ $2y=\\frac{9}{2}$ $∴ y$$=\\frac{9}{4}$ $∴ \\frac{y}{x}$$=\\frac{9}{4}\\div\\frac{3}{2}$$=\\frac{3}{2}$" }, { "question": "서로 닮은 두 평면도형의 닮음비가 $7 : 4$이고 작은 도형의 넓이가 $80 cm^2$일 때, 큰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서로 닮은 두 평면도형의 넓이의 비는 $7^2 : 4^2$$=49 : 16$ 큰 도형의 넓이를 $x cm^2$라 하면 $x : 80=49 : 16$ $\\therefore x=245$ 따라서 큰 도형의 넓이는 $245 cm^2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$\\overline{BC}$, $\\overline{CD}$의 중점을 각각 M, N이라 하고, $\\overline{BD}$와 $\\overline{AM}$, $\\overline{AN}$의 교점을 각각 $P$, $Q$라 하자. $\\overline{PQ}=5$일 때, $\\overline{MN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C}$를 긋고 $\\overline{AC}$와 $\\overline{BD}$의 교점을$ O$라고 하자. 두 점$ P$, $Q$는 각각 $\\triangle ABC$, $\\triangle ACD$의 무게중심이므로 $\\overline{BD}$$=3\\overline{PQ}$$=3\\times5$$=15$ $\\triangle BCD$에서 $\\overline{BM}=\\overline{MC}$, $\\overline{CN}=\\overline{ND}$이므로 $\\overline{MN}=\\frac{1}{2}\\overline{BD}$$=\\frac{15}{2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 $ABCD$에서 $\\overline{AD}$$ // $$\\overline{EF}$$ // $$\\overline{BC}$일 때, $\\overline{AD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AD}$$=x$라 하고 점 $A$에서 $\\overline{CD}$에 평행한 직선을 그어 $\\overline{EF}$, $\\overline{BC}$와 만나는 점을 각각 $G$, $H$라 하자. $\\overline{AD}$$=\\overline{FG}$$=\\overline{CH}$$=x$이므로 $\\overline{EG}$$=8-x$, $\\overline{BH}$$=9-x$ $\\triangle ABH$에서 $\\overline{AE} : \\overline{AB}=\\overline{EG} : \\overline{BH}$ $4 : (4+2)=(8-x) : (9-x)$ $36-4x=48-6x$ $∴$ $x=6$ 따라서 $\\overline{AD}$의 길이는 $6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G는 $\\triangle ABC$의 무게중심이고, 두 점$ D$, $E는$ 각각 $\\overline{AG}$, $\\overline CG$의 중점이다. $\\triangle ABC$의 넓이가 $60 cm^2$일 때,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BG}$를 그으면 $\\triangle ABG$$=\\frac{1}{3}\\triangle ABC$$=\\frac{1}{3}\\times60$$=20 (cm^2)$ $\\overline{AD}=\\overline{DG}$이므로 $\\triangle BGD$$=\\frac{1}{2}\\triangle ABG$$=\\frac{1}{2}\\times20$$=10 (cm^2)$ 같은 방법으로 $\\triangle BEG=10 cm^2$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$\\triangle BGD+\\triangle BEG=10+10=20 (cm^2)$" }, { "question": "$5$부터 $10$까지의 자연수가 각각 적힌 카드 $6$ 장 중에서 한 장의 카드를 뽑아서 나온 수를 $a$라 한다. $\\frac{1}{a}$을 소수로 나타내었을 때, 순환소수가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frac{1}{a}$을 소수로 나타내었을 때 순환소수가 되려면 $a$에 $2$나 $5$ 이외의 소인수가 있어야 한다. $5$부터 $10$까지의 자연수 중 $2$나 $5$ 이외의 소인수를 갖는 수는 $6$, $7$, $9$이고 그 경우의 수는 $3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angle A$$=90\\degree$인 직각삼각형 모양의 종이 $ABC$에서 $\\overline{AB}$의 중점을 $D$, 점 $D$에서 $\\overline{BC}$에 내린 수선의 발을 $E$라 하자. 이 종이를 $\\overline{DE}$를 접는 선으로 하여 꼭짓점 $B$가 $\\overline{BC}$ 위의 점 $B'$에 오도록 접었다. $\\overline{AB}=6 cm$, $\\overline{BC}=10 cm$일 때, $\\overline{B'C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와 $\\triangle EBD$에서 $\\angle B$는 공통, $\\angle A$$=\\angle BED$$=90\\degree$ 이므로 $\\triangle ABC \\backsim \\triangle EBD$ ($AA$ 닮음) $\\overline{AB} : \\overline{EB}=\\overline{BC} : \\overline{BD}$ $6 : \\overline{BE}=10 : 3$ $10\\overline{BE}=18$ $∴ \\overline{BE}=\\frac{9}{5} (cm)$ $∴ \\overline{B'C}=\\overline{BC}-\\overline{BB'}=\\overline{BC}-2\\overline{BE}$ $=$$10-2\\times\\frac{9}{5}$$=$$\\frac{32}{5}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triangle ABC$의 무게중심 G를 지나고 $\\overline{BC}$에 평행한 직선이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AC}$와 만나는 점을 각각 $D, E$라 하자. $\\overline{BC}=15 cm$일 때, $\\overline{DE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G}$의 연장선과 $\\overline{BC}$의 교점을 M이라 하자. $\\triangle ABM$에서 $\\overline{AD} : \\overline{AB}$$=\\overline{AG} : \\overline{AM}$$=2 : 3$ 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AD} : \\overline{AB}$$=\\overline{DE} : \\overline{BC}$ $2 : 3=\\overline{DE} : 15$ $3\\overline{DE}=30$ $∴ \\overline{DE}$$=10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D}$$ // $$\\overline{BC}$인 등변사다리꼴 $ABCD$에서 세 점 $P$, $M$, $Q$는 각각 $\\overline{AD}$, $\\overline{BD}$, $\\overline{BC}$의 중점이다. $\\angle ABD=42\\degree$, $\\angle BDC=82\\degree$일 때, $\\angle MPQ$의 크기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D$에서 $\\overline{AP}=\\overline{PD}$, $\\overline{BM}=\\overline{MD}$이므로 $\\overline{MP} // \\overline{AB}$, $\\overline{MP}=\\frac{1}{2}\\overline{AB}$ ······ ㉠ $\\angle DMP$$=\\angle ABD$$=42\\degree$ (동위각) $\\triangle BCD$에서 $\\overline{BM}=\\overline{MD}$, $\\overline{BQ}=\\overline{QC}$이므로 $\\overline{MQ} // \\overline{CD}$, $\\overline{MQ}=\\frac{1}{2}\\overline{CD}$ ······ ㉡ $\\angle BMQ$$=\\angle BDC$$=82\\degree$ (동위각) $\\angle DMQ$$=180\\degree-\\angle BMQ$$=180\\degree-82\\degree$$=98\\degree$이므로 $=$$42\\degree+98\\degree$$=$$140\\degree$ 이때 $\\overline{AB}=\\overline{CD}$이므로 ㉠, ㉡에서 $\\overline{MP}=\\overline{MQ}$ 따라서 $\\triangle MQP$는 $\\overline{MP}=\\overline{MQ}$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$\\angle MPQ$$=\\frac{1}{2}\\times(180\\degree-140\\degree)$$=20\\degree$" }, { "question": "다음 두 종이컵 A, B는 닮음비가 $3 : 2$인 닮은 도형이다. 종이컵 B에 가득 담을 수 있는 주스의 양이 $120 mL$일 때, 종이컵 A에 가득 담을 수 있는 주스의 양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부피의 비는 $3^3 : 2^3=27 : 8$ 종이컵 A에 가득 담을 수 있는 주스의 양을 $x mL$라 하면 $x : 120=27 : 8$ $8x=3240$ $∴ x=405$ 따라서 종이컵 A에 가득 담을 수 있는 주스의 양은 $405 mL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원뿔 모양의 그릇에 물을 부어서 그릇의 높이의 $\\frac{1}{4}$만큼 채웠을 때, 물의 부피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물이 채워진 부분과 그릇은 닮은 도형이고 그릇의 높이의 $\\frac{1}{4}$만큼 물을 채웠으므로 닮음비는 $1 : 4$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$r cm$라 하면 $r : 12=1 : 4$ $∴ r=3$ 물이 채워진 부분의 높이를 $h$ $cm$라 하면 $h : 32=1 : 4$ $∴ h=8$ 따라서 구하는 물의 부피는 $\\frac{1}{3}\\times\\pi\\times3^2\\times8$$=24\\pi (cm^3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triangle ABC$의 무게중심 $G$를 지나고 $\\overline{AB}$에 평행한 직선이 $\\overline{AC}$, $\\overline{BC}$와 만나는 점을 각각 $D, E$라 하자. $\\overline{DE}=9 cm$일 때, $x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CG}$의 연장선과 $\\overline{AB}$의 교점을 $F$라 하자. $\\triangle AFC$에서 $\\overline{CD} : \\overline{AC}$$=\\overline{CG} : \\overline{CF}$$=2 : 3$ 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CD} : \\overline{AC}$$=\\overline{DE} : \\overline{AB}$ $2 : 3=9 : x$ $2x=27$ $∴ x$$=\\frac{27}{2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크기가 같은 정육면체 모양의 상자 $A$, $B$가 있다. $A$ 상자에는 크기가 같은 작은 공 $64$ 개가 꼭 맞게 들어갔고, $B$ 상자에는 큰 공 $1$ 개가 꼭 맞게 들어갔다. 두 상자$ A$,$ B$ 각각에 들어 있는 공 전체의 겉넓이의 비를 가장 간단한 자연수의 비로 나타내어라. (단, 공은 모두 구 모양이다.)", "answer": "두 상자에 들어 있는 공 $1$ 개의 닮음비는 $1 : 4$이므로 겉넓이의 비는 $1^2 : 4^2=1 : 16$ 두 상자 A, B에 들어 있는 공의 개수는 각각 $64$ 개, $1$ 개이므로 공 전체의 겉넓이의 비는 $(1\\times64) : (16\\times1)$$=4 : 1$" }, { "question": "오른쪽 그림에서 $점 G$가 $\\triangle ABC$의 무게중심이고 $\\overline{BC}//\\overline{EG}$이다. $\\triangle ABC$의 넓이가 $24cm^2$일 때, $\\triangle AEG$의 넓이를 구하려고 한다. $(1) \\triangle ABG$의 넓이를 구하여라. $(2)\\triangle AEG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$\\overline{BD}=\\overline{DC}$이므로 $\\triangle ABD=\\frac{1}{2}$$\\triangle ABC$ $∴\\triangle ABG=\\frac{2}{3}$$\\triangle ABD=\\frac{2}{3}$$\\times \\frac{1}{2}\\triangle ABC=\\frac{1}{3}\\triangle ABC$ $=$$\\frac{1}{3}\\times24$$=$$8 (cm^2)$ (2)$\\triangle ABD$에서 $\\overline{AE}:\\overline{EB}=\\overline{AG} : \\overline{GD}=2 : 1$이므로 $\\overline{AE}=\\frac{2}{3}\\overline{AB}$ $∴ \\triangle AEG=\\frac{2}{3}\\triangle ABG=\\frac{2}{3}\\times8=\\frac{16}{3}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과 같이 $ㄱ~ㅂ$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다리를 타면 상품을 받는 사다리 타기 그림을 그리는 중이다. 상품은 공, 줄넘기, 제기가 있고, 공은 줄넘기보다 $3$ 개 더 많이 있을 때, 나머지 자리에 상품을 배치하여 그림을 완성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 (단, 어느 것을 선택해도 상품은 $1$ 개 받는다.)", "answer": "상품은 공, 줄넘기, 제기가 있고, 공은 줄넘기보다 $3$ 개 더 많이 있으므로 나머지 세 자리에 놓을 수 있는 상품은 공 $3$ 개이다. 나머지 자리에 놓을 수 있는 상품을 왼쪽부터 순서대로 $a$, $b$, $c$라 할 때, 각 경우를 순서쌍 $(a, b, c)$로 나타내면 $(공, 공, 공)$의 $1$ 가지이다. 따라서 그림을 완성하는 경우의 수는 $1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 $ABCD$에서 $\\overline{AD}$$ // $$\\overline{EF}$$ // $$\\overline{BC}$이고 점 $G$는 $\\overline{AC}$와 $\\overline{EF}$의 교점일 때, $x+y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AE} : \\overline{AB}=\\overline{EG} : \\overline{BC}$ $9 : (9+6)=x : 15$ $∴$ $x$$=9$ $\\overline{CG} : \\overline{AC}$$=\\overline{BE} : \\overline{AB}$$=6 : (9+6)$$=2 : 5$ $\\triangle ACD$에서 $\\overline{CG} : \\overline{AC}=\\overline{FG} : \\overline{AD}$ $2 : 5=4 : y$ $2y=20$ $∴ $$y$$=10$ $∴$ $x+y$$=9+10$$=19$" }, { "question": "비가 온 날의 다음 날에 비가 올 확률은 $\\frac{1}{4}$이고, 비가 오지 않은 날의 다음 날에 비가 올 확률은 $\\frac{5}{6}$라 한다. 수요일에 비가 왔을 때, 같은 주 금요일에 비가 올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비가 온 날을 $𝗢$ , 비가 오지 않은 날을 $𝗫$로 표시하여 순서쌍 $(수, 목, 금)$으로 나타내면 (ⅰ)$( 𝗢, 𝗢 , 𝗢 )$인 경우 수요일에 비가 오고 목요일에 비가 올 확률은 $\\frac{1}{4}$ 목요일에 비가 오고 금요일에 비가 올 확률은 $\\frac{1}{4}$ 수요일에 비가 왔을 때, 목요일과 금요일에 비가 올 확률은 $\\frac{1}{4}\\times\\frac{1}{4}=\\frac{1}{16}$ (ⅱ)$( 𝗢, 𝗫 , 𝗢)$인 경우 수요일에 비가 오고 목요일에 비가 오지 않을 확률은 $1-\\frac{1}{4}=\\frac{3}{4}$ 목요일에 비가 오지 않고 금요일에 비가 올 확률은 $\\frac{5}{6}$ 수요일에 비가 왔을 때, 목요일에 비가 오지 않고 금요일에 비가 올 확률은 $\\frac{3}{4}\\times\\frac{5}{6}=\\frac{5}{8}$ (ⅰ), (ⅱ)에 의해 수요일에 비가 왔을 때, 같은 주 금요일에 비가 올 확률은 $\\frac{1}{16}+\\frac{5}{8}$$=\\frac{11}{16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두 정육면체 $A$와 $B$는 서로 닮은 도형이고 $A$와 $B$의 닮음비가 $1 : 2$일 때, 정육면체 $B$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정육면체 $B$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$x cm$라 하면 $6 : x=1 : 2$ $∴ x=12$ 정육면체 $B$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$12\\times12=144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$\\triangle ABC$에서 $\\angle A$$=\\angle ACD$$=\\angle BCD$일 때, $\\overline{AC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와 $\\triangle CBD$에서 $\\angle B$는 공통, $\\angle BAC=\\angle BCD$ 이므로 $\\triangle ABC$$\\backsim$$\\triangle CBD$ ($AA$ 닮음) $\\overline{AB} : \\overline{CB}=\\overline{BC} : \\overline{BD}$ $11 : 7=7 : \\overline{BD}$ $11\\overline{BD}=49$ $∴$ $\\overline{BD}$$=\\frac{49}{11} (cm)$ 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CD}$는 $\\angle C$의 이등분선이므로 $\\overline{AC} : \\overline{BC}$$=$$\\overline{AD} : \\overline{BD}$ $\\overline{AC} : 7$$=$$(11-\\frac{49}{11}) : \\frac{49}{11}$ $\\frac{49}{11}\\overline{AC}=\\frac{504}{11}$ $∴$ $\\overline{AC}$$=\\frac{72}{7}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원뿔의 모선을 $3 : 2$로 나누는 점을 지나고 밑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자르면 두 입체도형 $P$와 $Q$가 생긴다. 원뿔 $P$의 부피가 $108 cm^3$일 때, 원뿔대 $Q$의 부피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원뿔 $P$와 처음 원뿔의 닮음비는 $3 : (3+2)$$=3 : 5$이므로 부피의 비는 $3^3 : 5^3=27 : 125$ 원뿔 $P$와 원뿔대 $Q$의 부피의 비를 구하면 $27 : (125-27)$$=27 : 98$ 원뿔대 $Q$의 부피를 $x cm^3$라 하면 $108 : x=27 : 98$ $∴$ $x=392$ 따라서 원뿔대 $Q$의 부피는 $392 cm^3$이다." }, { "question": "오른쪽 그림의 평행사변형 $ABCD$에서$\\overline{CD}$의 연장선 위의 점 $F$에 대하여 $\\overline{AD}$와$\\overline{BF}$의 교점을 $E$라 할 때, $\\overline{AE}$의 길이를 구하려고 한다. (1) $\\overline{ED}$의 길이를 구하여라 (2) $\\overline{AE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 $\\square ABCD$가 평행사변형이므로 $\\overline{BC}$$ // $$\\overline{DE}$ $\\\\$ $\\triangle BCF$에서 $\\overline{BC}$$ // $$\\overline{DE}$이므로 $\\overline{FD} : \\overline{FC}=\\overline{ED} : \\overline{BC}$ $6 : (6+10)=\\overline{ED} : 12$ $\\\\$ $16\\overline{ED}=72$ $\\\\$ $∴$ $\\overline{ED}=\\frac{9}{2} (cm)$ (2) $\\square ABCD$가 평행사변형이므로 $\\overline{AD}$$=\\overline{BC}$$=12 cm$ $\\\\$ $∴ \\overline{AE}=\\overline{AD}-\\overline{ED}=12-\\frac{9}{2}=\\frac{15}{2}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점 $G$는 $\\triangle{A}{B}{C}$의 무게중심이고 점 $E$는 $\\overline{{A}{G}}$의 중점이다. $\\overline{{A}{D}}=36{ }{cm}$일 때, $\\overline{{E}{G}}$의 길이를 구하려고 한다. (1) $\\overline{{A}{G}}$의 길이를 구하여라. (2) $\\overline{{E}{G}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 삼각형의 무게중심은 세 중선의 길이를 각 꼭짓점으로부터 각각 $2 : 1$로 나누므로 $\\overline{AG} : \\overline{GD}$$=2 : 1$ $∴$ $\\overline{AG}$$=\\frac{2}{3}\\overline{AD}=\\frac{2}{3}\\times36$$=24 (cm)$ (2) 점 $E$는 $\\overline{AG}$의 중점이므로 $\\overline{EG}=\\frac{1}{2}\\overline{AG}=\\frac{1}{2}\\times24=12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B} // \\overline{CD}$인 사다리꼴 $ABCD$에서 $\\triangle ABO$의 넓이가 $16$일 때, $\\square ABCD$의 넓이를 구하여라. (단, 점 $O$는 두 대각선의 교점이다.)", "answer": "$\\triangle ABO$와 $\\triangle CDO$에서 $\\angle AOB=\\angle COD$ (맞꼭지각), $\\angle BAO=\\angle DCO$ (엇각) 이므로 $\\triangle ABO~\\triangle CDO$ (AA 닮음) 닮음비는 $\\overline{AB} : \\overline{CD}$$=8 : 12$$=2 : 3$이므로 넓이의 비는 $2^2 : 3^2=4 : 9$ $16 : \\triangle CDO=4 : 9$ $∴ \\triangle CDO$$=36$ $\\triangle ABD$에서 $\\triangle ABO : \\triangle ADO=\\overline{BO} : \\overline{OD}$$=2 : 3$ $16 : \\triangle ADO=2 : 3$ $∴ \\triangle ADO$$=24$ 같은 방법으로 $\\triangle BCO$$=24$ $∴ \\square ABCD$$=16+24+36+24$$=100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x$, $y$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.", "answer": "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$\\triangle ABD$에서 $9^2+x^2=15^2$, $x^2$$=144$$=12^2$ $x>0$이므로 $x$$=12$ $\\triangle ADC$에서 $12^2+y^2=20^2$, $y^2$$=256$$=16^2$ $y>0$이므로 $y$$=16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$\\triangle ABC$에서 세 점 $D$, $E$, $F$가 각각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BC}$, $\\overline{AC}$의 중점이고 $\\triangle ABC$의 넓이가 $28 cm^2$일 때, $\\triangle DEF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DF}=\\frac{1}{2}\\overline{BC}=\\overline{BE}=\\overline{EC}$ $\\overline{DE}=\\frac{1}{2}\\overline{AC}=\\overline{AF}=\\overline{FC}$ $\\overline{EF}=\\frac{1}{2}\\overline{AB}=\\overline{AD}=\\overline{DB}$ 이므로 $\\triangle ADF\\equiv\\triangle DBE\\equiv\\triangle FEC\\equiv\\triangle EFD$ ($SSS$ 합동) $∴$ $\\triangle DEF=\\frac{1}{4}\\triangle ABC=\\frac{1}{4}\\times28=7 (cm^2)$" }, { "question": "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행사변형 $ABCD$에서 점 $E$는 $\\overline{AD}$의 중점이고 점 $G$는 $\\overline{BD}$와 $\\overline{CE}$의 교점이다. $\\square{ABCD}$의 넓이가 $32cm^2$ 일 때, $\\triangle{DEG}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C}$를 긋고 $\\overline{AC}$와 $\\overline{BD}$의 교점을 $O$라 하자. $\\triangle ACD=\\frac{1}{2}\\square ABCD=\\frac{1}{2}\\times32=16 (cm^2)$ 점 $E$는 $\\overline{AD}$의 중점이므로 $\\triangle CDE=\\frac{1}{2}\\triangle ACD=\\frac{1}{2}\\times16=8 (cm^2)$ 한편, 평행사변형의 성질에 의하여 점 $O$는 $\\overline{AC}$의 중점이다. $\\triangle ACD$에서 $\\overline{CE}$, $\\overline{DO}$는 중선이므로 점 $G$는 $\\triangle ACD$의 무게중심이다. $\\overline{CG} : \\overline{GE}=2 : 1$이므로 $\\overline{GE}=\\frac{1}{3}\\overline{CE}$ $∴ \\triangle DEG=\\frac{1}{3}\\triangle CDE=\\frac{1}{3}\\times8=\\frac{8}{3}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D} // \\overline{BC}$인 사다리꼴 $ABCD$에서 대각선 $\\overline{BD}$ 위의 점 $P$를 지나고 $\\overline{BC}$에 평행한 직선과 $\\overline{AC}$의 교점을 $Q$라 하자. $3\\overline{CQ}=\\overline{AQ}$, $\\overline{AD}=15 cm$, $\\overline{BC}=20 cm$이고 $\\overline{OQ}=k\\overline{CQ}$일 때, 유리수 $k$의 값을 구하여라. (단, 점 $O$는 두 대각선의 교점이다.)", "answer": "$\\triangle BCO \\backsim \\triangle DAO$ ($AA$ 닮음)이므로 $\\overline{CO} : \\overline{AO}$$=\\overline{BC} : \\overline{DA}$$=20 : 15$$=4 : 3$ $\\overline{CO} : \\overline{AO}=4 : 3$, $\\overline{CQ} : \\overline{AQ}=1 : 3$이므로 $\\overline{CO}=4x cm$, $\\overline{AO}=3x cm$, $\\overline{CQ}=y cm$, $\\overline{AQ}=3y cm$라 하자. $\\overline{AC}$$=\\overline{AO}+\\overline{CO}$$=3x+4x$$=7x$ $\\overline{AC}$$=\\overline{AQ}+\\overline{CQ}$$=3y+y$$=4y$ 즉, $7x=4y$이므로 $y=\\frac{7}{4}x$ $=$$\\frac{9}{4}x (cm)$ $\\overline{OQ}=k\\overline{CQ}$이므로 $\\frac{9}{4}x=k\\times\\frac{7}{4}x$ $ \\therefore k=\\frac{9}{7}$" }, { "question": "이어달리기 선수 $4$ 명이 달리는 순서를 정하는 방법은 몇 가지인지 구하여라.", "answer": "첫 번째 주자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$4$이고, 두 번째 주자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첫 번째 주자를 제외한 $3$, 세 번째 주자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첫 번째 주자와 두 번째 주자를 제외한 $2$이다. 같은 방법으로 네 번째 주자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$1$이다. 따라서 구하는 방법은 $4\\times3\\times2\\times1=24$ (가지)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$\\triangle ABC$에서 $\\angle A=\\angle ACD=\\angle BCD$일 때, $\\overline{AC}$의 길이를 구하여 라. ", "answer": "$\\triangle ABC$와 $\\triangle CBD$에서 $\\angle B$는 공통, $\\angle BAC=\\angle BCD$ 이므로 $\\triangle ABC\\backsim\\triangle CBD$ (AA 닮음) $\\overline{AB} : \\overline{CB}=\\overline{BC} : \\overline{BD}$ $10 : 6=6 : \\overline{BD}$ $10\\overline{BD}=36$ $∴ \\overline{BD}$$=\\frac{18}{5} (cm)$ 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CD}$는 $\\angle C$의 이등분선이므로 $\\overline{AC} : \\overline{BC}=\\overline{AD} : \\overline{BD}$ $\\overline{AC} : 6=(10-\\frac{18}{5}) : \\frac{18}{5}$ $\\frac{18}{5}\\overline{AC}=\\frac{192}{5}$ $∴ \\overline{AC}$$=\\frac{32}{3} (cm)$" }, { "question": "학생들이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자연수를 $1$부터 차례로 말하는데 $4$의 배수 또는 $7$의 배수는 수를 말하는 대신 손뼉을 치는 게임을 하려고 한다. $25$ 이하의 자연수 중 손뼉을 쳐야 하는 자연수의 개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1$부터 $25$ 이하의 자연수 중 $4$의 배수는 $4, 8, 12, 16, 20, 24$의 $6 개$이고, $7$의 배수는 $7, 14, 21$의 $3 개$이다. 이때 $4$의 배수와 $7$의 배수는 동시에 나오지 않으므로 손뼉을 쳐야 하는 자연수는 $6+3=9 (개)$" }, { "question": "석고로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닮은 조형물을 만들어서 겉면에 물감을 칠하는 데 각각 $32 mL$, $18 mL$의 물감이 필요하다고 한다. 큰 조형물을 만드는 데 $128 cm^3$의 석고가 필요하다고 할 때, 작은 조형물을 만드는 데 몇 $cm^3$의 석고가 필요한지 구하여라. (단, 필요한 물감의 양은 조형물의 겉넓이에 정비례하고 조형물 속은 석고로 빈틈없이 채워져 있다.)", "answer": "두 조형물의 겉넓이의 비가 $32 : 18$$=16 : 9$$=4^2 : 3^2$이므로 닮음비는 $4 : 3$ 따라서 두 조형물의 부피의 비는 $4^3 : 3^3$$=64 : 27$ 작은 조형물을 만드는 데 필요한 석고의 양을 $x cm^3$라 하면 $128 : x=64 : 27$ $64x=3456$ $∴$ $x=54$ 따라서 작은 조형물을 만드는 데 필요한 석고의 양은 $54 cm^3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가로, 세로의 길이가 각각 $12 cm$, $5 cm$인 직사각형 $ABCD$의 점 $A$에서 대각선 $BD$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할 때, $\\overline{AH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triangle ABD$에서 $5^2+12^2=\\overline{BD}^2$, $\\overline{BD}^2=169$$=13^2$ $\\overline{BD}>0$이므로 $\\overline{BD}$$=13 (cm)$ $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AD}\\times\\overline{AB}$$=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BD}\\times\\overline{AH}$이므로 $\\frac{1}{2}\\times12\\times5$$=\\frac{1}{2}\\times13\\times\\overline{AH}$ $∴$ $\\overline{AH}$$=\\frac{60}{13} (cm)$" }, { "question": "두 자연수 $m$, $n$에 대하여 $2^m+4^n$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$2$일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2^m$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$2$, 4$, 8$, $6$이 반복되고, $4^n$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$4$, $6$이 반복되므로 $2^m+4^n$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$2$인 경우의 확률은 다음과 같다. (ⅰ)$2^m$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$8$이고, $4^n$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$4$일 확률 $2^m$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$8$일 확률은 $\\frac{1}{4}$, $4^n$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$4$일 확률은 $\\frac{1}{2}$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$\\frac{1}{4}\\times\\frac{1}{2}$$=\\frac{1}{8}$ $2^m$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$6$이고, $4^n$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$6$일 확률 (ⅱ)$2^m$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$6$일 확률은 $\\frac{1}{4}$, $4^n$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$6$일 확률은 $\\frac{1}{2}$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$\\frac{1}{4}\\times\\frac{1}{2}$$=\\frac{1}{8}$(ⅰ), (ⅱ)에서 $2^m+4^n$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$2$일 확률은 $\\frac{1}{8}+\\frac{1}{8}=\\frac{1}{4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직각삼각형 $ABC$에서 $\\overline{BC}$의 길이를 구하여라. ", "answer": "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$12^2+\\overline{BC}^2=13^2$, $\\overline{BC}^2=25$$=5^2$ $\\overline{BC}>0$이므로 $\\overline{BC}$$=5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{AH}\\bot\\overline{BC}$일 때, $\\overline{AB}$의 길이를 구하여라. ", "answer": "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$\\triangle AHC$에서 $12^2+\\overline{CH}^2=13^2$, $\\overline{CH}^2=25$$=5^2$ $\\overline{CH}>0$이므로 $\\overline{CH}$$=5 (cm)$ $\\triangle ABH$에서 $(21-5)^2+12^2=\\overline{AB}^2$, $\\overline{AB}^2=400$$=20^2$ $\\overline{AB}>0$이므로 $\\overline{AB}$$=20 (cm)$" }, { "question": "서로 다른 세 개의 동전을 동시에 던질 때, 적어도 한 개는 앞면이 나오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적어도 한 개는 앞면이 나오는 경우의 수는 모든 경우의 수에서 세 개의 동전이 모두 뒷면이 나오는 경우의 수를 제외하는 것과 같다. 서로 다른 세 개의 동전을 동시에 던질 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$2\\times2\\times2=8$ 이 중에서 모두 뒷면이 나오는 경우의 수는 (뒷면, 뒷면, 뒷면)의 $1$이다. 따라서 적어도 한 개는 앞면이 나오는 경우의 수는 $8-1$$=7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두 원기둥이 서로 닮은 도형일 때, 큰 원기둥의 밑넓이를 구하여라. ", "answer": "두 원기둥의 닮음비는 $12 : 8=3 : 2$ $x : 3=3 : 2$ $2x=9$ $x=\\frac{9}{2}$ 따라서 큰 원기둥의 밑넓이는 $\\pi\\times(\\frac{9}{2})^2$$=\\frac{81}{4}\\pi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$\\triangle ABC$에서 $90\\degree<\\angle A<180\\degree$일 때, $x$의 값이 될 수 있는 모든 자연수의 합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x$가 가장 긴 변의 길이이고 삼각형이 되기 위한 조건에 의하여 $1111^2+7^2$ ∴ $x^2>170$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$x$는 $14$, $15$, $16$, $17$이므로 구하는 합은 $14+15+16+17=62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의 두 정삼각뿔 $A$, $B$는 서로 닮은 도형이고 부피의 비가 $64 : 27$일 때, $a$의 값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부피의 비가 $64 : 27=4^3 : 3^3$이므로 닮음비는 $4 : 3$ $a : 9=4 : 3$ $∴$ $a=12$" }, { "question": "서로 다른 세 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던질 때, 나오는 눈의 수의 합이 $17$이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서로 다른 세 개의 주사위에서 나오는 눈의 수를 $a$, $b$, $c$라 할 때, 나오는 눈의 수의 합이 $17$이 되는 순서쌍 $(a, b, c)$를 구하면 $(5, 6, 6), $$(6, 5, 6), $$(6, 6, 5)$이고 그 경우의 수는 $3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overline{AQ}$와 $\\overline{DP}$의 교점이 $E$이고 $\\overline{AB} // \\overline{EF} // \\overline{CD}$이다. $\\overline{AB}=\\overline{CD}=12 cm$, $\\overline{BC}=18 cm$, $\\overline{EF}=3 cm$일 때, $\\overline{PQ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FP}=a cm$, $\\overline{FQ}=b cm$라 하자. $\\triangle CDP$에서 $\\overline{CD} // \\overline{EF}$이므로 $\\overline{FP} : \\overline{CP}=\\overline{EF} : \\overline{DC}$ $a : \\overline{CP}=3 : 12$ $a : \\overline{CP}=1 : 4$ $∴ \\overline{CP}=4a (cm)$ $∴ \\overline{CF}$$=\\overline{CP}-\\overline{FP}$$=4a-a$$=3a (cm) ······ ㉠$ $\\triangle ABQ$에서 $\\overline{AB} // \\overline{EF}$이므로 $\\overline{FQ} : \\overline{BQ}=\\overline{EF} : \\overline{AB}$ $b : \\overline{BQ}=3 : 12$ $b : \\overline{BQ}=1 : 4$ $∴ \\overline{BQ}=4b (cm)$ $∴ \\overline{BF}$$=\\overline{BQ}-\\overline{FQ}$$=4b-b$$=3b (cm) ······ ㉡$ $㉠$, $㉡$에서 $\\overline{BC}$$=\\overline{BF}+\\overline{CF}$$=3a+3b$$=3(a+b)=18$ $∴ a+b=6$ $∴ \\overline{PQ}$$=\\overline{FP}+\\overline{FQ}$$=a+b$$=6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$ABC$에서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BC}$를 각각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가 $17\\pi cm^2$, $67\\pi cm^2$일 때, $\\overline{AC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직각삼각형의 세 변을 각각 지름으로 하는 세 반원에서 가장 큰 반원의 넓이는 다른 두 반원의 넓이의 합과 같다. $(\\overline{AC}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)$$=$$67\\pi$$-$$17\\pi$$=50\\pi (cm^2)$이므로 $\\frac{1}{2}\\times\\pi\\times(\\frac{\\overline{AC}}{2})^2=50\\pi$, $\\overline{AC}^2=400=20^2$ $\\overline{AC}>0$이므로 $\\overline{AC}$$=20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$ABCD$의 대각선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 $BEFD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square BEFD$$=\\overline{BD}^2=6^2+7^2$$=85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에서 $\\overline{AQ}$와 $\\overline{DP}$의 교점이 $E$이고 $\\overline{AB}$$ // $$\\overline{EF}$$ // $$\\overline{CD}$이다. $\\overline{AB}=\\overline{CD}=16 cm$, $\\overline{BC}=27 cm$, $\\overline{EF}=4 cm$일 때, $\\overline{PQ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\\overline{FP}=a cm$, $\\overline{FQ}=b cm$라 하자. $\\triangle CDP$에서 $\\overline{CD} // \\overline{EF}$이므로 $\\overline{FP} : \\overline{CP}=\\overline{EF} : \\overline{DC}$ $a : \\overline{CP}=4 : 16$ $a : \\overline{CP}=1 : 4$ $∴ \\overline{CP}=4a (cm)$ $∴ \\overline{CF}$$=\\overline{CP}-\\overline{FP}$$=4a-a$$=3a (cm)$ $······ ㉠$ $\\triangle ABQ$에서 $\\overline{AB} // \\overline{EF}$이므로 $\\overline{FQ} : \\overline{BQ}=\\overline{EF} : \\overline{AB}$ $b : \\overline{BQ}=4 : 16$ $b : \\overline{BQ}=1 : 4$ $∴ \\overline{BQ}=4b (cm)$ $∴ \\overline{BF}$$=\\overline{BQ}-\\overline{FQ}$$=4b-b$$=3b (cm)$ $······ ㉡$ ㉠, ㉡에서 $=$$3(a+b)$$=$$27$ $∴ a+b=9$ $∴ \\overline{PQ}$$=\\overline{FP}+\\overline{FQ}$$=a+b$$=9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과 같이 ㄱ~ㅂ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다리를 타면 상품을 받는 사다리 타기 그림을 그리는 중이다. 상품은 인형, 시계, 가방이 있고, 인형은 가방보다 $2$ 개 더 많이 있을 때, 나머지 자리에 상품을 배치하여 그림을 완성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 (단, 어느 것을 선택해도 상품은 $1\\text{개}$ 받는다.)", "answer": "상품은 인형, 시계, 가방이 있고, 인형은 가방보다 $2$ 개 더 많이 있으므로 나머지 세 자리에 놓을 수 있는 상품은 인형 $2$ 개, 시계 $1$ 개이다. 나머지 자리에 놓을 수 있는 상품을 왼쪽부터 순서대로 $a$, $b$, $c$라 할 때, 각 경우를 순서쌍 $(a, b, c)$로 나타내면 (인형, 인형, 시계), (인형, 시계, 인형), (시계, 인형, 인형)의 $3$ 가지이다. 따라서 그림을 완성하는 경우의 수는 $3$이다." }, { "question": "소연이가 문구점에서 $850$원짜리 연필 $1 $자루를 사려고 한다. $500$원짜리 동전 $1$개, $100$ 원짜리 동전 $8$ 개, $50$ 원짜리 동전 $3$ 개를 가지고 있을 때, 연필의 값을 지불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연필의 값을 지불할 수 있는 방법을 액수가 큰 동전의 개수부터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. (단위 : 개)
$500$원 $100$원 $50$원
$1$ $3$ $1$
$1$ $2$ $3$
$0$ $8$ $1$
$0$ $7$ $3$
따라서 그 경우의 수는 $4$이다.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angle A=90\\degree$인 직각삼각형 $\\triangle ABC$에서 $\\overline {AB}=12cm$, $\\overline{AC}=9cm$, $\\overline{AD}$$\\bot$$\\overline{BC}$일 때, $\\overline{AD}$의 길이를 구하려고 한다. $\\overline{AD}$의 길이를 구하여라. (1)$\\overline{BC}$의 길이를 구하여라. (2)$\\overline{AD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(1)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$\\triangle ABC$에서 $12^2+9^2=\\overline{BC}^2$ $\\overline{BC}^2=225=15^2$ $\\overline{BC}>0$이므로 $\\overline{BC}=15 (cm)$ (2) $\\triangle ABC$에서 $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AB}\\times\\overline{AC}=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BC}\\times\\overline{AD}$ $\\frac{1}{2}\\times12\\times9=\\frac{1}{2}\\times15\\times\\overline{AD}$ $∴ \\overline{AD}=\\frac{36}{5} (cm)$" }, { "question": "서로 다른 동전 네 개와 주사위 한 개를 동시에 던질 때,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동전 한 개를 던질 때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$2$이고, 주사위 한 개를 던질 때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$6$이다. 따라서 서로 다른 동전 네 개와 주사위 한 개를 동시에 던질 때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$2\\times2\\times2\\times2\\times6$$=96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한 원 위에 있는 $10$ 개의 점 $A$, $B$,$ C$, $D$,$ E$,$ F$,$ G$, $H$, $I$,$ J$ 중에서 세 점을 연결하여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10$ 개의 점 중에서 순서에 상관없이 $3$ 개의 점을 선택하는 경우이므로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는 $\\frac{10\\times9\\times8}{3\\times2\\times1}=120 (개)$" }, { "question": "어떤 야구팀에서 $A$ 선수의 타율은 $\\frac{1}{6}$, $B$ 선수의 타율은 $\\frac{2}{5}$일 때, 이 두 선수가 연속으로 안타를 칠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두 선수가 연속으로 안타를 칠 확률은 $\\frac{1}{6}\\times\\frac{2}{5}$$=\\frac{1}{15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$ABC$에서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AC}$를 각각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가 $20\\pi cm^2$, $30\\pi cm^2$일 때, $\\overline{BC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직각삼각형의 세 변을 각각 지름으로 하는 세 반원에서 가장 큰 반원의 넓이는 다른 두 반원의 넓이의 합과 같다. $(\\overline{BC}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)$$=$$20\\pi$$+$$30\\pi$$=50\\pi (cm^2)$이므로 $\\frac{1}{2}\\times\\pi\\times(\\frac{\\overline{BC}}{2})^2$$=50\\pi$, $\\overline{BC}^2=400=20^2$ $\\overline{BC}>0$이므로 $\\overline{BC}$$=20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 $ABC$의 세 변을 각각 지름으로 하는 반원을 그렸다. $\\overline{AB}=15cm$이고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$150cm^2$일 때, $\\overline{BC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색칠한 부분의 넓이)$$=(\\triangle ABC의 넓이)$$=150 cm^2$ $150$$=\\frac{1}{2}\\times\\overline{AC}\\times15$ $∴$ $\\overline{AC}$$=20 (cm)$ $\\triangle ABC$에서 $15^2+20^2=\\overline{BC}^2$, $\\overline{BC}^2=625$$=25^2$ $\\overline{BC}>0$이므로 $\\overline{BC}$$=25 (cm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$ABC$에서 $\\overline{AC}$, $\\overline{BC}$를 각각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가 $12\\pi cm^2$, $14\\pi cm^2$일 때, $\\overline{AB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직각삼각형의 세 변을 각각 지름으로 하는 세 반원에서 가장 큰 반원의 넓이는 다른 두 반원의 넓이의 합과 같다. $(\\overline{AB}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)$$=$$14\\pi$$-$$12\\pi$$=2\\pi (cm^2)$이므로 $\\frac{1}{2}$ $\\times$$\\pi$$\\times$$(\\frac{\\overline{AB}}{2})^2$$=2\\pi$, $\\overline{AB}^2=16=4^2$ $\\overline{AB}>0$이므로 $\\overline{AB}$$=4 (cm)$" }, { "question": "한 개의 주사위를 던질 때, $3$의 약수의 눈이 나올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한 개의 주사위를 던질 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$6$이고, $3$의 약수의 눈이 나오는 경우의 수는 $1$, $3$의 $2$이다. 따라서 $3$의 약수의 눈이 나올 확률은 $\\frac{2}{6}=\\frac{1}{3}$" }, { "question": "오른쪽 그림은 가로, 세로의 길이가 각각 $6cm$, $8cm$인 직사각형 $ABCD$의 각 변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을 그린 후, 네 점 $A, B, C, D$를 지나는 원을 그린 것이다.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의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C}$를 그으면 $\\triangle ACD$는 직각삼각형이므로 $\\overline{AC}$는 네 점 $A$, $B$, $C$, $D$를 지나는 원의 지름이다. 직각삼각형 $ACD$에서 $6^2+8^2=\\overline{AC}^2$ $\\overline{AC}^2=100=10^2$ $\\overline{AC}>0$이므로 $\\overline{AC}=10 (cm)$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$\\square ABCD$의 넓이와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BC}$, $\\overline{CD}$, $\\overline{AD}$를 각각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의 합에서 $\\overline{AC}$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를 뺀 것과 같다. 이때 $\\overline{AB}=\\overline{CD}$, $\\overline{AD}=\\overline{BC}$이므로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AD}$, $\\overline{BC}$, $\\overline{CD}$를 각각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의 합은 $\\overline{AB}$, $\\overline{AD}$를 각각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의 합과 같다. $∴(색칠한 부분의 넓이) =(\\pi\\times4^2+\\pi\\times3^2+6\\times8)-\\pi\\times5^2$ $=(16\\pi+9\\pi+48)-25\\pi=48 (cm^2)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 $ABC$의 세 변을 각각 지름으로 하는 반원을 그렸다. $\\overline{AC}=24$ $cm$이고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$120$ $cm^2$일 때, $\\overline{BC}$의 길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(색칠한 부분의 넓이)$$=(\\triangle ABC의 넓이)$$=120 cm^2$ $120$$=\\frac{1}{2}\\times24\\times\\overline{AB}$ $∴$ $\\overline{AB}$$=10 (cm)$ $\\triangle ABC$에서 $10^2+24^2=\\overline{BC}^2$, $\\overline{BC}^2=676$$=26^2$ $\\overline{BC}>0$이므로 $\\overline{BC}$$=26 (cm)$" }, { "question": "두 개의 주사위 A, B를 동시에 던져서 주사위 A에서 나온 눈의 수를 $x$, 주사위 B에서 나온 눈의 수를 $y$라 하자. 좌표평면 위의 원점 $O$와 점 $P(x, 3y)$를 이은 직선의 기울기가 $1$보다 작을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두 개의 주사위를 던질 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$6\\times6=36$이고, 좌표평면 위의 원점 $O$와 점 $P(x, 3y)$를 이은 직선의 기울기는 $\\frac{3y}{x}$이므로 $\\frac{3y}{x}<1$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$(x, y)$는 $(4, 1)$, $(5, 1)$, $(6, 1)$의 $3$ 가지이다.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$\\frac{3}{36}=\\frac{1}{12}$" }, { "question": "승아네 엄마는 빨간색, 파란색, 노란색, 분홍색 원피스 $4$ 벌과 흰색, 검은색, 파란색, 분홍색, 보라색 스카프 $5$장을 가지고 있다. 원피스에 스카프를 묶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 (단, 원피스와 같은 색의 스카프는 묶지 않는다.)", "answer": "원피스는 $4$ 벌이고, 각각에 대하여 스카프 $5$ 장을 묶을 수 있으므로 원피스에 스카프를 묶는 경우의 수는 $4\\times5$$=20$ 원피스와 스카프가 같은 색인 경우는 파란색, 분홍색의 $2$ 가지이므로 원피스에 다른 색의 스카프를 묶는 경우의 수는 $20-2$$=18$" }, { "question": "$500$ 원짜리 동전 $2$ 개, $100$ 원짜리 동전 $6$ 개, $10$ 원짜리 동전 $5$ 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종류는 모두 몇 가지인지 구하여라. (단, $0$ 원을 지불하는 것은 제외한다.)", "answer": "$100$ 원짜리 동전 $5$ 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과 $500$ 원짜리 동전 $1$ 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이 같으므로 $500$ 원짜리 동전 $2$ 개를 $100$ 원짜리 동전 $10 개$로 바꾸면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종류는 $100$ 원짜리 동전 $16$ 개, $10$ 원짜리 동전 $5$ 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종류와 같다. (ⅰ) $100$ 원짜리를 지불하는 방법 $0 개$$,$ $1 개$$,$ $2 개$$,$ ···$,$ $15 개$$,$ $16 개$의 $17$ 가지 (ⅱ) $10$ 원짜리를 지불하는 방법 $0 개$$,$ $1 개$$,$ $2 개$$,$ $3 개$$,$ $4 개$$,$ $5 개$의 $6$ 가지 (ⅰ), (ⅱ)에서 $0$ 원을 지불하는 것은 제외해야 하므로 구하는 금액의 종류는 $17\\times6-1=101 (가지)$" }, { "question": "$0$, $1$, $2$, $3$, $4$, $5$의 숫자가 각각 하나씩 적힌 $6$ 장의 카드 중에서 $2$ 장의 카드를 뽑아 두 자리의 정수를 만들 때, $32$보다 큰 정수의 개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(ⅰ) 십의 자리의 숫자가 $3$이고, $32$보다 큰 경우 일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$4$, $5$의 $2$ 가지이므로 십의 자리의 숫자가 $3$이고, $32$보다 큰 정수의 개수는 $2$ 개 (ⅱ) 십의 자리의 숫자가 $4$ 이상인 경우 십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$4$, $5$의 $2$ 가지이고,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일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십의 자리의 숫자를 제외한 $5$ 가지이므로 십의 자리의 숫자가 $4$ 이상인 정수의 개수는 $2\\times5=10$ (개) (ⅰ), (ⅱ)에 의해 $32$보다 큰 정수의 개수는 $2+10=12$ (개)" }, { "question": "A 주머니에는 노란 공 $2$ 개, 파란 공 $2$ 개가 들어 있고, B 주머니에는 노란 공 $3$ 개, 파란 공 $6$ 개가 들어 있다. A, B 두 주머니에서 각각 $1$ 개씩 공을 꺼낼 때, 적어도 $1$ 개는 노란 공일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적어도 $1$ 개는 노란 공일 확률은 $1-(두 개 모두 파란 공일 확률)$이다. A 주머니에서 파란 공이 나올 확률은 $\\frac{2}{4}=\\frac{1}{2}$이고, B 주머니에서 파란 공이 나올 확률은 $\\frac{6}{9}=\\frac{2}{3}$이므로 모두 파란 공이 나올 확률은 $\\frac{1}{2}\\times\\frac{2}{3}=\\frac{1}{3}$ 따라서 적어도 $1$ 개는 노란 공일 확률은 $1-\\frac{1}{3}=\\frac{2}{3}$" }, { "question": "$1$에서 $6$까지의 숫자가 각각 적힌 $6$ 장의 카드를 차례로 늘어놓을 때, 양 끝의 숫자가 짝수인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1$부터 $6$까지의 숫자 중 짝수인 $2$, $4$, $6$을 양 끝에 놓는 경우의 수는 $2 4, $$2 6, $$4 2, $$4 6, $$6 2, $$6 4$이므로 $6$이다. 각각의 경우에 나머지 $4$ 개의 숫자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$4\\times3\\times2\\times1=24$ 따라서 $6$ 장의 카드를 양 끝의 숫자가 짝수가 되게 늘어놓는 경우의 수는 $6\\times24=144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6$ 등분 된 원판의 각 부분에 숫자 $0$, $1$, $2$, $3$ 중 하나가 각각 적혀 있다. 이 원판에 화살을 두 번 쏠 때, 맞힌 부분에 적힌 숫자의 합이 $3$이 될 확률을 구하여라. (단, 화살이 원판을 벗어나거나 경계선을 맞히는 경우는 없다.)", "answer": "두 번 쏘아 맞힌 부분에 적힌 숫자의 합이 $3$이 되는 경우를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$(0, 3)$, $(1, 2)$, $(2, 1)$, $(3, 0)$이다. (ⅰ) $(0, 3)$일 확률은 $\\frac{1}{6}\\times\\frac{1}{6}$$=\\frac{1}{36}$ (ⅱ) $(1, 2)$일 확률은 $\\frac{1}{2}\\times\\frac{1}{6}$$=\\frac{1}{12}$ (ⅲ) $(2, 1)$일 확률은 $\\frac{1}{6}\\times\\frac{1}{2}$$=\\frac{1}{12}$ (ⅳ) $(3, 0)$일 확률은 $\\frac{1}{6}\\times\\frac{1}{6}$$=\\frac{1}{36}$ (ⅰ)~(ⅳ)에서 맞힌 부분에 적힌 숫자의 합이 $3$이 될 확률은 $\\frac{1}{36}+\\frac{1}{12}+\\frac{1}{12}+\\frac{1}{36}=\\frac{2}{9}$" }, { "question": "$1$부터 $100$까지의 수가 각각 하나씩 적힌 $100$ 장의 카드가 있다. 이 중에서 한 장의 카드를 뽑아서 나오는 수를 $110$ 또는 $170$으로 나눌 때, 유한소수가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한 장의 카드를 뽑았을 때 나오는 수를 $x$라 하자. (ⅰ) $x$를 $110$으로 나누는 경우 $\\frac{x}{110}$를 소수로 나타내었을 때 유한소수가 되려면 분모의 소인수가 $2$ 또는 $5$뿐이어야 한다. $110$$=2\\times5\\times11$이므로 $\\frac{x}{2\\times5\\times11}$, 즉 $x$는 $11$의 배수이어야 한다. $1$부터 $100$까지의 수 중에서 $11$의 배수는 $11$, $22$, $33$, $44$, $55$, $66$, $77$, $88$, $99$의 $9$ 개이다. (ⅱ) $x$를 $170$으로 나누는 경우 $\\frac{x}{170}$를 소수로 나타내었을 때 유한소수가 되려면 분모의 소인수가 $2$ 또는 $5$뿐이어야 한다. $170$$=2\\times5\\times17$이므로 $\\frac{x}{2\\times5\\times17}$, 즉 $x$는 $17$의 배수이어야 한다. $1$부터 $100$까지의 수 중에서 $17$의 배수는 $17$, $34$, $51$, $68$, $85$의 $5$ 개이다. (ⅰ), (ⅱ)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$9+5$$=14$" }, { "question": "$9$ 개의 제비 중 $5$ 개의 당첨 제비가 들어 있는 상자가 있다. 이 상자에서 제비를 $1$ 개씩 연속하여 두 번 뽑을 때, 당첨 제비가 적어도 한 번 나올 확률을 구하여라. (단, 한 번 뽑은 제비는 다시 넣지 않는다.)", "answer": "당첨 제비가 적어도 한 번 나올 확률은 $1-(두 번 모두 당첨 제비가 나오지 않을 확률)$이다. 첫 번째에 당첨 제비가 나오지 않을 확률은 $1-\\frac{5}{9}=\\frac{4}{9}$ 첫 번째에 당첨 제비가 나오지 않았을 때, 남아 있는 제비는 $8$ 개이고 그중 당첨 제비는 $5$ 개이므로 두 번째에 당첨 제비가 나오지 않을 확률은 $1-\\frac{5}{8}=\\frac{3}{8}$ 두 번 모두 당첨 제비가 나오지 않을 확률은 $\\frac{4}{9}\\times\\frac{3}{8}=\\frac{1}{6}$ 따라서 당첨 제비가 적어도 한 번 나올 확률은 $1-\\frac{1}{6}=\\frac{5}{6}$" }, { "question": "다음 그림과 같이 $\\overline{AB}=\\overline{AC}=20 cm$, $\\overline{BC}=32 cm$인 이등변삼각형 $ABC$의 넓이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위 그림과 같이 꼭지각에서 밑변에 내린 수선의 발을$ H$라 하면 $\\overline{BH}$$=\\frac{1}{2}\\overline{BC}$$=\\frac{1}{2}\\times32$$=16 (cm)$ $\\triangle ABH$에서 $16^2+\\overline{AH}^2=20^2$, $\\overline{AH}^2=144$$=12^2$ $\\overline{AH}>0$이므로 $\\overline{AH}$$=12 (cm)$ $∴ \\triangle ABC$$=\\frac{1}{2}\\times32\\times12$$=192 (cm^2)$" }, { "question": "서로 다른 두 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던져서 나오는 눈의 수를 각각 $a$, $b$라 할 때, $x$에 대한 방정식 $x-a=b$의 해가 $3$ 또는 $5$인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x$에 대한 방정식 $x-a=b$의 해가 $3$인 경우 방정식에 $x=3$을 대입하면 $3-a=b$이다. $3-a=b$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$(a, b)$를 구하면 $(1, 2)$, $(2, 1)$이고 그 경우의 수는 $2$이다. $x$에 대한 방정식 $x-a=b$의 해가 $5$인 경우 방정식에 $x=5$를 대입하면 $5-a=b$이다. $5-a=b$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$(a, b)$를 구하면 $(1, 4)$, $(2, 3)$, $(3, 2)$, $(4, 1)$이고 그 경우의 수는 $4$이다.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$2+4=6$" }, { "question": "밑에서부터 여덟 번째의 계단에 있는 태우가 동전 한 개를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$2$ 계단 위로 올라가고, 뒷면이 나오면 $2$ 계단 아래로 내려간다고 한다. 동전을 $4$ 번 던져서 태우가 밑에서부터 네 번째의 계단에 있게 될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동전을 $4$ 번 던질 때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$2\\times2\\times2\\times2=16$이다. 앞면이 $x$ 번 나오면 뒷면은 $(4-x)$ 번 나오므로 태우가 밑에서부터 몇 번째 계단에 있을지 식으로 나타내면 $8+2x-2(4-x)=4x$ 태우가 밑에서부터 네 번째 계단에 있으려면 $4x=4$이므로 $x=1$이다. 앞면이 $1$ 번, 뒷면이 $3$ 번 나오는 경우는 $(앞면, 뒷면, 뒷면, 뒷면)$, $(뒷면, 앞면, 뒷면, 뒷면)$, $(뒷면, 뒷면, 앞면, 뒷면)$, $(뒷면, 뒷면, 뒷면, 앞면)$의 $4$ 가지이다. 따라서 태우가 밑에서부터 네 번째 계단에 있게 될 확률은 $\\frac{4}{16}=\\frac{1}{4}$" }, { "question": "지우가 A 문제를 틀릴 확률이 $\\frac{5}{6}$, B 문제를 틀릴 확률이 $\\frac{1}{4}$일 때, A, B 두 문제 중에서 한 문제만 틀릴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(ⅰ)A 문제만 틀릴 확률 A 문제를 틀릴 확률은 $\\frac{5}{6}$이고, B 문제를 맞힐 확률은 $1-\\frac{1}{4}$$=\\frac{3}{4}$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$\\frac{5}{6}\\times\\frac{3}{4}$$=\\frac{5}{8}$ (ⅱ) B 문제만 틀릴 확률 A 문제를 맞힐 확률은 $1-\\frac{5}{6}$$=\\frac{1}{6}$이고, B 문제를 틀릴 확률은 $\\frac{1}{4}$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$\\frac{1}{6}\\times\\frac{1}{4}$$=\\frac{1}{24}$ (ⅰ), (ⅱ)에 의해 두 문제 중에서 한 문제만 틀릴 확률은 $\\frac{5}{8}+\\frac{1}{24}=\\frac{2}{3}$" }, { "question": "A, B 두 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던질 때, 나오는 눈의 수의 합이 $3$ 또는 $7$이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A, B 주사위에서 나오는 눈의 수를 각각 $a$, $b$라 할 때, 각 경우를 순서쌍 $(a, b)$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. (ⅰ) 합이 $3$이 되는 경우 $(1, 2), $$(2, 1)$의 $2$ 가지 (ⅱ) 합이 $7$이 되는 경우 $(1, 6)$, $(2, 5)$, $(3, 4)$, $(4, 3)$, $(5, 2)$, $(6, 1)$의 $6$ 가지 (ⅰ), (ⅱ)에서 나오는 눈의 수의 합이 $3$ 또는 $7$이 되는 경우의 수는 $2+6=8$" }, { "question": "눈이 온 날의 다음 날에 눈이 올 확률은 $\\frac{1}{4}$이고, 눈이 오지 않은 날의 다음 날에 눈이 올 확률은 $\\frac{2}{3}$라 한다. 월요일에 눈이 왔을 때, 같은 주 수요일에 눈이 올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눈이 온 날을 $O$, 눈이 오지 않은 날을 $X$로 표시하여 순서쌍 $(월, 화, 수)$로 나타내면 (ⅰ) $( O, O, O )$인 경우 월요일에 눈이 오고 화요일에 눈이 올 확률은 $\\frac{1}{4}$ 화요일에 눈이 오고 수요일에 눈이 올 확률은 $\\frac{1}{4}$ 월요일에 눈이 왔을 때, 화요일과 수요일에 눈이 올 확률은 $\\frac{1}{4}\\times\\frac{1}{4}=\\frac{1}{16}$ (ⅱ) $( O, X, O )$인 경우 월요일에 눈이 오고 화요일에 눈이 오지 않을 확률은 $1-\\frac{1}{4}=\\frac{3}{4}$ 화요일에 눈이 오지 않고 수요일에 눈이 올 확률은 $\\frac{2}{3}$ 월요일에 눈이 왔을 때, 화요일에 눈이 오지 않고 수요일에 눈이 올 확률은 $\\frac{3}{4}\\times\\frac{2}{3}=\\frac{1}{2}$ (ⅰ), (ⅱ)에 의해 월요일에 눈이 왔을 때, 같은 주 수요일에 눈이 올 확률은 $\\frac{1}{16}+\\frac{1}{2}$$=\\frac{9}{16}$" }, { "question": "메뉴가 아래와 같은 분식집에서 음식을 주문하려고 한다. 서로 다른 세 종류의 음식을 주문하려고 할 때, 음료수가 반드시 포함될 확률을 구하여라. 떡볶이, 어묵, 튀김, 순대, 음료수", "answer": "다섯 종류의 음식 중에서 서로 다른 세 종류의 음식을 주문하는 모든 경우의 수는 $\\frac{5\\times4\\times3}{3\\times2\\times1}=10$ 음료수가 반드시 포함되는 경우의 수는 음료수를 제외한 네 종류의 음식 중에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음식을 주문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$\\frac{4\\times3}{2}=6$ 따라서 음료수가 반드시 포함될 확률은 $\\frac{6}{10}=\\frac{3}{5}$" }, { "question": "주머니 속에 파란 구슬 $6$ 개와 노란 구슬 $6$ 개가 들어 있다. 이 주머니에서 구슬 $1 개$를 꺼내 확인하고 다시 넣은 후 또 $1$ 개를 꺼낼 때, 두 개 모두 파란 구슬일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첫 번째에 파란 구슬을 꺼낼 확률은 $\\frac{6}{12}=\\frac{1}{2}$이고, 구슬을 꺼내 확인하고 다시 넣으므로 두 번째에 파란 구슬을 꺼낼 확률도 $\\frac{6}{12}=\\frac{1}{2}$이다. 따라서 두 개 모두 파란 구슬일 확률은 $\\frac{1}{2}\\times\\frac{1}{2}=\\frac{1}{4}$" }, { "question": "$0$, $1$, $2$, $3$, $4$, $5$, $6$의 숫자가 각각 하나씩 적힌 $7$ 장의 카드 중에서 $2$ 장의 카드를 뽑아 두 자리의 정수를 만들 때, $40$보다 큰 정수의 개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(ⅰ)십의 자리의 숫자가 $4$이고, $40$보다 큰 경우 일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$1$, $2$, $3$, $5$, $6$의 $5$ 가지이므로 십의 자리의 숫자가 $4$이고, $40$보다 큰 정수의 개수는 $5$ 개 (ⅱ)십의 자리의 숫자가 $5$ 이상인 경우 십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$5$, $6$의 $2 가지$이고,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일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십의 자리의 숫자를 제외한 $6 가지$이므로 십의 자리의 숫자가 $5$ 이상인 정수의 개수는 $2\\times6=12 (개)$ (ⅰ), (ⅱ)에 의해 $40$보다 큰 정수의 개수는 $5+12=17 (개)$" }, { "question": "$24$의 약수가 각각 하나씩 적힌 카드 중 한 장을 뽑아 그 카드에 적힌 수를 $a$라 할 때, $\\frac{4}{a}$가 자연수가 되지 않을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24$의 약수는 $1$, $2$, $3$, $4$, $6$, $8$, $12$, $24$이므로 카드를 뽑는 모든 경우의 수는 $8$이다. $\\frac{4}{a}$가 자연수가 되는 $a$는 $1$, $2$, $4$의 $3$ 가지이므로 그 확률은 $\\frac{3}{8}$ 따라서 $\\frac{4}{a}$가 자연수가 되지 않을 확률은 $1-\\frac{3}{8}=\\frac{5}{8}$" }, { "question": "$1$부터 $20$까지의 수가 각각 하나씩 적힌 $20$ 장의 카드 중에서 한 장의 카드를 뽑을 때, $5$보다 작거나 $15$보다 큰 수가 나오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.", "answer": "$1$부터 $20$까지의 수 중 $5$보다 작은 수는 $1$, $2$, $3$, $4$의 $4$ 가지이고, $15$보다 큰 수는 $16$, $17$, $18$, $19$, $20$의 $5$ 가지이다. 따라서 $5$보다 작거나 $15$보다 큰 수가 나오는 경우의 수는 $4+5=9$" }, { "question": "주머니 속에 빨간 공 $2$ 개와 파란 공 $6$ 개가 들어 있다. 이 주머니에서 공 $1 개$를 꺼내 확인하고 다시 넣은 후 또 $1$ 개를 꺼낼 때, 첫 번째는 빨간 공, 두 번째는 파란 공일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첫 번째에 빨간 공을 꺼낼 확률은 $\\frac{2}{8}=\\frac{1}{4}$이고, 공을 꺼내 확인하고 다시 넣으므로 두 번째에 파란 공을 꺼낼 확률은 $\\frac{6}{8}=\\frac{3}{4}$이다. 따라서 첫 번째에 빨간 공을 꺼내고, 두 번째에 파란 공을 꺼낼 확률은 $\\frac{1}{4}\\times\\frac{3}{4}=\\frac{3}{16}$" }, { "question": "판매하는 책이 아래와 같은 서점에서 책을 사려고 한다.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책을 사려고 할 때, 문제집이 반드시 포함될 확률을 구하여라.$\\\\$ 소설책, 문제집, 위인전, 시집, 동화책", "answer": "다섯 종류의 책 중에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책을 사는 모든 경우의 수는 $\\frac{5\\times4}{2}=10$ 문제집이 반드시 포함되는 경우의 수는 문제집을 제외한 네 종류의 책 중에서 한 종류의 책을 사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$4$이다. 따라서 문제집이 반드시 포함될 확률은 $\\frac{4}{10}=\\frac{2}{5}$" }, { "question": "$A$, $B$, $C$ 세 사람이 한 번 가위바위보를 할 때, $B$가 이길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A, B, C 세 사람이 가위바위보를 할 때 모든 경우의 수는 $3\\times3\\times3=27$ B가 혼자 이기는 경우의 수는 $3$, A와 B가 이기는 경우의 수는 $3$, B와 C가 이기는 경우의 수는 $3$이므로 B가 이기는 경우의 수는 $3+3+3=9$ 따라서 B가 이길 확률은 $\\frac{9}{27}$$=\\frac{1}{3}$" }, { "question": "선생님 $2$ 명, 학생 $3$ 명을 일렬로 세울 때, 학생끼리 이웃하여 서게 될 확률을 구하여라.", "answer": "$5$ 명을 일렬로 세우는 모든 경우의 수는 $5\\times4\\times3\\times2\\times1=120$ 학생 $3$ 명을 하나로 묶어서 생각하면 $3$ 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$3\\times2\\times1=6$이고,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학생 $3$ 명이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$3\\times2\\times1=6$이므로 학생 $3$ 명이 이웃하여 $5$ 명이 서는 경우의 수는 $6\\times6=36$ 따라서 학생끼리 이웃하여 서게 될 확률은 $\\frac{36}{120}=\\frac{3}{10}$" } ]